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 영향요인

        이진숙,권소희,Lee, Jinsook,Kwon, Sohi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증진역할인식과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건강교육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5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40일간이었고, 대상 기관은 국내 건강증진병원 네트워크 소속된 병원 중 연구를 승낙한 4개 병원 중 28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에 영향 미치는 요인으로 건강증진역할인식 (${\beta}=.246$, p=.001)과 건강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beta}=.282$, p <.001), 임상경험 (${\beta}=.121$, p=.059)은 건강교육수행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F=7.738, p <.001).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총 27.8%이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할인식과 건강교육수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education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hospital nurs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31 nurses from four health promoting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13. Health education perform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ducation level,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health promotion role recognition, and self efficacy for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role recognition (${\beta}=.246$, p=.001), self-efficacy for health education (${\beta}=.282$, p <.001), and clinical experiences (${\beta}=.170$, p=.007)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hospital nurses' health education performance and explained 27.8% of the variance. The strategies to improve health promotion role recognition and self-efficacy for health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health education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hospital nurses.

      • KCI등재

        자동차 내부의 크래쉬 패드ㆍ도어트림부 색채구성에 대한 감성이미지 평가 분석

        이진숙(LEE Jinsook),남신(NAM Shin),하태현(HA Teahyun),김소연(KIM Soyeon)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4

        시대의 변화와 기술수준의 향상으로 단순히 이동을 위한 교통수단이 아니라 소모품화ㆍ간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양상은 더욱 다양화되고 상세해졌다. 이에 따라 사람이 탑승하는 공간의 색채로써 실내 색채디자인은 안정성ㆍ쾌적성ㆍ편의성ㆍ합리성ㆍ기능성뿐만 아니라 최근 요구되는 차별화ㆍ고급감 연출을 위한 디자인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자동차의 실내색채디자인 현황을 조사하고, 사용자들이 느끼는 감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출시된 국내외 차량 11대를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내부 구성요소 중 크래쉬 패드(Crash pad)부분과 도어트림(Door trim)부분을 대상으로 마감용 스킨 적용 현황의 특성을 파악하고 감성이미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내 스킨의 색채특성 조사결과, 스킨의 종류에 따라 RㆍYRㆍYㆍGYㆍBㆍPBㆍPㆍRP계열로 넓은 영역의 분포를 보이지만, 명도와 채도의 경우에는 한정된 범위의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감성이미지 평가결과, 총 63.941%의 설명력을 보이며 총 5개의 요인축으로 분류되었으며, 제 Ⅰ요인은14.151%의 기여율로 대표이미지는 「세련된」어휘로 선정하였고. 제 Ⅱ요인은 13.959%의 기여율로 대표이미지는 「고급스러운-중후한」어휘로 선정하였다. 제 Ⅲ요인은 13.536%의 기여율로「클래식한」을 대표이미지로 선정하였고, 제 Ⅳ요인은 11.318%의 기여율로 대표이미지는 「밝은」으로 선정하다. 제 Ⅴ요인은 대표이미지는 「자연스러운」어휘로 선정하였으며, 10.977%의 기여율로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car has become a consumable and must-have item, not just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simple movement due to the change of the times and improvement in a technological level.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shift in a car from a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to life space, the aspect of changes in a limited space of a car interior has become more diverse and particularized. Accordingly, it’s necessary for interior color design as a concept of the space, which people get on, to make a design-based approach not only for stability, convenience, rationality, and functionality but also for the direction of recently demanded differentiation and high-end feel. Accordingly, this study made a survey on the present status of the interior color design of domestic and foreign cars, and evaluated the emotion felt by us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11 domestic and foreign vehicles, which have been recently released, as the object for evaluation, and grasped the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situation of application of the skin for finishing and conducted emotional image evaluation targeting the crash pad part and door trim part among the car interior components.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color characteristic of interior skin, it was analyzed that there existed the colorants of RㆍYRㆍYㆍGYㆍBㆍPBㆍPㆍRP according to sorts of skin, showing a wide realm of distribution, but in case of value and chroma, they showed a limited scope of distribution. The evaluation results of emotional image indicated that the image was classified as a total of 5 factor axes while showing a total of 63.941% explanation, thereupon, this study selected the representative image in Factor Ⅰ as the vocabulary of 「Refined」with the 13.151% contribution ratio while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image in Factor Ⅱ as the vocabulary「high-end-dignified」with the 13.959% contribution ratio. In addition, this study selected the representative image in Factor Ⅲ as the vocabulary 「Classic」with the 13.536 % contribution ratio while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image in Factor IV as the vocabulary「Bright」with the 11.318% contribution ratio. Lastly, this study selected the representative image in Factor V as the vocabulary「Natural」 whose contribution ratio was evaluated as 10.977%.

