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 -몇 가지 주요 특징들에 대한 탐구-

        임경헌 ( Im¸ Kyungh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8 가톨릭철학 Vol.0 No.30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에 관한 주요한 논쟁 중의 하나는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에 관한 것이다.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에 관련된 논쟁은 내용상 2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이 어떻게 파악되는지를 묻는 인식론적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그것들이 행위의 규범성과 관련하여 어떤 성격을 가지는지를 묻는 질문이다. 이러한 논쟁은 주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에 대한 전통적 해석을 지지하는 학자들과 신자연법이론을 대표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발생했다. 전통적 해석에 따르면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이 파악되기 위해서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사변적 탐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그렇게 파악된 제일 원리들은 또한 행위와 관련된 규범적 성격을 갖게 된다. 그러나 신자연법이론에 따르면 제일 원리들은 실천이성에 의해 직관적으로 파악되고, 어떠한 규범적 성격도 가지지 못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텍스트에 근거해서 이러한 두 해석을 조화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제일 원리들의 인식과 관련해서는 신자연법이론이 토마스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제일 원리들의 규범성과 관련해서는 전통적 해석이 토마스에 관한 올바른 해석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핵심적으로 신데레시스, 원리들의 이해, 직관적 지성, 그리고 능동지성 등의 상호관계를 밝히고 있으며, 또한 사변이성과 실천이성의 구분과 역할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토마스의 자연법을 근본적으로 이해하려고 할 때, 영원법의 의미와 역할을 애써 부인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부분적으로 긍정한다. An important debate over Thomas Aquinas’ natural law is about the first principles. This debate can be divided into two questions: how are they epistemologically grasped, and can they have a normative force or not? This controversy is mainly discussed between the scholars who follow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omas Aquinas’ natural law and the scholars who represent the so-called New Natural Law Theory.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human nature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irst principles of natural law; because of this, they can also have a normative character. But the New Natural Law Theory maintains that the first principles (or basic goods) are intuitively grasped by practical reason and have no normative force.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 new interpretation strictly based on the texts of Thomas Aquinas, which can harmonize the two controversial interpretations. To do so, this article is devoted to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ynderesis, intellectus principiorum, intellectus agens, and intuitive intellect. In additi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peculative and practical reasons and their roles are discussed. This paper partly accepts the thesis arguing that it is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the Thomistic theory of natural law to know the meaning and role of the eternal law. As a result of this study, I conclude that the New Natural Law Theory is correct concerning the epistemological matter of the first principle of natural law; but in respect to normativity,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is the better one.

      • KCI등재

        자연법 개념의 두 의미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론을 중심으로-

        임경헌 ( Im¸ Kyungh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1 가톨릭철학 Vol.- No.37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론에서 주요한 논쟁 중의 하나는 자연법 개념과 관련된다. 신자연법론자들은 자연법의 일차적 계명들이 양지에 의해 직관적으로 파악되고, 기본선들은 선-도덕적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환원주의자들은 양지에 의해 파악된 자연법의 일차적 계명들은 토마스에서 아직 본래적 의미의 자연법이라 칭해질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것이 자연법이라 칭해질 수 있기 위해서는 사변이성이 영원법과 인간 본성 및 최종 목적의 관점에서 그것들을 규범적으로 질서 지을 때이다. 본 연구는 이 문제를 다룬다. 본 연구는 토마스에서 이중의 자연법 개념이 있음을 밝히며 이 문제의 해결을 시도한다: (1) 고유한 의미의 자연법 (2) 규범적 의미의 자연법. 토마스에서 자연법의 고유한 의미는 기본적으로 양지에 의해 파악된 비-규범적인 자연적 경향성들 자체를 의미한다. 그러나 토마스는 고유한 의미의 자연법에 사변적 반성이 더해져 규범적 의미를 갖는 자연법 개념도 자유롭게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토마스의 자연법을 ‘고유한 의미의 자연법’으로 받아들이되, 그것이 ‘규범적 의미의 자연법’으로 해석될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 혹은 규범적 의미의 자연법을 주장하되, 항상 ‘고유한 의미의 자연법’을 토마스의 기본적인 자연법 개념으로 먼저 인정하고 전제해야 한다. One of the main controversies in Thomas Aquinas’s theory of natural law relates to the concept of natural law. The New Natural Law theorists argue that the first precepts of natural law are intuitively grasped by the synderesis, and that the basic goods are pre-moral. On the other hand, the reductionists believe that the first precepts of natural law grasped by synderesis cannot yet be called natural law in the proper sense in Thomas. It can be called natural law, only when speculative reason normatively orders them in terms of eternal law, human nature and ultimate end of human being. This study addresses this issue.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this problem by revealing that there is a double concept of natural law in Thomas: (1) natural law in the proper sense (2) natural law in the normative sense. In Thomas, the proper meaning of natural law basically means the non-normative natural inclinations themselves grasped by the synderesis. However, Thomas freely uses the concept of natural law, which has a normative meaning by adding speculative reflection to the natural law in the proper sense. Therefore, we should accept Thomas’ natural law as a ‘natural law in the proper sense’, but leave the possibility open that it can be interpreted as a ‘natural law in the normative sense’. Or after claiming the natural law in the normative sense, we should always acknowledge and presuppose the ‘natural law in the proper sense’ as the Thomas’ basic meaning of the concept of natural law.

