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한국의 청태전과 일본 Goishicha의 미생물 군집 및 아미노산 분석

        김병혁(Byung-Hyuk Kim),문경환(Kyung Hwan Moon),임찬규(Chankyu Lim),김천환(Chun Hwan Kim),문두경(Doo-Gyung M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5

        미생물발효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O Kuntze)의 잎이 미생물 발효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본 연구에서 미생물발효차의 주요 미생물을 확인하기 위해 미생물 군집 크기를 real-time PCR로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의 청태전, 일본의 Goishicha에 우점하는 박테리아 분석을 위해 double gradient-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DG-DGGE)와 16S rRNA gene clone library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태전과 Goishicha 모두 박테리아가 우점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청태전에 우점하는 박테리아는 γ-proteobacteria Pantoea sp.였다. 그러나 Goishicha에 우점하는 박테리아는 β-proteobacteria Parburkholderia sp.와 γ-proteobacteria Pseudomonas sp.임을 확인했다. 또한, 아미노산 분석 결과 청태전은 theanine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Goishicha에는 aspartic acid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과 일본 미생물발효차의 독창성과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Post-fermented tea is produced by the microbial fermentation process using tea plant leaves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In this study, the size of the microbial community was analyzed by real-time PCR, to determine the major microorganisms involved in the fermentation process. Also, the bacterial community analysis of East-Asian traditional post-fermented tea (Korean Chungtaejeon and Japanese Goishicha) were investigated using double gradient-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d 16S rRNA gene clone library technique through 16S rRNA gene analysis. Our results confirmed that both Chungtaejeon and Goishicha were dominated by the bacterial community. Phylogenetic analysis determined the dominant species in post-fermented tea Cheongtaejeon was γ-proteobacteria Pantoea sp., and those in Goishicha were β-proteobacteria Parburkholderia sp. and γ-proteobacteria Pseudomonas sp. In addition, amino acid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ntents of theanine and aspartic acid were highest in Cheongtaejeon and Goishicha, respectively. We believ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fermentation and interaction among microorganisms of post-fermented tea in Korea and Japan.

      • KCI등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한 온도상승이 고추의 생육양상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송은영 ( Eunyoung Song ),문경환 ( Kyunghwan Moon ),손인창 ( Inchang Son ),위승환 ( Seunghwan Wi ),김천환 ( Chunhwan Kim ),임찬규 ( Chankyu Lim ),오순자 ( Soonja Oh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예측되는 온도를 노지채소인 고추에 적용하여 환경제어챔 버에서 재배하였을 때 생육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챔버내 온도는 노지고추 주산지인 안동지역의 평년(1971~2000; 30년) 5월 1일부터 7월30일까지의 일평균 기온자료를 토대로 IT (Intraday temperature: 기준온도), IT+2℃, IT+4℃, IT+6℃ 등 4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대조구인 일평균온도보다 고온에서 재배하였을 때 초장도 길었고, 분지수, 엽수와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이 증가하였다. IT+2℃(평균온도 22.8℃)에서 정식 후 30~60일간의 개화수가 가장 많았다. 따라서 개체당 착과수 및 과실 생체중은 IT+2℃에서 가장 많았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과중은 적었고 과장도 짧아졌으며 과경도 줄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안동지역에서 현재의 일일 온도변화 주기가 유지된다고 가정할 경우,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라 온도가 평년기온보다 2℃ 상승하였을 때, 과실 수량이 증가되고 품질도 유지되겠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수확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emperature elevated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in walk-in plant growth chambers. The intraday temperatures of climate normal years (IT) were determined using intraday mean temperatures of climatic normal years (1971~2000) in the Andong Province during the growing season (May 1~July 30). Red pepper plants were cultivat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starting at IT rise by up to 6℃, 2℃ increment). Plant height, stem diameter, branch number, leaf number, fresh weight and dry weight increased under the temperatures higher than IT. The number of flower was the greatest under IT+2℃ (mean temperature at 22.8℃). The total number and the weight of fruits were the highest under IT+2℃. While the fruit weight, fruit length and fruit diameter decreased more than IT+2℃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gradually. These results concluded that in condition that the current diurnal temperature change cycle is maintained in Andong area, in accordance with climate change scenarios, when the temperature rise 2℃ higher than intraday temperature of Andong area the quantity of pepper fruits will increase while maintaining quality, but increases more than that degree yields are expected to decrease significantl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fruit yield could increase under IT+2℃ and fruit quality could maintain great, but the fruit yield could decrease under the temperatures higher than IT+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