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일 초등사회과 기능 영역의 목표 비교 연구

        이정희(Lee, Junghi)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5 글로벌교육연구 Vol.7 No.4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review the historical changes of skill goal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Korea and Japan to determine the concept of academic performance in social studies for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As a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of historical changes in skill goal from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Korea and Japan, the following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were clarified. First, the traditional accentuation in social studies of Korea and Japan has been an ability to obtain data or information to be used. Second, while the abilities such as problem solving ability, inquiry ability, decision-making ability, and social participation are directly proposed in Korea, they are rather proposed in a comprehensive term called thinking skill in Japan. Third, while the goal of ability to be promoted is proposed with some consistency even under different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 it has been changing under the revision of government guidelines for teaching, or the time period, in Japan. Especially in the government guidelines of 1998 and 2008 in Japan, the ability of expression has been emphasized, proposing not only collection and selection of information but also the requirement of expression ability such as delivery or creativity for the independent life in the 21st century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o Korean social studies.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기능 목표의 변천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과 학력관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과 일본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기능 영역 목표의 역사적 변천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밝혀졌다. 첫째, 한국과 일본 양국의 사회과에서 전통적으로 강조해온 기능으로는 자료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활용하는 능력이다. 둘째, 한국의 경우, 문제해결 능력과 탐구능력, 의사결정 능력, 사회참여 능력 등을 육성해야할 기능으로 직접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반면, 일본의 경우 사고력 이라는 보다 포괄적인 용어로 제시하고 있다. 셋째, 한국은 육성할 능력 목표가 교육과정이 바뀌어도 어느 정도 일관성 있게 제시되고 있는 반면에, 일본은 학습지도요령의 개정에 따라 즉 시대에 따라 다소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일본의 1998, 2008 학습지도요령에서는 표현력을 강조하고 있는데, 21세기 정보화 사회를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정보를 수집, 선택할 뿐만 아니라 전달이나 창조 등의 표현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사회과 학력관 모색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한일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비교 연구

        한춘희(Choonhee Han),이정희(Junghi Le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초등사회과 교육을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를 대상으로 비교·검토함으로써 교육내용 및 체계에 나타난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한국과 일본의 초등사회과 교육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의 초등사회과는 모두 미국의 영향을 받아 비슷한 시기에 도입된 것으로 3학년부터 6학년까지 학습하도록 되어 있다. 둘째, 한국과 일본의 초등사회과는 목표로 지식과 기능, 가치 및 태도를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한국은 지식(통합, 지리, 역사, 일반 사회), 그리고 기능, 가치·태도와 관련된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각 학년의 목표를 이해, 태도, 능력에 관한 목표를 각각 제시하고 있다. 셋째, 한국과 일본의 초등사회과에서는 영역별, 학년별 통합을 지향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3·4학년의 경우에는 지리, 역사, 일반 사회 영역을 통합하여 제시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3·4학년은 목표와 내용 제시에 있어서 하나의 학년군 단위로 묶어 나타내고 있으며, 내용 또한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넷째, 초등사회과 교과서 제도와 체제에서는 상이한 점이 많다. 한국은 국정 체제인 반면에 일본은 검정 체제이며,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종류와 교과서의 수 등에서 다른 점들이 보인다. 다섯째, 초등사회과 교과서의 내용구성 방식에 있어서 한국은 학생들의 활동 위주로 되어 있는 워크북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반하여, 일본의 교과서는 문제해결의 흐름에 따라 학생들이 주체적인 학습을 전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섯째, 한일 양국의 초등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 구성에서는 상이점이 많다. 한국은 사회과 교육과정과 관련된 이론적인 내용과 교수·학습의 실제로 나누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의 교사용 지도서의 경우 기본적으로 교과서 축소본을 적극 활용한 교수·학습 안내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다르다. 이상과 같이 한국과 일본의 초등사회과는 그 탄생이나 성격 등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구체적인 목표나 내용 구성에 있어서도 지리, 역사, 일반사회의 지식, 기능, 가치·태도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사회과의 학습목표 제시에 있어서 한국은 영역별로 제시하고 있으며, 일본은 학년별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system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ir curriculums and textbooks. The comparison resul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ocial studies were introduced in the two countries at a similar time, being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 It is now taught from third to sixth grade. Second, both countries present knowledge and functions, values, and attitudes as the goal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Korea sets objectives related to knowledge (integration, geography, history, and general society), functions, values, and attitudes. Japan also sets objectives related to understanding, attitudes, and abilities for each grade. Third, both the countries seek after integration by areas and grade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ourth,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institution and system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etween the two nations. While Korea has a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system, Japan has an authorized textbook system. Finally, there are also many differences in the content organization of teachers’ manuals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between the two nations. While Korea separates the theoretical content related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the practice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Japanese teachers’ manuals basically present a teaching and learning guide by making active use of the short versions of textbooks.

