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동${\cdot}$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종조성

        이평강,박철,문창호,박미옥,권기영,Lee, Pyung-Gang,Park, Chul,Moon, Chang-Ho,Park, Mi-Ok,Gwon, Kee-Young 한국해양학회 2001 바다 Vol.6 No.2

        1999년 3월, 7월, 9월 및 11월에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종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 정점은 지리적 위치보다는 각 조사시마다 표층 염분을 현장에서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96종이 동정되었으며, 그 중 돌말류가 60종으로 전 조사해역에서 출현하였다. 저염분역에서는 녹조류의 종수가 비교적 높았으며 고염분역으로 갈수록 와편모조류의 종수가 증가하였다. 월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평균 값은 $183{\sim}833$cells/m의 범위로 11월에는 5${\sim}$15 psu 염분역에서 Skeletonema costatum의 bloom이 발생하였으며 초저염분역에서 현존량의 급격한 감소는 3월에 관찰되었다. 염분이 8.1 psu 이하의 분포를 보였던 강우기인 7월에 대부분의 조사해역에서 녹조류가 우점하였다. Chroomonas spp.는 3월과 9월에 높게 우점하였으며 고염분역으로 갈수록 현존량이 증가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3회의 조사에서 총 83개의 분류군이 검색되었고, 이중해산 분류군은 총 72개로 요각류가 34개 분류군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담수 분류군은 총 11개로 수서 곤충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종 조성은 해수의 유입에 의해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수종이 출현하는 염분 한계는 시기적으로 달랐는데, 7월에는 8.1 psu 이하에서 , 9월에는 4.7 psu 이하에서 , 11월에는 0.2 psu 이하에서만 출현하였다. 하구역 염분 변화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출현 양상의 특징은 풍수기에서 갈수기로 진행되면서다소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대체로 중간 정도의 염분 구역에서 출현 종과 개체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iomass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were investigated in March, July, September and November, 1999. The locations of sampling sites were set based on the surface salinity during each cruise rather than geographic locations. A total of 96 phytoplankton species were identified with 60 diatom species in the study area. The species number of green algae was relatively high in low salinity region while the number of dinoflagellates increased in high salinity areas. Monthly mean of phytoplankton biomass ranged from 183 cells/ml to 833 cells/ml. There was a diatom bloom of Skeletonema costatum in November at the 5-15 psu salinity region and sharp decrease of biomass in very low salinity region occurred in March. During the rainy season in July with the salinity less than 8.1 psu, the green algae dominated in most of the study areas. Chroomonas spp. were highly dominant in March and September and the biomass increased towards the high salinity regions. A total of 83 zooplankton taxa were identified with 72 marine and 11 freshwater taxa. Major group of marine form was copepods with34 taxonomic groups. Most freshwater taxa were aquatic insects. Threshold salinities of freshwater zooplankton appearance were 8.1 psu in July, 4.7 psu in September, and 0.2 psu in November. The number of taxa appeared and abundances of zooplanktons were minimal in the middle of salinity gradients in this estuary.