      • KCI등재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한 메이크업 컬러의 이미지분석모델에 관한 연구

        이진숙(Jinsook LEE),김한나(Hanna Kim),이희원(Heewon Lee)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3

        색채에서 느껴지는 이미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시각적으로 제시한 색채 분석도구인 감성척도는 디자인 분야에서 색채와 이미지 사이의 상관성을 다루거나 시각적인 이미지를 도출하여 유형화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감성척도가 디자인 전 분야에 공통적으로 사용되기에는 분야별 적합성과 객관성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분야별로 평가어휘간의 분류체계를 시각화한 이미지분석모델을 장기적인 목표로 세우고 그 중 메이크업 컬러의 색채 이미지모델제작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 결과를 보완하여 5개의 메이크업 브랜드의 색채 팔레트를 조사하였고, 자유배색을 통해 색채 이미지평가어휘를 추출하고 전문가의 검증을 거쳐 63개의 어휘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어휘를 사용하여 메이크업 브랜드의 광고사진에 대한 이미지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는 이미지 평가어휘들을 2차원 평면상에 시각화하기위해 다차원척도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평가어휘간 유클리디안 거리모형위에 6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그룹1에는 [고풍스러운, 고전적인, 중후한, 시원한, 조용한, 그윽한, 점잖은, 고상한, 기품있는, 고급스러운, 품위있는], 그룹2에는 [캐주얼한, 밝은, 화사한, 산뜻한, 발랄한], 그룹3에는 [내추럴한, 맑은, 가벼운, 자연스러운, 깨끗한, 싱그러운, 앳된, 귀여운, 여성스러운, 로맨틱한, 사랑스러운], 그룹4에는 [도발적인, 강렬한, 대담한, 강한, 자극적인, 몽환적인, 신비한, 도도한, 서구적인, 정열적인, 관능적인, 역동적인, 또렷한, 화려한, 개성있는, 젊은, 독특한, 매혹적인, 매력적인, 생기있는], 그룹5에는 [수수한, 단정한, 단아한, 차분한, 깔끔한, 청순한, 온화한, 따뜻한, 우아한], 그룹6에는 [쉬크한, 차가운, 도회적인, 사이버틱한]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메이크업의 이미지 유형을 분류한 선행연구와도 비슷한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그룹6의 경우 기존 연구에서는 분류되지 않았던 어휘들로 [쉬크한, 차가운, 도회적인, 사이버틱한]의 어휘들은 시대성에 따라 새롭게 분류된 유형으로 분석된다. ‘Sensibility Scale,’ which is a color analysis tool that presents a viewer-friendly representation of images associated with each color, is being utilized in dealing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colors and related images in the field of design and visualizing such images as a typology. However, the suitability and objectivity of existing Sensibility Scale are being questioned as to usage in all design-related field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creating a make-up color image model under the long-term goal of creating an image analysis model that visualizes the evaluation vocabulary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design field. To accomplish the objective, five makeup brand palettes were studied as a complement of the previous study and color image evaluation words were extracted through free arrangement of colors, with 63 words chosen through expert verification. Next, image evaluation experiment was done on the make-up brands advertisement photos using the vocabulary. The image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to visualize the image evaluation vocabulary on a 2-dimensional surface and the word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on the Euclidean distance model using a cluster analysis. The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classifications. Group 1: [genteel, classic, solid, cool, quiet, profound, decent, sophisticated, elegant, luxurious, classy], Group 2: [casual, bright, vibrant, refreshing, bubbly], Group 3: [natural, clear, light, naturalistic, clear, lush, childish, cute, feminine, romantic, lovely], Group 4: [provocative, intense, bold, strong, aggressive, dreamy, mysterious, sassy, western, passionate, sensual, dynamic, prominent, splendid, individualistic, young, unique, fascinating, charming, lively], Group 5: [modest, neat, refined, calm, clean, innocent, gentle, warm, graceful], Group 6: [chic, cold, urban, cyber-like]. Although the results ar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 that classified the image types of make-up, Group 6 of this study has new words that were not included before, [chic, cold, urban, cyber-like], which reflect the current trends, as a newly?classified words.

