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 분만중 Prostaglandin E2와 모체혈청 Unconjugated ( Free ) Estriol 농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임광호(KH L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2

        정상 분만중 자궁수축을 추래하는 인자로 생각하는 PGE2와 estriol과의 관계를 규명코저 자궁구가 1cm개대 되었을때 정맥혈 채 취후 PGE2투여 한 20예와 투여하지 않은 10예에서 각각 혈중 unconjugated estriol을 RIA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던 바 다음과 같 은 결과를 보였다. 1. PGE2투여군에서 혈총 estriol level은 투여전의 평균치가 16.41±1.67ng/ml이었으며, 6시간 후에서의 평균치는 19.93±2.31ng/ml로서 증가량은 평균 3.52±1.20ng/ml이었다. 2. 대조군에서의 혈청 estriol level은 자궁수축 시작시 평균치가 15.6±0.72ng/ml이었고, 6시간 후의 평균치는 17.02ng/ml로서 증가량은 평균 1.32±0.47ng/ml이었다. 3. 분만이 정상으로 진행됨에 따라 혈중 estriol치는 증가하였으며, prostaglandin E2투여는 비투여군에서 보다 더 많은 량의 혈중 estroil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Unconjugated estriol concentration of maternal sera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RIA) in 30 case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ostaglandin E2(PGE2) on estriol levels of serum during normal labor, which act as a factor of labor. Samples of 10 cases were obtained 2 times from each patient at the beginning of labor and 6 hours later. In 20 cases, the first samples were obtained from each patient at the beginning of labor immediately bofore administration of PGE2(0.5mg) orally and the second samples were obtailed within 60 miniutes after total asministrarion(3.0mg) of PGE2. PGE2(0.5mg) was administered study of estriol concentration of these 2 group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striol concentration in the group which PGE2 was not administered was increased in 6 hours later to the levels of 17.02±0.79ng/ml comparing with levels of 15.6±0.72ng/ml at the beginnig of labor. 2. In the group of PGE2 administration, the estriol concentration reachedmarkedly in the second samples to the levels of 19.93±2.31ng/ml compairing with the levels of 16.41±1.67ng/ml in the first samples. 3. The mean increasing levels of serum estriol was 1.32±0.47ng/ml at the control group and 3.52±1.20ng/ml at the group administration of PGE2 respectively. 4. In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PGE2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maternal serum estriol during labor.

      • KCI등재

        임신중에 Endodermal Sinus Tumor와 Dysgerminoma 가 합병한 1예

        임광호(KH Lim),김영환(YW Kim),한영석(YS Han),황용우(YW Hw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11

        난소에서 발생하는 endodermal sinus tumor는 주로 20세 전,후에서 발생하며, 악성도가 심하여 치명율이 높다. 광범위 수술이나 방사선치료보다는 단순히 일측병소부위제거술 및 여러가지 화학요법을 실시하는 것이 어느정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저자들은 25세된 초임부에서 endodermal sinus tumor와 dysgerminoma가 혼재되어 발생한 난소배세포종을 1977년 7월 12일 광범위 수술후 방사선 치료하였으나 4개월만인 1977년 11월 16일에 사망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Endodermal sinus tumor is one of the most malignant neoplasms arising in the ovary. We are experienced one case of endodermal sinus tumor mixed with dysgerminoma in pregnancy and report it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자궁내 태아발육지연

