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이택호 ( Lee Taekho ),이재윤 ( Lee Jaeyoon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게임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 2-4차년도 총 3개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모든 변수에서 결측치가 없는 38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낙인과 자아존중감, 게임중독 간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은 자아존중감에 종단적으로 부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게임중독에 종단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종단적 관점에서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완전매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개입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game addi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ree waves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collected from out-of-school adolescents (N= 381, male 56.43%) with a year interval were used. A longitudinal autoregressive cross-lagged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game addiction, and the self-esteem in Korean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tigma had a longitudinal negative influence on self-esteem. Second, self-esteem had a longitudinal negative effect on game addiction. Third, self-esteem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 of the social stigma on game addic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ntervention methods were proposed to prevent out-of-school adolescents from remaining as a group vulnerable to game addiction.

      • KCI등재

        청소년 문화동아리 사업 효과성 평가 - CJ도너스캠프를 중심으로 -

        한윤선 ( Yoonsun Han ),전수아 ( Suah Jeon ),이택호 ( Taekho Lee ),허소담 ( Sodam He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0 청소년복지연구 Vol.22 No.3

        청소년의 문화창작활동을 장려하고 활성화함으로써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청 소년복지 향상을 위한 주요과제이다. 청소년의 문화창작활동이 청소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 적·실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검증하는 경험적 연구는 아직 부족하고, 기존 선행연구는 대부분 단일응답자가 획일화된 설문 조사지를 작성한 내용을 기반으로 한 자료를 활용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J도너스캠프 청소년 문화동아리 지원사업(이하 ‘CJ 문화사업’) 참여를 통한 문화창작활동 이 청소년의 창의성, 사회성, 문제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군(사업 참여자) 청소년 152 명, 통제군(사업 미참여자) 청소년 70명, 그리고 이들의 교사 61명에 대해 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전점수의 동질성을 확인한 후 공변량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정을 시행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CJ문화사업은 청소년의 창의적 성향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사전·사후 검사에서 창의적 성향 총점과 대부 분의 하위영역 점수가 더 크게 향상되었다. 반면, 창의적 사고에 대한 효과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CJ문화사업은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총점과 그 하위요인인 주장성, 협동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CJ문화사업 참여가 청소년의 문제행동 총점, 사회적 미성숙, 공격행동, 기타문제의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전문가 멘토링, 문화특강, 체험활동 등의 체계적인 문화창작활동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다양한 영역에서 청소년의 발달 증진과 역량 강화를 도모하는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문화창작활동의 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문화창작활동과 청소년 발달의 다양한 측면 간 관계에 대한 이해를 한 층 높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romoting and invigorating cultural creation activities is a key task for enhancing adolescent welfare. Despit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cultural creation activities for adolescent development, empirical research on this topic is insufficient. Also, studies have mostly relied on single informant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J Donor’s Camp Adolescent Culture Program (CJ Cultural Program) on adolescent’s creativity, social skills, and behavioral problems.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n=152) and control (n=70) group, as well as their teachers (n=61) participated in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fter confirming homogeneity of pretest groups, ANCOV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J Cultural Program. First, the CJ Cultur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adolescents’ creative propensity, but not creative thinking. Second, the CJ Cultural Program enhanced adolescents’ social skills, including self-assertion and cooperation. Finally, participation in the CJ Culture Program contributed to reducing adolescent behavioral problems, including social immaturity, aggression, and other problems.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adolescent development and competency can be enhanced by systematically expanding cultural creation activities such as professional mentoring, cultural education, and hands-o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