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초반 재중유학생(在中留學生) 정래동(丁來東)의 신문학 인식과 전파

        이재령 ( Lee Jaeryou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2 No.-

        이 글은 일제강점기 북경유학 출신으로 중국 현대문학 1세대 연구자로 활동한 정래동을 중심으로 근대 학문·사상의 인식과 전파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민국대학 유학중 영문학을 전공하고 아나키즘을 수용한 정래동은 과외로 중국 현대문학을 학습, 전파하였다. 동시대 한국 문단은 일본에서 중역된 서양 문학만 중시하고 중국 문학을 경시하는 경향이 팽배하였다. 이에 대해 정래동은 북경 유학 중 직접 학습한 근대 학문·사상과 인적 교류를 토대로 신문학을 광범위하게 소개, 전파하였다. 그는 중국 문학혁명의 제창자로 후스와 천두슈를 지목하였고, 실행자로 루쉰을 꼽았다. 그는 신문학을 논평하면서 마르크스주의문학에 반대하고 자유의지를 강조한 아나키즘문학을 지지하였으며, 중국의 사회현상을 폭로하고 해부해서 정당한 사회를 건설하는데 희극의 역할이 크다고 보았다. 특히 그는 서양 문학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번역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궁극적으로 그는 절대 권력과 특정 정치이데올로기에 치우치지 않고 인간 본연의 자유의지를 중시한 아나키즘과 민중의 언어로 민중의 삶을 이야기한 민중문학을 지향하였다. 그 지름길은 중국에 유입되어 변용된 서양의 근대 사상과 문학이었다. 정래동은 중국 문단 내부의 관찰에만 만족하지 않고, 문단과 관련된 모든 장면을 낱낱이 기록하여, 전체 윤곽을 파악하려고 애썼다. 따라서 그는 학업 이외에 사상적으로 아나키즘활동을 병행하였고, 중국 문학계의 동향과 작품을 소개하는데 집중하였다. 그 결과 정래동에 의한 중국 현대문학의 수용은 시간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졌고, 장르와 내용면에서 체계적이며 전면적이었다. 그는 능수능란한 어학 실력과 치열한 현장경험을 토대로 근대 학문·사상을 습득하였고, 계급·권력에 좌우된 문학을 거부하며 자유·해방을 위한 민중문학을 전파시켰다. 이렇게 1930년대 전후 조선 문단과 지식사회는 중국이란 또 하나의 루트를 통해 새로운 학문·사조가 유입되어 근대 지식장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This essay is to grasp the understandings and spreads of modern sciences and thoughts focusing on Jeong Raedong(丁來東) who studied in Beijing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Occupation and was a 1st generation scholar of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Jeong Raedong, who majored in English literature and accepted anarchism while being enrolled in Minguo University(民國大學), studied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besides his class works and circulated it. At that time, Korean literary world emphasized only the western literature re-translated from Japanese and subordinated Chinese literature. Regarding such trends, Jeong Raedong, based on modern sciences and thoughts that he personally studied during his studying in Beijing and on his personal exchanges, widely introduced and spreaded ‘New Literature.’ He pointed out Hu Shi(胡適) and Chen Duxiu(陳獨秀) as the proponents of Chinese literary revolution, and Lu Xun(魯迅) as its activist. In his criticism on New Literature, He opposed Marxist literature, but supported anarchist literature propagating ‘free will’; and thought that the rolls of comic plays were important to dissect and expose social phenomena in China in order to build just society. Especially,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anslated literature to rapidly and effectively accept western literature. Ultimately, he pursued anarchism, which doesn’t depend on any specific political ideology and emphasizes a human-being’s natural free will, and the People’s Literature(民衆文學), which describes people’s lives in people’s languages. He thought that the shortcut to it was the modern western thoughts and literature, which were imported to China and transformed there. Jeong Raedong was not satisfied with mere observation into the Chinese literary world, but enthusiastically grasped the whole figure of it by recording each and every scene related to the Chinese literary world. Thus, besides his class works, he ideologically combined anarchist activities and focused on introducing trends and literary pieces of the Chinese literary world. For the result, the acceptance of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by Jeong Raedong was simultaneous, and was systematic and full-scale in genres and contents. Based on his fluent linguistic abilities and intense field experiences, he attained modern sciences and thoughts, refused literature influenced by social classes and political powers, and spread the people’s literature for freedom and liberation. In this way, Joseon’s literary world and intellectual society around 1930’s could build the foundation for modern knowledge by importing new sciences and literary trends through another route, which was China.