        임광호(KH L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9

        출생시 체중이 2,500gm이하인 신생아를 조산아라 하여 연구되어 오던중 1947년 Mc Burney가 임신 38주 이상이면서 체중이 2,500gm이하인 신생아 그룹에서 합병증 발생율이 높으나 이들은 조산아가 아니라고 하였다. 1961년 WHO에서 조산아는 임신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이고 저체중아는 임신기간에 관계없이 출생시 체중이 2,500gm이하인 경우라고 구분하였다. 출생시 체중이 임신기간에 비해 적은 신생아(Small for date)와 단순히 임신기간이 짧기 때문에 오는 조산아 사이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1963년 Lubchenco와 Gruenwald는 임신기간에 비하여 체중이 적은 태아를 자궁내발육지연아(IUGR Infant)라 하여 관심을 보였는데 IUGRI는 주산기 사망율과 이환율이 높으며 선천적 이상, 분만중 저산소증, 폐출혈, 저체온, 저혈당증, Hyperviscosity, meconium aspiration의 발생율이 높고 출생 후 성장과정에 있어서도 신체적,정신적 발육이 나빠서 임상적으로 중요시 되고 있다. 출생시체중과 임신기간이 태아건강상태를 판정하는데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태아와 산모의 이학적 소견 및 이화학적 검사로 만족할만한 성적을 얻지 못하므로IUGR이 있으면 모체나 태아에 이상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IUGR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그림1) 다양하며 이들을 자세히 알므로써 IUGR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조기진단이 가능하며 산전·산후 관리를 잘 할 수 있다.

      • KCI등재

        Laparoscope 난관소작법에 의한 임난의 난관 통과방지로 인하여 발생한 자궁외 임신의 1예

        김영환(YW Kim),임광호(KH Lim),한영석(YS Han),조중동(JD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9

        불임시술중 복강경을 이용한 전기소작술 이전에 이미 수정된 수정란의 자궁강내 이동이 장애를 받아 발생된 난관임신을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Laparoscopic sterilization method is widely used for female sterilization, because of its safety, simplicity, less expensiveness and short hospitalization, comparing with previously used methods. The rate of failure also less than 2%, which is mainly due to luteal phase pregnancy before operation. We report a case of ectopic pregnancy which was developed after laparoscopic sterilization, interpreted as to impeded transportation of fertilized ovum to the uterus due to laparoscopic cauterization of the fallopian tubes.

      • KCI등재

        임신성고혈압 환자의 혈중 HPL농도에 관한 연구

        이준홍(JH Lee),임광호(KH Lim),백원민(WM Bae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3

        HPL은 태반의 syncytiotrophoblast cell에서 생산되며 주로 모체쪽으로 방출되는 태반성 hormone이다. HPL는 임신 6-8주부터 분비하여 임신말기에서 증가하며, 모체의 Glucose-FFA cycle에 작용하여 태아에게 포도당과 아미노산을 공급하므로 이의 측정은 임신후발기의 태반의 기능을 아는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특히 임신성고혈압은 자궁, 태반계의 혈액순환이 감소하고, 이에 가하여 신장으로부터 생산되는 renin-angiotensin계, 부신에서 생산되는 aldosterone의 작용이 가담되어 자궁 태반의 순환장애가 강하게 되어서 더욱 태반기능이 저하하여 HPL의 생산이 저하하게 된다. HPL의 정상치는 4-10 mg/ml이고 4 mg/ml를 경계로 하여 이보다 얕은 경우를 위험치로 보고 있다. 본 실험에서 임신성고혈압환자의 평균 HPL치는 3.0390+-1.0069 mg/ml로서 위험군치에 속하였다. Preeclampsia와 severe preeclampsia의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preeclampsia와 eclampsia와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이 정상임산부에서의 HPL 평균치는 6.741+-1.2554 mg/ml로서 정상군에 속하였다. 신생아의 상태는 Apgar score로서 나타내었는데 임신성고혈압 환자 20예중 10예에서는 경도 또는 중등도의 감소를 보였으며 2예에서는 신생아가 사망하였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신생아의 예후를 결정하는 데는 HPL 자체만으로 보다는 임상소견, 태아심음, 그 이외의 태아건강측정에 이용되는 여러 검사, 특히 estriol측정을 종합해서 판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Human placental Lactogen(HPL) secreted by the syncytiotrophoblast, is a single chain polypetide held together by two disulfide bonds. Maternal level of HPL can be altered by changing the circulating level of glucose. The metabolic role of HPL is to metabolize lipids as free fatty acids(lypolysis). Blood levels of HPL are related to placental function. Assay of the maternal HPL levels during pregnancy appears to be of value in screening patients for potential fetal complication, especially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HPL levels less than 3 micro g/ml, when measured between 35 and 40 weeks of gestation, are associated with fetal distress or neonatal asphyxia, that is, the area below 4 micro g/ml after 30th week of gestation are regarded as a fetal danger zone. There were several reports suggesting that the assay of HPL in maternal serum is valuable as a placental function test. Twenty venous samples of serum of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cases & during last trimester were undertaken to determine the maternal HPL level as an index of placental function. Serrm levels of HPL were measured 3 times daily in pregnancy-incuded hypertension cases and controls between 27 to 42 weeks of gestation.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During last trimester, maternal HPL level of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cases was 3.039+-1.0069micro g/ml, the level of high risk. 2. Serum level of HPL in 10 normal pregnancy was 6.741+-1.2554 micro g/ml. 3. Levels of HP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clampsia than in preeclampsia or normal pregnanc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eclampsia and severe preeclampsia. 4. The conditions of bewborn infants were represented as Apgar score. 1 of 20 cases were moderately or severely depressed and 2 cases were expired.