      • KCI등재

        욕실공간LED조명의 행위별 적정조도 및 색온도범위 도출

        이진숙(JinSook Lee),박지영(JiYo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3

        욕실은 인간의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공간인 동시에 건강관리와 휴식을 위한 공간이기도 하다. 비록 공간의 크기는 다른 실에 비해 작지만 다양한 행위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므로 위생적이고 기능적인 조명이 필요하며, 대부분 창문이 없는 폐쇄적인 환경이므로 조명의 역할이 매우 크다. 최근 분양 및 입주되고 있는 공동주택의 욕실 조명은 천장부 매입형 직접조명으로 설치되어 있고, LED조명이 주거용 실내조명으로 적용되기 시작함에 따라 욕실공간에서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장부 직접조명방식의 LED조명을 적용한 주택 내 욕실 공간에서 전반과 세면?거울보기, 목욕?샤워, 용변 행위 시 요구되는 조도와 색온도 범위를 도출하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행위별 요구되는 적정 조도 범위의 경우, 전반과 세면?거울보기는 300 lx, 목욕?샤워와 용변은 200~300 lx로 도출되었다. 또한 유의차 검증 결과 조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행위별 요구되는 적정 색온도 범위의 경우, 전반은 3000 K, 세면?거울보기는 3000~4500 K, 목욕?샤워는 3000 K로 도출되었다. 용변은 색온도에 따른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용변 시 색온도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유의차 검증 결과 색온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 bathroom at once satisfies the physiological needs of humans and provides for health management and rest. Its space size is small compared to other rooms, but since various behaviors take place in it, a bathroom requires hygienic and functional lighting. And most bathrooms constitute a windowless thus closed environment, lighting performs a crucial role. Bathrooms in the collective housing that is recently parceled out and inhabited have buried lighting on the ceiling and LED has begun to be adopted for residential indoor lighting, so research needs to be done in reflecting such a trend in the bathroom. So, in this study, I have identified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change scopes required for general lighting and such behaviors as face washing?looking in the mirror, bath?shower, and defecation in th bathroom of a house that has adopted direct LED lighting from the ceiling and checked for an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ollowing results. 1) For appropriate light intensity required for different behaviors, general, face washing? looking in the mirror have come up with 300 lx while bath?shower, and defecation have come up with 200-300 lx. And the test for significant difference has shown that there exists significant difference. 2) For appropriate color temperature required for different behaviors, general came up with 3000 K and face washing?looking in the mirror have come up with 3000~4500 K while bath? shower came up with 3000 K. Color temperature showed no great influence on defecation, as defecation showed no clear change in traits in response to changing color temperature. And the test for significant difference has shown that there exists no significant difference due to color temperature.

      • KCI등재

        비혼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이진숙(JinSook Lee),이윤석(Yun-Suk Lee)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4

        이 연구는 200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비혼 1인 가구원이 사회적 관계에 사용하는 시간량을 분석하였다. 비혼 1인 가구원들은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교제활동 시간량에 차이가 있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교제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가족·친척과의 교제’와 ‘그 외 사람들과의 교제’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전문직 및 관리직 종사자들은 다른 직군보다 가장 적은 교제 활동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남녀 모두 평일보다 주말에 교제 활동에 시간을 더 많이 할애하고 있었다. 비혼 1인 가구원들 중 여성이 남성보다 주변과의 관계에 더 활발히 참여하며 사회적 관계를 삶에서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혼 1인 가구원들의 삶의 질 연구에 대해 중요한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mounts of time young singletons spend on social relationships using nationwide representative time-diary data. We focus on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activities. Young single females living alone spend more time with families, friends, colleagues than young single males. It appears that young female singletons, who are socially and economically better than their counterparts, are more active in intimate and social relationships than young single males. These gender differentials ma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various dimensions of their future lives and life opportunities.

