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및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거리감, 외국인 이미지, 한국인 인정조건을 중심으로

        임도경 ( Do Kyung Lim ),김창숙 ( Chang Suk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인식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다문화 인식 요인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외국인 이미지, 한국인 인정조건이었다. 이에 대한 선행요인으로는 권위주의, 자민족 중심주의, 인종차별, 외국인혐오, 외국인(범죄)에 대한 공포감을 연구했다. 자료수집은 전국 대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전자메일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후, SPSS+15.0을 통해 분석했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대학생들은 외국인집단에 따라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특히, 서양 백인 선호 경향이 여전히 존재했고, 중국인과 외국인 근로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사회적 거리감이 멀었다. 둘째, 외국인 집단별 이미지를 보면, 일본인과 외국인 유학생, 이주민 자녀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면, 외국인 근로자, 동남아시아인, 흑인, 중국인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셋째, 한국인 인정조건에 대해서 대학생들은 대부분의 조사항목에 대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와 비교했을 때, ``혈연``보다는 ``한국인으로서의 의식``을 더 중시하는 차이점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위의 다문화 인식 요인들에 대한 선행요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했다. 이중 외국인(범죄)에 대한 공포가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형성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런 연구결과를 보면 대학생들의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편견을 줄일 수 있도록 다문화에 대한 직·간접적인 경험 기회를 증대시킬만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후속연구에서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선행요인들을 찾아낼 것을 제안한다. We have performed a study on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its antecedent factors. In this study, we have considered social distance, image of foreign residents, and qualifications for being a Korean as factors of the perception, and authoritarianism, ethnocentrism, racial discrimination, xenophobia and fear of foreign residentsl` crime as their antecedent factors. Data were gathered by an e-mail survey of 1,000 students throughout Korea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We foun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different social distance with different foreign groups. Particularly, respondents showed tendencies of preference of western white people and low affinities with Chinese and low class foreign workers. The images on Japanese people, foreign students and the children of foreign immigrants were positive, whereas those on foreign workers, South East Asians, black people and Chinese were negative. Students noted that most of the qualification conditions to be considered as Koreans, which we formulated in this study, were important. Contrary to the general public, students thought the sense of self-awareness as Korean is more important than ethnicity. Among those antecedent factors, the fear of foreign crime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cing factor in shaping negative perception on foreign residents. In conclusion, we propose governmental policies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multi-culture directly and indirectly. And we suggest that further study explore other antecedent factor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is study.

      • KCI등재

        소셜미디어 이용자 유형에 따른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및 활동 유형에 대한 차이 연구

        김봉섭(Kim, Bong-Seob),신명희(Shin, Myoung-Hee),임도경(Lim, Do-Kyung),이인희(Lee, In-He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2

        소셜미디어어의 급속한 확산은 단순히 이용자 수의 증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제 분야에 급격하게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그러나 소셜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이 높아지고 대중적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지만 아직은 체계적인 논의나 연구가 초기 상태라 할 수 있다. 특히,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에 대한 객관적이고 세분화된 유형을 구분하고자 하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이용과 관련한 맥락과 상황을 토대로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세부적인 유형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또한, 세분화된 소셜미디어 이용자 집단을 바탕으로 이용자의 소셜미디어 이용 행위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소셜미디어 이용자 유형은 제한적 이용자 집단, 실험적 이용자 집단, 열성적 이용자 집단, 특화된 이용자 집단 순으로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셜미디어 열성적 이용자 집단의 특성은 대체로 남녀 비슷한 비율로 20~30대 층의 대학 재학 이상 고학력층에서 월소득 300만원 이상의 사무관리직 및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소셜미디어 이용자 집단 유형에 따른 이용동기는 크게 사회성동기, 보상동기, 유희동기, 정보동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성적 이용자 집단이 모든 유형의 동기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 이용자 집단 중 열성적 이용자 집단이 정치적활동, 관계형성활동, 사회참여활동, 문화활동 등 활동의 전 영역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소셜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의 증대와 대중적인 확산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소셜미디어 이용환경은 초기 확산 상태에 머물러 있으며, 소수의 열성적 이용자 집단이 현재의 소셜미디어 환경을 주도하고 있음을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rapid diffusion of social media has brought about a growing influence on the matters of society as well as the power of media attended by the large number of users. Little research and few discussions have been conducted about the impact of social media. At first, what this study attempts is to classify social media users who participate in social network activities by sharing information and producing content voluntarily based on the collective context and situation of social media usage. This study also tries to explor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users in terms of the detailed types of social media usage.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media user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limited user group, experimental user group, intense user group, and specialized user group. The intense user group consists of people with a degree higher than college-level education in their 20s and 30s. This group mostly includes office workers with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three million Won. The types of motivation in using social media include social, practical,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The intense user group’s motivation shows the highest among the other user groups, maintaining an active life style in various sectors of activities, such as public, social networking, participation, and cultur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ocial media usage currently is at a relatively primary stage of diffusion and is largely led by the intense user group by virtue of the growing power in social networking through the social med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