      • KCI등재

        임신중절을 목적으로 고농도식염수 주입에 의한 자궁괴사 및 복막염의 1예

        김영환(YW Kim),박의호(EH Park),임광호(KH Lim),한영석(YS Han),황용우(YW Hw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2

        결론 저자들은 30세의 경산부에서 양막내 고농도식염수를 사용하여 임신중절 시킨 후 자궁괴사와 복막염을 일으킨 1예를 경험 하였기 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xtensive uterine necrosis and peritonitis occured after the injection of hypertonic saline to terminae pregnancy is a rare and grave condition. Recently, authers exprienced a case of termination of pregnancy by this technic at our Dept. of Obetrtric & Gynecology. A case of uterine necrosis and perironitis after the kypertonic saline abortion is presented with brief literature.

      • KCI등재

        산부인과 영역에서의 수술후 Prostaglandin F2a 의 효과

        고성민(SM Ko),최상준(SJ Choi),임광호(KH Lim),조정식(JS CHO),김치문(CM Kim),백원민(WM Baek),오세량(SR 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6

        산부인과적 개복수술예에서 수술후 장관운동 회복을 촉진하기 위하여 Prostaglandin F2a를 투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복명까지의 소요시간과 배변까지의 소요시간이 모두 현저하게 단축되었다. 2. 수술후의 동통정도와 발열 등의 합병증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다. 3. 배기까지의 소요기간과 연령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To assess the recovery of the interstinal movement after surgery Prostaglandin F2a was administered to the patients at 6 and 18 hours after completion of abdominal surgery. The result wer as follow ; the times from the completion of operation to recovery of intestinal peristalsis gas-out , and defection were markedly shortened compared with control. No complications due to administration of Prostaglandin F2a were observed

      • KCI등재

        Prostaglandin E₂가 분만효과에 미치는 영향

        최영희(YH Choi),정종호(JH Chung),정혁(H Jung),임광호(KH L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8

        초산부 23예와 경산부 17예 모두 40예를 대상으로하여 유도분만을 목적으로 PGE₂ 0.5mg을 1시간 간격으로 경구투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도분만 40예중 그 성공율은 80%로서 초산부에 78.3% 경산부에서 90%였다. 2. Pelvic score가 0~6사이인 곤란군에서는 62.5%의 유도분만 성공율을 보였으나 Score가 7~13사이인 용이군에서는 91.7%에서 유도분만이 성공하여 Pelvic score의 증가에 따른 성공율의 증가가 현저하였다. 3. 조기파수가 없었먼 예에서는 성공율이 초산부에 70.6% 경산부에서 76.9%이었는데 조기파수에서는 초산부나 경산부에서 100% 성공하여 조기파수군이 비파수군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4. PGE₂의 투여 시작에서 태아 만출까지의 평균소요시간은 초산부 9. 5시간 경산부는 8.1시간이었다. 5. 투여된 PGE₂의 평균용량은 Bishops score가 낮은 곤란군에서 많고 용이군에서 적다. 6. 유도분만 40예중 성공예 32예는 질식분만하였으며 2예는 자연진통이 발생하여 질식분만하였으며 1예에서 유도분만의 실패로 제왕절개술을 시행하였다. 7. 분만된 신생아의 Apgar score는 1분치에서 7 이상이 93.8%이었으며 5분치에서는 7 이상이 93.8%로 신생아의 건강상태는 양호하다. 8. 투약도중 나타난 부작용은 오심이 2예(5%), 구토 1예 (2.5%) 자궁의 고장성수축 1예 (2.5%)이었다. Oral prostaglandin E₂, tablets were used for induction of labor in 40 women, avidas and multigravidas. They received PGE₂ (0.5mg) hourly for 6 times as 1 Kur. If it fails in 1 Kur, second dosage regimen was given in the next morning as a second Kur. Amniotomy was performed in all cases, when cervix was dilated about 3~4cm. Success of induction was defined as the occurrence of vaginal delivery within 24 hours of the start of PGE₂ medication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uccess rate of induction was 78.3%(18 of 23 cases) in prigravidas, 90%(14 of 17 cases) in multigravidas. 2. It showed the higher pelvic score, 3. The success rate of induction was membrane, 100%(10 of 10 cases) in the group of premature ruptured membrane. 4. Mean total dosge of PGE₂ was 3.1mg. 5. Mean induction-delivery time was 9.5 hours in primigravidas, 8.1hours in multigravidas. 6. Sido offocts were nausea(5%), vomiting(2.5%), uterine hypertonicity(2.5%)