      • KCI등재

        현명과 다른 덕들의 연결에 관한 연구 -토마스 아퀴나스의 덕론을 중심으로-

        임경헌 ( Im Kyungh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2 가톨릭철학 Vol.- No.39

        토마스 아퀴나스의 덕론에서 ‘덕의 연결’에 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현명과 도덕적 덕들 혹은 습득덕과 주입덕의 연결을 주로 다뤄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명에 연결되는 ‘지성적 덕들’이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현명은 도덕적 덕들로부터 올바른 목적을 가진다. 그러나 도덕적 덕이 욕구 능력의 탁월성인 한, 거기에는 올바른 목적에 대한 이성 능력의 선행하는 파악과 판단이 전제되어야 한다. 우선 현명은 지성적 덕의 한 종류인 원리들의 이해로부터 제일 원리들(목적들)을 획득한다. 그러나 원리들의 이해는 인간의 마땅한 최종 목적이 무엇인지 말해주지 않는다. 그럼에도 완전한 덕으로서의 현명은 여러 자연적 좋음들 중에서 무엇이 왜 마땅한 최종 목적이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왜, 어떻게 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앎을 요구한다. 이러한 앎은 윤리학을 통해, 즉 학문의 덕을 달성한 자에 의해 주어진다. 그러나 윤리학의 가장 중요한 원리인 최종 목적은 원리들에 이해에 의해 파악되지 않기 때문에 아직 불분명하다. 그리고 이것은 모든 학문의 제일 원리들에 관여할 수 있는 지혜의 덕에 의해서만 분명해질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현명은 지성적 덕들(원리들의 이해, 학문, 지혜)와 연결된다. 이러한 연구는 결과적으로 토마스 윤리학의 형이상학적 토대를 강조하게 된다. 그러나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고, 오늘날 윤리적 논의에 어떤 의미가 있을 수 있는지는 더 연구되어야 할 과제로 남는다. In Thomas Aquinas’s Theory of Virtue, the studies on the ‘connection of the virtues’ has mainly dealt with the connection between prudence and moral virtues, or between acquired and infused virtu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at there are ‘intellectual virtues’ that are connected to prudence. Prudence has a right end from moral virtues. But insofar as moral virtue is the excellence of the faculty of desire, it must be predicated on the prior grasp and judgment of the faculty of reason for the right end. At first prudence acquires the first principles (purposes) from the understanding of principles, which is a kind of intellectual virtue. But th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does not tell us what the proper end of man is. Nevertheless, prudence as ‘a perfect virtue’ requires a clear view on the due end and means in the entire human life. This knowledge is given through ethics, an intellectual virtue of science. However, the ultimate end,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ethics, is still unclear because it is not grasped by th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And this can be made clear only by virtue of the wisdom which can relate to the first principles of all science. In this way prudence is connected to the intellectual virtues (understanding of principles, science, wisdom). The result of this study emphasizes the metaphysical foundations of Thomas’ ethics. However, how it develops in detail and what implications it may have in today’s ethical discussion remains a subject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자연법에서 인정법을 이끌어내는 과정 연구 - 토마스 아퀴나스의 법론을 중심으로 -