      • KCI등재

        5·4운동기 해외유학파의 서양학문 수용과 유통-신문학을 중심으로-

        이재령 ( Lee Jaeryoung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東洋學 Vol.71 No.-

        이 연구는 5·4운동기 중국의 해외유학출신들에 의해 전개된 신문화운동을 통해 서양학문의 수용 및 확산 과정을 파악하였다. 청말민초 해외유학을 통해 근대지식을 습득하고 서양문명을 경험한 지식인들이 신해혁명 이후 좌절에 빠진 중국사회에 새로운 돌파구로 신문화운동을 제기하였다. 그 가운데 문학혁명이 가장 빠르고 구체적으로 전개되었는데 구 봉건문학의 폐해로부터 벗어나 사상혁명과 문자혁명을 통한 평민문학의 건설에 맞추어졌다. 여기에 동원된 문학 도구는 백화문이었으며, 창작방법은 서양의 명저를 번역, 참조하는 것이었다. 유학파지식인들이 번역한 작품의 선정 기준이나 내용은 문학성, 오락성보다 중국인들의 각성을 촉구하는 계몽과 혁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신문학에 따른 번역이나 창작 작품은 인도주의에 의거한 ‘인간의 문학’과 사회의 모든 현상을 그대로 묘사하는 ‘사실주의문학’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개성해방과 개인주의를 강조했다. 신문학의 경향이 계몽성, 혁명성, 사실성을 바탕으로 개개인의 자유와 평등, 개성 해방을 고양시킨 방향으로 나아간 것이다. 따라서 문학혁명은 문학 자체의 내용과 형식, 표현수단, 장르 등의 변화에 그친 것이 아니라 중국인의 윤리의식, 가치체계, 물질문명 전반에 변화를 가져온 사상혁명을 병행하였다. 이렇게 볼 때 해외유학파에 의해 수용된 서양문학은 근대 학문·사상의 교두보로서 문학혁명을 폭발시키고 신문화운동과 5·4운동을 확산시킨 원동력이었다. 그 과정에서 서양으로부터 이식된 자유·평등·민주·과학 등의 개념이 중국사회 전반에 보편화되었고 근대 지식장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았다. This study examines processes of acceptances and distributions of Western sciences throughout the New Culture Movement which Chinese studying-abroad-group propelled during the May Fourth Movement period. In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Qing dynasty to the republic, intellectuals who learned modern sciences and experienced Western civilization through studying abroad brought up the New Culture Movement as a breakthrough for Chinese society disappointed after the Xinhai Revolution. The most rapid and specific one among several sub-movements was the literary revolution, which focused on building the literature of ordinary people through ideological revolution and writing revolution liberating from harms of feudal literature. For the literary revolution, its tool was baihuawen(白話文: plain speech writing) and its method was translating and referring Western classics. Those selected Western classics were neither for literary value nor for entertainment but for enlightenment and revolution urging Chinese people’s awakening.Translations and writings in accordance with New Literature focused on ‘humanist literature’ based on humanitarianism and on ‘realist literature’ describing all social events as they are, and emphasized liberat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ism. The trend of New Literature, based on enlightenment, revolution and reality, went toward liberty and equality of all individuals and liberating personality. Indeed, the literary revolution not only achieved changes in contents, formalities, expressions, and genres, but also led the ideological revolution changing Chinese people’s morality, value system, and material civilization as a whole. From this perspective, the Western literature accepted by Chinese studying-abroad-group was the bridgehead to the modern sciences and thoughts and the key motivation bursting the literary revolution and spreading the New Culture Movement and the May Fourth Movement. Throughout the process, the concepts of liberty, equality, democracy, science, and so on, which were transplanted from the West, became common in Chinese society and became the axis of modern knowledges.