      • KCI등재

        임신가토에 있어 Oxytetracycline의 흡수와 배설에 관한 연구

        김현중(HJ Kim),이철진(CJ Lee),문호길(HG Moon),임광호(KH L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1

        약물의 생체내 이용 효율에 관한 연구로 Oxytetracycline의 흡수와 배설을 매시간당 6회에 걸쳐 측정하여 임신가토, 비임신 가토 및 웅성 가토와 비교 관찰하였다. 1. 임신 초기 자성, 가토군, 임신말기 자성 가토군, 비임신 자성 가토군 및 웅성 가토군에서 흡수된 Oxytetracycline의 혈중 농도는 2시간째에 최고농도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의 혈중농도는 각각 28.0 mcg/ml, 24.0 mcg/ml, 33.0 mcg/ml 및 30.0 mcg/ml이다. 2. 임신 초기 자성 가토군, 임신말기 자성 가토군, 비임신 자성 가토군 및 웅성 가토군에서 흡수된 Oxytetracycline의 뇨 배설량은 역시 2시간째에 최고에 달하게 되는데 이때의 측정치는 각각 31.36 mcg/min, 26.64 mcg/min, 37.95 mch/min, 34.50mcg/min이다. 3. Oxytetracycline의 뇨중 청소율은 각군에서 1.04 ml/min내지 1.05 ml/min로서 별 변동이 없었다. The absorption and excretion of oxytetracycline in pregnant rabbit for drug availability were measured hourly at 6 times to compare with them in non-pregnant rabbit group and male rabbit group. 1) The blood levels of oxytetracycline in early pregnant rabbit group, late pregnant rabbit group, non-pregnant rabbit group and male rabbit group were respectively 28, mcg/ml, 24.0mcg/ml, 33.0mcg/ml and 30.0 mcg/ml at the second hour, which they were in peak. 2) The excretion of oxytetracycline in early pregnant rabbit group, late pregnant rabbit group, non-pregnant rabbit group and male rabbit group were respectively 31.36mcg/min, 26.64mcg/min, 37.95 mcg/min and 34.50 mcg/min at the second hour, which they were in peak. 3) The urinary clearance rates of oxytetracycline in blood were evenly unchangable in each groups in the range from 1.04 ml/min to 1.15 ml/min.

      • KCI등재

        폐전이 없이 신장, 비장전이 및 자연 파열을 동반한 융모상피암 1 예

        강영식(YS Kang),조정식(JS CHO),황용우(YW Hwang),임광호(KH Lim),김성용(SY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8 No.3

        Choriocarcinoma is a highly malignant, frequently metastatic form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The most common sites of metastatic involvement with trophoblastic tumors are the pulmonary parenchyma and the vagina. But the renal and splenic involvements are rare. Therefore these involvement are rarely detected in asymptomatic patients by clinical examination. We report a case of choriecarcinoma metastasized to the Lt kidney and spleen which was diagnosed 8 months later of loss of follow-up after molar evac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