      • KCI등재

        색온도 조도 제어가능한 조명환경에서의 스트레스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진숙(JinSook Lee),이희원(HeeWon Lee)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2

        실내공간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조명환경은 더욱 중요해졌다. 또한 사람들의 작업능력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LED조명이 보급 확산되면서 더욱 다양한 조명환경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조명환경에서의 스트레스가 인체에 미치는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색온도, 조도 제어가 가능한 LED조명환경에서 인체 생리반응 DB 구축을 목표로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생리반응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스트레스 측정검사지를 사용하여 저 스트레스군과 고 스트레스군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공간은 조명제어가 가능한 3950 ㎜× 3800㎜× 3550㎜의 규모의 실물대 Mock-up을 조성하였으며, 조명환경에서의 실험변인은 직·간접조명을 사용하여 색온도 3000K, 6000K, 조도는 3lx, 60lx, 100lx, 300lx, 600lx이다. 각 부위에 10%-20%국제표준전극 부착법을 이용하여 전극을 부착한 후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온도 3000K의 300lx의 조명환경은 저 스트레스군과 고 스트레스군이 가장 이완, 안정할 수 있는 조명환경임을 알 수 있었다. 2) 색온도 6000K의 100lx, 300lx, 600lx는 저 스트레스군이 이완, 안정하는 조명환경으로, 특히 100lx일 때 가장 이완,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3) 색온도 6000K은 3lx ~ 600lx의 모든 조도에서 고 스트레스군에게는 긴장, 각성하는 조명 환경임을 알 수 있었다. 색온도가 높은, 밝은 조명환경일수록 고 스트레스군은 긴장, 각성함을 알 수 있었다. As people stays longer time in the living room space than before, lighting environment has also become important. In addition, as people"s concern for the influence on work ability and health comes to the fore and LED lighting is supplied and spread, they come to live more diverse lighting environment. Among the preceding research on this field, actually, it"s rare to find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stress in lighting environment, which is closely bound up with human health, on the human body.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the research on physiological reaction consequent on the degree of stress with the aim of constructing the human physiological reaction DB in LED lighting environment where color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were controllable. As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divided the research object into the low stress group and high stress group using the stress-measuring test paper. For the experimental space, this study developed a life-size 3950㎜×3800 ㎜× 550 ㎜ Mock-up which made it possible to control lighting with experimental variables in lighting environment as 3000K & 6000k in color temperature and 3lx, 60lx, 100lx, 300lx, and 600lx in illumination using direct, indirect lighting. Then, this study measured brain wave after adhering electrode to each area using the 10%~20%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ode adhesion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learned that the lighting environment of 300lx in color temperature of 3000K was the one that could make it possible for the low stress group and high stress group to be most relaxed and stable. 2) It was found that 100lx, 300lx and 600lx in color temperature of 6000K were the lighting environment where the low stress group could relax and stabilize themselves, especially the most in case of 100lx. 3)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color temperature 6000K in all illumination covering from 3lx to 600lx was the lighting which strained and awakened the high stress group. It was learned that the higher the color temperature and the brighter the lighting environment, the more the high stress group was strained and awakened.

      • KCI등재

        사무공간에서 LED조명의 색온도 · 조도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에 관한 연구

        이진숙(LEE Jinsook),김소연(KIM Soyeon)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1