        임경헌 ( Im Kyunghun ) 한국중세철학회 2021 중세철학 Vol.- No.27

        본고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법론에서 어떻게 올바른 인정법 혹은 도덕규범들이 자연법으로부터 이끌어져 나오는지를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목적과 현명의 역할을 강조하는 ‘덕 중심 해석’과 실천이성에 어떤 도덕성의 원리를 부과하려는 ‘도덕원리 중심 해석’을 비교한다. 본고의 연구에 따르면 토마스에서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혹은 기본선들)은, 그것이 양지에 의해 파악되는 한 선도덕적이지만, 이성에 의해 목적론적으로 반성될 수 있는 한에서 도덕적 성격을 지닐 수 있다. 따라서 이미 도덕적인 자연법에서 올바른 인정법을 구체화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여전히 목적과 현명의 역할이다. 이는 곧 실천이성이 자연법으로부터 올바른 인정법과 구체적인 도덕규범들을 이끌어내기 위해 (자연법과 구분된) 도덕성의 제일 원리와 같은 것을 추가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이러한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본고는 특히 도덕원리 중심 해석의 주요 근거들을 비판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right human laws or moral norms are derived from the natural law in Thomas Aquinas' theory of law. In this process, this paper compares the virtue-centered interpretation,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the end and prudence, with the moral principle-centered interpretation, which seeks to impose a certain principle of morality on practical reason. According to this study, in Thomas the first principles of natural law(or the basic goods) are pre-moral as far as they are grasped by synderesis, but can have a moral character insofar as they can be teleologically reflected by reason. Therefore, the role of the end and prudence is important to embody the right human law from the already moral natural law. This means that practical reason does not additionally need anything like the first principle of morality to derive the right human law and concrete moral norms from the natural law. In order to justify this claim, this paper especially criticizes some important elements of the moral principle-centered interpretation.

      • KCI등재

        삶의 고통 - 그리스도교적 관점에 대한 철학적 분석 -

        임경헌(Im, Kyunghu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0 인간연구 Vol.0 No.41

        인간의 삶은 왜 고통스럽고, 어떻게 인간은 그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에 이를 수 있는가? 이 질문과 관련하여 본고는 그리스도교적 관점을 철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시도한다. 그리고 그것을 구체화하기 위해 김수환 추기경의 사상과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을 비교한다. 방법론적으로 본 연구는 인간의 고통의 문제를 (신과 변신론의 관점이 아니라) 인간의 관점에서 탐구한다. 즉 고통 받는 인간의 측면에서 고통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것에서 벗어날 수 있는 ‘원리’를 모색하고자 시도한다. 본고는 핵심적으로 모든 인간의 고통의 원인을 욕구된 것이 좌절되는 데서 찾았다. 그리고 그러한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우선 욕구대상에 대한 올바른 이성적 판단이 필요한데, 그것은 곧 신의 섭리를 이해하는 지혜(sapientia)로 수렴된다. 거기에 덧붙여 인간은 또한 욕구력의 올바른 습성, 즉 올바른 성격을 달성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리 이성적 판단이 올바르더라도, 부정적이고 고통스러운 감정이 삶을 지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토마스에 따르면 인간이 이 세상의 삶에서 고통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것은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인간의 이성은 신의 섭리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단지 변신론적 탐구를 통해 구체적인 고통의 의미를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노력할 뿐이며, 더 나아가 신학적 덕들을 통해 그러한 고통이 무의미하지 않을 것을 믿을 뿐이다. Why is human life painful, and how can humans escape suffering and attain happiness? This paper attempts to philosophically analyze the Christian view, which is embodied by comparing Stephen Cardinal Kim Sou-hwan’s ideas with Thomas Aquinas’ philosophy. Methodologically, this study explores the problem of human suffering from the human perspective (rather than the divine perspective of theodicy). In other words, it attempts to analyze the causes of pain regarding the suffering of humans and find a “principle” that enables human being to escape from it. This article determines the frustration a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all human suffering. To escape from such suffering, first of all, one must exercise a correct, rational judgment of the object of desire, which converges with the sapientia about divine providence. In addition, man must also attain the correct habit of desire—the right character. Otherwise, regardless of how correct the rational judgment is, negative and painful feelings can rule life. However, according to Thomas, it is impossible for man to be completely free from suffering in the life of this world because human reason cannot fully understand divine providence. We only try to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of specific suffering through the inquiry of theodicy, and further through theological virtues, to believe that such suffering will not be meaningless.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에서 지성과 의지의 관계 - 최초의 운동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힌트 -