      • KCI등재후보

        망목 크기가 동물플랑크톤 분포 자료 및 군집해석에 미치는 영향

        이평강,박철,Lee, Pyung-Gang,Park, Chul 한국해양학회 2004 바다 Vol.9 No.1

        망목 크기가 다른 네트를 사용하여 같은 지역에서 동시에 채집한 동물플랑크톤 자료를 비교하였다 작은 망목의 네트가 상대적으로 적은 종류의 분류군을 포함하였다. 그러나, 망목의 막힘 현상(clogging) 때문에 인양 거리가 짧아져 시료의 크기(sample size)가 작아진 점과 채집된 개체들이 대체로 작은 것이어서 분류상의 어려움으로 상위 분류군으로 검색된 점 때문에 망목 크기와 채집되는 분류군의 다양성 관계는 일반화하기 어려웠다. 개체수의 관점에서는 큰 망목의 네트가 크기가 큰 동물들을 보다 많이 채집하고, 작은 망목은 크기가 작은 동물을 보다 많이 채집하였으며, 작은 크기의 동물들이 한 order정도 더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망목 차이에 기인한 선택적 채집 강도의 영향으로 인하여 주성분 분석을 통한 군집분석의 결과는 서로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We compared two different zooplankton data sets simultaneously obtained at the same place with different mesh-sized nets. Smaller mesh-sized net yielded less diverse zooplankton taxa. However, it wa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mesh of the net used and the length of the species list observed. It was not only because the sample sizes obtained by smaller mesh net were relatively smaller due to the clogging problem but also because smaller mesh net usually collected more tiny animals that were difficult to identify at lower taxonomic categories. In terms of abundances, on the other hand, the smaller and the larger mesh-sized nets collected smaller and larger-sized animals more effectively, respectively. The abundances of small sized animals were usually greater than those of large-sized animals by about an order of differences. Due to this different catchability of the nets, the community analyse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led to different results for the same community.

      • KCI등재

        아산만 요각류 Calanus sinicus 의 알 생산

        박철,이평강 ( Chul Park,Pyung Gang Lee ) 한국수산과학회 199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8 No.1

        Seasonality in biomass and egg production was investigated for Calanus sinicus, one of the major copepods in Asan Bay, Korea. Biomass of this species in this restricted embayment showed only one peak in spring, but egg production showed two peaks, spring (April and May) and fall (September). Average egg productions during the spawning seasons were 16.3 eggs/female/day (spring) and 7.6 eggs/female/day (fall) with maximum egg production of 39.0 eggs/female/day. Food concentrations in this bay measured in terms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were relatively high around the year, and correlation between egg production and POC was not significant. With the food provided sufficiently animals produced a lot of fecal pellets, but egg production was ceased after several days of experiment. From these results it was believed that egg production in this bay was influenced by food quality and feeding history rather than food concentrations. Habitat temperatures also seem to have influence on egg production from the facts that no egg was produced at extreme habitat temperatures, alth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was not significant. In this bay, two generations with different time periods seem to progress yearly. Distribution was coupled with life cycle only at certain time of the year. During the other periods predation pressure by the higher trophic levels and shift of the centers of the distributions toward deeper outer bay seemed to be responsible for the observed distribution and egg production of this species in this bay. Comparing with the previous reports, migration of fairly long distance and continual reproduction seemed possible for this species.