      • 식물성 식품중 페놀성 물질의 몇가지 생리활성

        이정희,이서래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4 생명과학연구논문집 Vol.5 No.-

        페놀성 물질의 함량이 높게 분석된 9개 시료(감잎, 들깨씨, 모과, 생강, 호두 쑥, 칡뿌리, 메밀, 수수)를 선택하여 소화효소에 대한 활성저해, 식품오염세균에 대한 항균성, 그리고 Ames 법에 의한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살펴보았다. 소화효소 활성저해를 실험한 7개시료중 모과만이 a-amylase에 대해 97%의 활성저해를 보였고, 무경쟁저해를 나타냈다. protease에 대하여 모과, 감잎, 쑥은 각각 86%, 51%, 20%의 저해효과를 보였고, 이때 쑥시료는 비경쟁저해를 나타냈다. Lipase는 모든 식품에 의해 50%이상 활성화되었다. a-amylase의 활성저해는 축합형 탄닌함량과 높은 상관관계 (r=0.89)를, protease는 총페놀 함량과 높은 상관관계(r=0.84)를 보였다. 표준물질인 tannic acid, gallic acid, caffeic acid, catechin과 7개 식품시료의 총페놀 분획을 얻어 항균성 효과를 실험한 결과 tannic acid는 3균주에 대해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보였고 둘깨, 수수, 칡뿌리는 E coli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보인 반면 salmoncella enteritidis와 streptococcus faecalis에 대해서는 시료들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준물질 및 9개 식품의 총페놀 분획은 모두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에 대해 돌연변이원성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benzo[a]pyrene을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실험결과 tannic acid는 TA98의 경우 40~80%, TA100의 경우 70~95%의 강한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냈다. TA100에 대해 모과는 30%의, 호두는 44%의 항돌연변이원성을 보였으나 기타 식품에서는 항돌연변이원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Nine plant foods(persimmon leaf, perilla seed, Chinese quince, ginger root, walnut, mugwork leaf, arrowroot, buckwheat and sorghum) rich in phenolic substances were examined for their effects on the digestive enzymes, food-poisoning bacteria and mutagenicity/antimutagenicity by Ames test. Among tested samples, Chinese quinc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amylase activity (97%), exhibiting an uncompetitive inhibition type. Protease activity was inhibited by Chinese quince (86%), persimmon leaf (51%) and mugwort leaf (20%), in which mugwort extract exhibited a noncompetive type. Lipase was activated >50% by all samples. The inhibition of a-amylas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ontent of condensed tannin (r=0.89) and the inhibition of protease, with total phenolic content (r=0.84). Total phenolics fraction of tested samples showed the growth inhibition toward E. coli, Streptococcus faecalis and Salmonella enteritidis, in which the effect of perilla, sorghum and arrowroot was the highest for E. coli. Standard phenolics and food samples did not show any mutagenicity toward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Tannic acid inhibited the mutation of the two strains by benzo[a]pyrene whereas total phenolics fractions of Chinese quince and walnut exhibited antimutagenicity to a lesser extent.

      • 국내산 식물성 식품중 페놀성 물질의 함량 분석

        이정희,이서래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4 생명과학연구논문집 Vol.5 No.-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식물성 식품 및 민간요법에서 이용되는 비상용식품 45가지를 선택하여 총페놀함량은 Folin-Denis 법으로, 축합형 탄닌의 함량은 vanillin 법과 modified vanillin 법으로, 단백질 침전성 페놀물질의 함량은 단백질 침전법으로 측정하였다. 총페놀 함량(건물기준)은 0.1~5.8%로 감잎, 밤속껍질, 모과, 호두, 해바라기씨, 칡뿌리에서는 2% 이상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축합형 탄닌함량(건물기준)은 0~48%로 모과, 밤속껍질 에서 매우 높이 나타났다. 단백질 침전성 페놀성분의 함량(건물 기준)은 0.4~2.2%로 밤속껍질, 호두, 모과에서 매우 높았고 그들의 단백질 침전능은 트립신보다 펩신이나 알부민에서 더 잘 나타났다. 식품중 페놀성 물질 함량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총페놀 함량과 단백질 침전성 페놀물질의 함량 (r=0.65)과 축합형 탄닌 함량 (r=0.56)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축합형 탄닌함량과 단백질 침전성 페놀물질 함량간에는 비교적 낮은 상관관계 (r=0.39)를 보였다. 축합형 탄닌의 중합도를 예측하는 vanillin/Folin-Denis 비를 살펴본 결과 모과, 밤속껍질, 수수에서 높은 값을 보여 결국 낮은 중합도를 보였다. 메밀, 도토리, 쑥, 칡 등을 이용한 가공식품에서의 페놀물질 함량은 원료상태에서 보다 낮은 함량을 보여 식품단백질의 이용율에는 큰 장애를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henolic substances contents of 45 plant foods in Korean diet were determined by different methods. Total phenolics contents by Folin-Denis method were 0.1~5.8% (dry matter basis), in which persimmon leaf, chestnut's inner skin, Chinese quince, walnut, sunflower seed and arrowroot exhibited the higher levels above 2%. Condensed tannin contents by vanillin method were 0~48%, in which Chinese quince and chestnut's inner layer gave very high levels. Protein-precipitable phenolic substances ranged from 0.4% to 2.2%, in which chestnut's inner layer, walnut and Chinese quince had the highest content. The ability of phenolics to form precipitate was higher with pepsin and albumin than with trypsin. Among different phenolics content, total phenlolic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protein-precipitable phenolics (r=0.65) and condensed tannin (r=0.56). Chinsese quince, chestnut's inner skin and sorghum showed a relatively lower degree of polymerization, as expressed by vanillin/Folin-Denis ratio. Processed foods from buckwheat, acorn, mugwort and arrowroot showed a lower content of phenolic substances, suggesting a negligible adverse effect on the bioavailability of food proteins, if 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