        LED의 개발과 함께 조명산업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LED조명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기술적?에너지 절약적 측면에 국한되어 있어 LED조명이 적용된 실내 조명환경이 재실자의 생리?심리적 측면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ED조명기구를 설치한 공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재실자가 느끼는 피로도를 조명기구의 형태와 색온도, 밝기에 따른 평가실험을 통해 업무공간에 적절한 광원의 특성값을 제시하고, 조명물리량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실물대모형(Mock-up)을 제작하여 LED조명이 설치된 공간에서 작업수행을 하면서 조명의 물리량 (색온도?조도)의 변화에 따라 느껴지는 피로도에 대한 평가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 평가변인별 분석을 통해 적합한 조명조건을 도출하고 평가변인별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200K의 400 lx에서 가장 낮은 피로도를 보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피로도 증가율은 색온도 5200K의 평균조도 600 lx 가장 낮게 나타나 사무공간에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고려한 조명환경은 색온도는 5200K, 조도범위는 400~600 lx 정도가 적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평가변인에 대한 영향은 시간경과 > 색온도 > 조도 순으로 피로도 평가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With recent developments in LEDs, LED lighting is now widely used. However, current research is limited to technical and energy saving aspects.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studies about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n employees working under LED lighting.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evaluate, over time, fatigue rates of employees working in LED-illuminated spaces by evaluating test per type, color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device to experimentally determine the appropriate characteristic values of light sources. We also analyze the effects of luminous amount on fatigue. For this purpose, we manufactured mock-up for fatigue according to luminous amount (color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while test subjects performed various tasks in a space illuminated with LED lighting.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variables on worker fatigue were analyzed by introducing proper illumination conditions.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e lowest fatigue to be at 400 lx of 5200K , and the lowest increase in fatigue at an average illumination of 600lx of 5200K color temperature. Therefore, the suitable lighting in an office environment was determined to be 5200K of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CT) and 400~600 lx of illumination.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variables were shown to occur in the following order: over time > CCT > illumination.

      • KCI등재

        자동차 실내 간접조명을 위한 LED 조명색별 적정휘도범위 및 감성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이진숙(LEE Jinsook),남신(NAM Shin),김소연(KIM Soyeon),박지영(PARK Jiyoung)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2

        경제, 사회, 문화적 여건이 발전함에 따라 소비자 니즈의 변화로 자동차 실내조명에 대한 욕구가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른 소비자의 조명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조명 컨셉 및 설계인자를 추출할 필요가 있으며, 자동차 실내조명의 색을 구현함에 있어 안전성과 쾌적성을 고려한 적정 밝기는 중요하게 고려되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과 감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자동차 실내 감성조명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서, R, G, B LED의 출력조절에 의하여 구현한 8가지 조명색을 대상으로 7단계의 휘도를 제시하여 조명색에 따른 적정휘도범위를 추출하였다. 또한 추출되어진 적정휘도범위 내에서 조명색별 감성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단일색인 Red, Green, Blue가 혼합색에 비해 낮은 휘도범위에서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경향은 Red, Green, Blue가 빛의 3원색으로써 채도가 높아 색이 강하게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2)「자연스러운?편안한」이미지에서는 Blue와 Green, White, Yellow가 다른 색들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고, 「사이버틱한?첨단적인」이미지에서는 White Blue계열의 색이 매우 높게 평가되었으며, 「중후한?고급스러운」이미지는 Orange, Red, Yellow의 난색계열의 색이 매우 높게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Due to the change of consumer need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the desire for automobile interior illumination has been on the increase.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extract the concept of illumination and design factor that could meet the consumer’s sensibility of illumination, and to focus more on optimum lightness which considered safety and comfort in realizing the color of automobile interior illumination. Thus, this research extracted the optimum lightness range according to the lighting color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emotional lighting of the automobile interior by suggesting the 7-stage lightness for the 8 lighting colors produced by output control of R, G, B LED.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the emotional image by lighting color within the extracted range of optimum lightness. As a result, firstly, solid colors such as Red, Green, and Blue appeared more optimal within the range of low lightness compared to mixed colors. It is interpreted that such trend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Red, Green, and Blue look strong because of their high chroma as primary three colors. Secondly, Blue, Green, White, and Yellow were highly evaluated than other colors for the image of ‘being natural and comfortable’, while the color line of White and Blue were for that of ‘being cybertic and cutting-edge.’ The warm color line of Orange, Red, and Yellow was very highly evaluated for the image of being ‘imposing and luxuriou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색광에 대한 고령자의 밝기감 및 감성반응 연구