      • KCI등재
      • KCI등재

        1920년대 전후 북경(北京)의 유학환경과 한인학생(韓人學生) 현황

        이재령 ( Lee Jaeryoung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0 No.-

        이 글은 일제강점기 중국의 정치·외교·학술 중심지였던 북경을 중심으로 근대 고등교육의 실태와 한인유학생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淸末民初 국립 북경대·북경사범대와 기독교계의 燕京大를 비롯한 관립·사립 학교들이 근대 학문·사상의 유입구 역할을 하였다. 191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한 북경의 대학들은 신문화운동과 5·4운동을 거치면서 서구신사조의 전시장이 되었다. 1920년대 중반까지 지속된 군벌전쟁은 정치적 혼란과 교육 재정난을 악화시켰지만 제도적으로 대학설립이 수월해지면서 사립대학들이 난립하였다. 이 시기 중국학교들은 한인학생들에게 입학수속과 학비 등 여러 면에서 편의를 제공해 주었고, 저렴한 생활비와 학비도 북경유학을 선택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1920년대 졸속으로 설립된 사립대학들의 허술한 학사운영도 한인학생의 입학을 도왔을 것으로 판단된다. 1920년대 이후 북경지역의 국립·사립대학들은 양적 성장에 뒤이어 질적으로도 빠르게 발전하였고 한인유학생들의 지적 성장에 좋은 여건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 국민당의 훈정체제가 구체화되면서 교육계의 자율성이 제약받고, 만주사변으로 북경의 교육환경이 현저히 악화되면서 한인유학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중일전쟁이 전면전으로 확대된 1937년까지 北京大, 燕京大, 民國大, 朝陽大, 平民大 등에서 한인학생들이 유학하였고 高級中學에도 다수가 공부하였다. 이 가운데 북경대에 한인유학생이 가장 많았고, 사립대는 민국대와 평민대에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나머지 대학에도 적지 않은 한인학생들이 재학하였다. 일제강점기 實名으로 확인된 북경의 한인유학생은 270여 명이고, 유학시기는 1920년대에 집중되었으며, 고급중학이나 大學豫科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들의 전공은 다양했지만 인문사회계가 보편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이들 가운데 사상운동이나 독립운동과 관련된 일본경찰 및 영사관 등의 사찰문건과 신문·잡지의 보도를 통해 이름만 확인될 뿐 유학시기, 학교, 전공 등을 전혀 파악할 수 없는 인원이 일백여 명에 이른다. 한인유학생들이 학업을 끝마치지 못한 이유는 독립운동에 투신하기 위해 학업을 중단하거나 진로를 바꾸는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일제침략기 중국에서 유학생활을 보낸 한인청년들의 삶은 荊棘의 길로 근대지식의 습득과 학문적 성숙은 기대만큼 쉽지 않았을 것으로 이해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realities of modern higher education and in Beijing, which was the center of Chinese politics, diplomacy and education around the 1920s, and the conditions of Korean students studying there. From the end of Qing dynasty to the early Republic period, government running schools such as Peking University and Beijing Normal University and private ones, Yenching University founded by Christians for example, all served as inlets for modern time studies and ideas. Experiencing full scale development during the late 1910s, the universities in Beijing became exhibition centers for new western thoughts subsequently after the New Culture Movement and the May Fourth Movement. The Warlord Wars which persisted until the mid-1920s aggravated political chaos and financial difficulties in education, but the alleviation of institutional strains on establishing universities prompted a deluge of private universities. During this period, Chinese schools provided Korean students with conveniences in admission procedures and university fees, and combined with the cheap living costs, these factors led Korean students to choose to study abroad in Beijing. The hasty construction of private universities during the 1920s and their lax bachelor`s program are also believed to have facilitated the entrance of Korean students. After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f private and public universities in Beijing post 1920, rapid improvements in quality ensued, providing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intellectual growth of Korean students. However, in the 1930s, the China National Party`s “Discipline System” found form, restricting the autonomy of the educational sector, and furthermore the Manchuria incident greatly worsen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Beijing, virtually putting a halt to all studies abroad in the region. Until the Sino-Japanese war developed into full-out war in 1937, Korean students studied in schools such as Peking University, Yenching University, Minguo University, Chaoyang University, and Pingmin University, with Advanced Middle School also holding a large bulk of students. Of the following, Peking University possessed the most Korean students. Out of private universities, Minguo University and Pingmin University relatively held a large number, while a considerable amount also attended the remaining universities. The numbers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Beijing known by their real nam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era is around 270. The main period for studying abroad was concentrated in the 1920s, with Advanced Chinese Learning and undergraduate programs occupying the majority of their study pursuits. Although the students` majors varied in nature, they were generally related to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owever, of these students, over a hundred are identified only through the Japanese police`s or consulate`s temple documents and newspaper reports related to ideological or independence movements, therefore rendering their exact period of studying abroad, affiliated school, and major unidentifiable.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were mainly unable to conclude their studies due to their dedication to independence movements or changes in life course. The path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took one of thorns and thistles,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acquisition of modern knowledge and academic maturity was not as easy as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