      • KCI등재

        계절과 염분 변화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변화

        박철,이평강,양성렬,Park, Chul,Lee, Pyung-Gang,Yang, Sung-Ryull 한국해양학회 2002 바다 Vol.7 No.2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 경사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양적 분포를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하구역이라 하나 전 계절 연안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전 계절 담수 유래종은 매우 미약하였다. 평균 총량으로 봄에 3,000 개체/m$^3 $이상의 많은 개체수가분포하며 여름에 다소 감소하나 여전히 많은 개체수 분포를보이고 가을에 약 500 개체/m$^3$수준으로 감소하였다가 겨울부터 증가하는 계절적 변동을 보였다. 염분 범위에 따라 저염분역(염분 5 psu이하), 중염분역(5~18 psu), 고염분역(18 psu 이상)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계절의 진행에 따라 가장 많은 양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는 염분역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있으며, 종 조성에서도 계절별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가을철에는 요각류가 저염분역에서 우세하나 고염분역으로 가면서 갑각류 이외의 종들이 우세하였고, 겨울철에는 전 지역에서 요각류가 우세하였다. 봄철에는 대상 해역이 중염분역과 고염분역으로만 구분되었는데, 중염분역에서는 요각류, 고염분역에서는 야광충이 우점하였다. 여름철에는 저염분역에서는 요각류가, 중염분역과 고염분역에서는 야광충이 더 많았다. 요각류 군집만을 대상으로 염분 구역별 주요 우점 종을 열거하였고, 이들의 출현수온, 염분 범위와 가장 많은 출현량을 보인 지역의 수온 염분을 제시하였다. 이들 요각류의 염분 내성 범위는 매우광범위하게 나타나 지시종의 개념이 요각류에 있어서는 출현 유무라는 정성적인 개념보다는 양의 많고 적음이라는 정량적인 개념에서 사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이 맞닿는 지역으로 Sternaspis scutata가 가장 우점하였다. 과거의 연구와 비교해 보면, 저서다모류군집은 출현종수, 서식밀도와 우점종에 있어서 큰 변화를 보였다. 과거의 조사결과에서는 우점종이 Sternaspis scutata와 Eteone longa이었으나, 본 조사에서는 이 종들의 서식밀도가 감소하였다. 반면에 잠재적 유기물 오염 지시종으로 알려진 Lumbrineris longifolia와 Heteromastus filiformis가 서식밀도는 낮지만 새롭게 우점종으로 대두하였다. 이러한 사실들로 볼 때, 득량만은 한국의 다른 만들과는 달리 아직까지 오염이 덜한 해역인 것으로 사료되나, 환경관리에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분포는 다양한 무기 환경 요소들 가운데 일차적으로 저층수의 염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차적으로 퇴적상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 결과, $CH_4$ 농도의 증가율이 무안과 태안 지역에서 각각 연간 16.5, 14.8 ppb로 가장 높게 관측되었다. 관측점 주변에 복잡한 배출원의 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무안지역의 $CH_4$ 농도변화와 풍향과의 연계성을 비교해 보았다. 이 결과에 의하면, 동풍계열의 풍계가 나타날 때 고농도의 값이 나타났으며, 청정한 공기가 유입되는 남서풍의 풍계시에는 비교적 낮은 $CH_4$ 농도가 유지되었다. 이처럼 $CH_4$의 장주기적 분포특성은 연구대상지역의 복잡한 배출${\cdot}$소별작용과 연계되어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음을 The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was studied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is estuary, marine taxa predominated in all seasons and very limited number of freshwater species appeared. The total abundances showed a seasonal fluctuation. The highest total abundance appeared in spring with over 3,000 individuals/m$^3$. In summer, the high abundance was sustained although it decreased a little. The abundance was minimal in fall with about 500 individuals/m$^3$. When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ree salinity regimes, oligohaline (salinity less than 5 psu), mesohaline (5${\sim}$18 psu), and polyhaline zone (over 18 psu), the zone of high abundance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each salinity regime changed seasonally. In fall, marine copepods predominated in oligohaline zone while marine species other than crustaceans dominated in polyhaline zone. However, in winter copepods predominated in all area. In spring and summer, holozoic dinoflagellate Noctiluca scintillans dominated in higher salinity regimes. We listed major copepod species of each salinity regime for each season with the ranges of water temperatures (T) and salinities (S) of their occurrence. T, S's of maximum abundances of those major copepod species were also reported. The observed very wide tolerance ranges of major copepod species for salinity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indicator species' should be used in quantitative context rather than qualitative.

      • KCI등재

        대한해협 부유성 요각류의 계절별 수직분포

        이창래(Chang Rae Lee),이평강(Pyung Gang Lee),박철(Chul Park) 한국수산과학회 199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2 No.4

        In the Korea Strait total of 96 copepod taxa (40 genera) were identified from the seasonal and vertically stratified samples. Species richness was the highest in fall and the abundance was the highest in spring. Spatial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within each season, hut was meaningful among seasons. The water column layers of high abundances were near bottom in spring, and surface in summer and fall. Species association of copepods was examined by the cluster analysis. There are the two different result on the timing of the intrusion of East Sen Cold Water to the Korea Strait in the deeper layer based on physical data [in winter (Lee et al., 1978) vs in summer (Cho and Kim (1998)]. This study based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copepods supported Cho and Kim (1998)`s result. Although sea water temperatures was one of major controlling factors of the copepod distribution in this strait, biological interrelation among the species such as common or exclusive exploitation of the habitat was also responsible for the observed distributional patter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