        이진숙(JinSook Lee),박지영(JiYo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4

        컬러 테라피, 라이트 테라피 요소가 헬스케어 조명에 접목되어 활용되고 인구 고령화가 가속됨에 따라, 색광에 대한 고령자의 감성·생리 반응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 63세 이상(평균연령 만 74세) 실제 고령자 17명을 대상으로 빨강, 초록, 파랑 색광에 대한 밝기 순위 평가시 3가지 색광을 5초씩 번갈아가면서 3회 이상 보여준 후, 가장 밝아 보이는 색광부터 가장 어두워보이는 색광을 차례로 구두로 표현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조사자가 평가용지에 기록하였다. 또한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의 6가지 색광에 대한 밝기 및 감성 평가 시 색광을 하나씩 제시한 후 각각 제시된 조명에 의한 공간의 밝기 정도와 편안함, 따뜻함, 행복감, 선호도 정도에 대하여 구두로 표현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조사자가 평가용지에 기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빨강, 초록, 파랑에 대하여 백내장이 없는 그룹은 초록색을 가장 밝게 지각하고, 빨간색을 가장 어둡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백내장이 있는 그룹은 빨간색을 가장 밝게 지각하고, 파란색을 가장 어둡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 시각 대응 필터를 대면 휘도계에 장착한 후 각색광에 대한 벽면 휘도를 측정한 결과도 백내장이 있는 실제 고령자의 평가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수정체의 황화현상과 혼탁에 따라 단파장의 투과율이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2) 6가지 색광을 각각 제시한 후, 명순응 상태에서 지각되는 공간의 밝기 정도를 조사한 결과, 백내장이 있는 그룹과 없는 그룹 모두 한색계열의 색광보다 난색계열의 색광에 의한 공간이 더 밝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색광별 감성반응을 분석해 보면, 빨간색광은 불안함과 긴장감, 우울함을 유발하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광은 편안함과 안정감을 유발하고, 파란색광은 편안함과 안정감을 유발하지만 동시에 우울해지고 기분이 가라앉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황색광과 노란색광은 편안함과 안정감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황색광에 의한 공간에 재실 할 때 행복한 느낌이 들고 기분이 들뜨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 보라색광은 편안함과 안정감을 유발하나 그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빨강, 주황, 노랑, 보라 4가지 색광은 따뜻해 보이고, 파란색광은 차가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색광은 백내장이 없는 그룹은 조금 차가워 보인다고 평가한 반면, 백내장이 있는 그룹은 조금 따뜻해 보인다고 평가하였다. 이는 수정체의 황화 진행 정도에 따라 초록색의 청색도가 감소하고 황색도가 증가하여 지각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This study implemented the research on brightness as the visual response to 6 sorts of colored lights including red, yellow, orange, green, blue and purple, and comfort, a feeling of well-being, warmth and preference as the emotional response to colored ligh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showed that as for red, green and blue, a group without a cataract perceived green as the brightest, but perceived red as the darkest. On the contrary, a group with a cataract was found to perceive red as the brightest, but perceived blue as the darkest. This is analyzed to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ransmissivity of short wavelength becomes lower according to the yellowed eye sight and opacity of crystalline lens. 2)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brightness degree of the space perceived in a state of light adaptation after suggesting 6 sorts of colored lights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both a group with a cataract and the other group having a cataract commonly perceived the colored lights of warm color series as much brighter than those of cold color series. Also, the analysis of emotional response by colored light indicated that red colored light was found not to be preferred because it aroused uneasiness, tension and depression while the green light was found to arouse comfort and stability. In addition, blue light was found to cause comfort and stability, but simultaneously caused the research subjects to feel depressed and subdued in spirits. Orange colored light and yellow colored light were found to have the biggest influence in comfort and stability. Particular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found to feel happy and exhilarated when they entered the orange colored light indoor space, showing a high preference. Also, it was found that the violet colored light aroused comfort and stability, but its influence was small. Last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found to feel warmth from the 4 sorts of colored light-red, orange, yellow and purple while feeling cold from the blue colored light. The group free of a cataract evaluated the green color light as a little cold, whereas the group with a cataract evaluated it as a little warm. This is analyzed to be due to their perception of blue in decreased blue chromaticity and increased yellow chromaticity according to the yellowed eye sight level of crystalline l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