        임경헌(Im, Kyunghu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3 No.-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에서 가장 논쟁이 많이 되는 주제들 중의 하나는 지성과 의지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토마스에 따르면 지성과 의지는 기본적으로 활동에서 상호의존적이다. 그러나 토마스는 맥락에 따라 지성 혹은 의지의 우선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지성과 의지의 관계에 관한 그의 견해가 정확히 무엇인지에 관해 많은 논쟁이 있어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결정적 계기가 지성과 의지의 최초의 운동에 관한 그의 설명에서 주어진다는 점에 주목한다. 토마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에우데모스 윤리학』의 한 구절에 근거해서 최초의 운동은 신(deus)에 의해 시작된다고 말한다. 문제는 이때의 신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밝히는 것인데, 본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토마스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그 신은 능동지성(νοῦς ποιητικός, intellectus agens)을 의미함을 밝힌다. 더 나아가 토마스에게서 지성과 의지는 활동에서 상호의존적이기 때문에 그 우열을 논할 수 없지만, 적어도 최초의 운동의 관점에서 말한다면 토마스는 (의지의 활동이 최초에 지성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명백한 주지주의자임을 주장한다. 본고는 또한 이러한 해석이 신이 지성과 의지의 본성의 원인이라는 해석과 신만이 의지를 직접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해석을 포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most controversial theme in the philosophy of Thomas Aquinas is arguably his commentary on the relation between intellect and will. According to Aquinas, intellect and will are fundamentally interdependent; however, in certain contexts, he prioritizes either the intellect or the will in their movement. Thus, the question raised then becomes: What is the precise position of Aquinas on the relation between intellect and will? To answer this, the research here focuses on Aquinas’ explanations for the first movement of intellect and will,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is the most definitive text for understanding his thoughts on the subject. Aquinas, based on Aristotle’s Eudemian Ethics, maintains that the first movement begins with God. Following this statement, a subsequent question arises: What does God exactly mea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 argue that God refers to the active intellect (νοῦς ποιητικός, intellectus agens) and that it would be inappropriate to try to determine the leading agent, as intellect and will always work interdependently. Yet, Aquinas demonstrates himself to be a clear intellectualist in a discussion about the very first movement, moving forth with the given that the first movement of the will must first be premised upon the movement of the intellect. In addition to this point of issue, I explain that such reading of this research here could comprise two other interpretations of this issue: one insisting that God is merely the cause of the nature of intellect and will and the other insisting that only God can directly cause the first movement of the will.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덕론에서 양지(synderesis)의 역할과 의미

        임경헌 ( Im Kyungh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0 가톨릭철학 Vol.0 No.35

        행위의 올바른 목적은 도덕적 덕에 의해 설정되고, 현명은 수단에 대한 탐구에 관여한다. 따라서 현명은 도덕적 덕을 전제한다. 그러나 도덕적 덕 또한 현명을 전제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도덕적덕은 중용에 대한 파악을 전제하는데, 바로 그것이 현명에 의해 파악되기 때문이다. 결국 현명과 도덕적 덕은 그 발생과 활동에서 상호의존적 순환관계에 놓이게 된다. 그렇다면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가? 토마스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 발생한 것으로 말해지는 이 문제가 토마스의 양지(synderesis) 개념에 의해 해결되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그들은 행위의 올바른 목적이 설정되는 과정에서 양지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다양한 평가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두 가지를 목적으로 한다: (1) 토마스 덕론에서 양지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것과 (2) 행위의 올바른 목적이 설정되는 과정을 재구성하되, 특히 양지를 중심으로 도덕적 덕과 현명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고는 토마스가 양지 개념을 아리스토텔레스의 능동지성 개념으로 편입시켰다는 것, 양지가 행위의 목적들을 파악하나 그 도덕성까지 파악하지는 않는다는 것, 그리고 현명이 목적들 자체에 대한 파악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 등을 주요하게 밝힐 것이다. The right or moral end of action is set by moral virtue, and the prudence is involved in the inquiry for means. Therefore, prudence presupposes moral virtue. But moral virtue must also presume prudence. For moral virtue presupposes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 and that is what is grasped by the prudence. In the end, prudence and moral virtue are placed in interdependent cyclical relationships in its occurrence and activity. Then how can this problem be solved? Thomists say that this problem, commonly said to have occurred in Aristotle ethics, has been solved by Thomas’s synderesis-concept. And they provide different estimations of the role and the meaning of synderes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ight end of the action.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he followings: (1)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role and the meaning of synderesis in the Theory of Virtue of Thomas Aquinas (2) to reconstruct the process in which the right or moral end of action is established, especially to identify the role of moral virtue and prudence in relation of syndere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is paper argues mainly that Thomas incorporated the concept of synderesis into Aristotle’s concept of active intellect, that synderesis grasps the ends of the action but not its morality, and that prudence does not participate in grasping the ends themselves.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현명(prudentia) 개념 - 자연법의 일차적 계명들 및 도덕적 덕의 목적들에 대한 앎을 중심으로

        임경헌 ( Im Kyunghun ) 한국중세철학회 2020 중세철학 Vol.0 No.26

        토마스 아퀴나스에 따르면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의 목적은 욕구능력의 탁월성인 도덕적 덕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지성능력이 우선 무엇이 도덕적 덕의 목적들인지를 파악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확히 지성의 어떤 부분이 그것을 파악하는가· 그런데 이 질문에 대한 토마스의 답변은 일견 비일관적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그는 한편으로 양지(synderesis)가 그것들을 직관적·무오류적으로 파악한다고 말하는 듯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현명(prudentia)이 숙고적 추론을 통해 그것을 파악하는 것처럼 서술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문제에 대한 토마스의 정확한 입장은 무엇인가· 이 질문은, 그것이 양지에 의해 파악된 것의 내용과 성격에 관련되는 한, 토마스에서 자연법의 일차적 계명들이 어떻게 파악되고 그것이 곧 도덕적 함의를 지니는지를 묻는 질문과 직결된다. 그리고 그런 한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바로 이 질문을 다룬다. 본고의 목적은 이 문제를 양지의 역할을 축소시키고 현명의 역할을 확대하여 해결하려는 해석을 비판하고, 목적 문제에서 양지와 현명의 역할을 다시 적절히 잡아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 따르면 양지는 형식적 목적들뿐만 아니라 구체적 목적들을 직관적을 파악한다. 그러나 양지에 의해 파악된 목적들(혹은 자연법의 일차적 계명들)은 도덕적으로 중립적이다.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사변지성 혹은 실천지성(즉 현명)이 추론을 통해 확립해야 할 몫으로 남아 있다. 특히 현명은 한 구체적 상황에서 올바른 목적을 판단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According to Thomas Aquinas, the end of morally right action is set by the moral virtue, which is excellence of the appetitive power. And it is possible, because the intellectual power apprehended in advance the ends of the moral virtue. So exactly what part of the intellect does them grasp? Thomas' answer to this question seems to be inconsistent at first sight. Because he seems to say that on the one hand, synderesis grasps them intuitively and errorlessly, but on the other hand, prudentia apprehends and judges them through the deliberate reasoning. Then what is Thomas' exact position on this matter? This question is directly linked to the question of how the first precepts of the natural law are apprehended in Thomas and whether they have a moral implication, insofar as it relates to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what has been apprehended by synderesis. And in that respect, the question is of great importance. This article deals with this very ques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the interpretation of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by reducing the role of synderesis and expanding the role of prudentia, and to properly re-establish the role of synderesis and prudentia in the matter of end. According to this study, synderesis has an intuitive grasp of specific ends as well as formal ones. However, the ends identified by synderesis (or the frist precepts of the natural law) are morally neutral. To judge what the ends of morally right action are remains as the task of the speculative and practical intellect (i.e., prudentia) and they should establish the moral ends through reasoning.

      • KCI등재

        행위의 도덕성 확립에서 지혜(sapientia)와 형이상학적 앎의 역할

        임경헌 ( Im Kyunghun ) 한국중세철학회 2023 중세철학 Vol.- No.29

        토마스 아퀴나스의 실천철학에서 보편적 도덕 원리들이 어떻게 확립되는지에 대해 지난 몇십 년간 많은 논쟁이 있었다. 일군의 연구자들은 실천이성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행위의 도덕성 확립에서 사변이성의 역할을 전적으로 부정한다. 다른 연구자들은 인간 본성에 대한 사변이성의 탐구와 목적론적 질서의 확립이 도덕규범들의 확립에 결정적이고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해석들을 비판적으로 평가 및 계승하는 가운데, 보편적 도덕 원리들의 확립에 형이상학적 앎의 탁월성에 도달한 지혜가 하나의 필요조건임을 보여준다. There has been much debate over the past few decades about how universal moral principles are established in the practical philosophy of Thomas Aquinas. A group of researchers emphasizes the autonomy of practical reason and completely denies the role of speculative reason in establishing the morality of action. Other researchers argue that the investigation of speculative reason about human na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a teleological order are crucial and sufficient for the establishment of moral norms. While critically evaluating and inheriting these interpretat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role of wisdom that has reached the excellence of metaphysical knowledge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 moral princi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