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서 및 행동문제와 관련변인에 대한 문헌 고찰

        이원령 ( Won Ryeong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서 및 행동문제와 관련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게재논문 총 24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으로 나누어 내재화, 외현화 문제를 살펴보고, 개인, 가정, 학교와 관련된 변인들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들은 위축, 불안, 공격성, 짧은 주의집중 등의 문제를 보였으며, 가정변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은 일반가정 아동보다 우울, 불안, 과잉행동을 많이 보였으며, 고학년이 될수록 내재화 문제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는 개인, 가정, 학교 관련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 셋째, 중·고등학생은 외현화 문제 보다는 내재화 문제를 더 많이 보였고, 위축, 우울, 불안 등의 문제가 일반 학생들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정서 및 행동문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인 관련변인에 대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서 및 행동문제 개선을 위한 접근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24 domestic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related variabl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objects classified as infants, elementary student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lated variables were classified as personal, home,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nfants showed problems of withering, anxiety, aggression, and short attention. These problems were affected by home related variables.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more depression, anxiety, and hyperactivity than those from normal families, which were affected by personal, home,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As they became higher grades, internal problems increased much more. Thir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internal problems than external ones. They showed more withering, depression, anxiety than those from normal families. Thei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studied mostly about personal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approach and research directions to impro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학습장애 원인,진단,지도,특성 이해연구

        이원령 ( Won Ryeong Lee ),이한우 ( Han Woo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4

        학습장애아동의 출현율이 증가하고, 이들 대부분이 일반학급 혹은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특수교사뿐 아니라 일반교사, 치료사 등의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관련 연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장애에 관한 이해정도를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360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319부에 대한 자료를 통계처리 하였다. 성별, 학력, 교육경력, 자격증, 학습장애 강의유무 등의 변인에 따른 학습장애 발생원인, 장애진단, 지도방법, 장애특성에 대한 이해정도를 알아보았다. 성별로는 학습장애 이해정도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학력에 따라서는 장애진단과 장애특성 이해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경력에 따라서는 지도방법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자격증에 따라서는 장애특성 이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학습장애 관련 강의를 들은 경험유무에 따라 장애진단 이해정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다양한자격증을 가진 여러 영역의 교사들이 그들의 학력, 교육경력 및 학습장애 관련 강의 경험유무에 따라 학습장애를 이해하는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학습장애 관련 연수 및 강의내용이 구성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evalence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increasing and most of them are studying in the regular class or special class. So there is necessity o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disabilities for special teachers, regular teachers, therapist etc. We tried to make the questionnaire for 360 persons attended at the study and training on special educa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on occurrence cause, assessment,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learning disabilities. We analyzed the questions according to gender, academy background, teaching career, license, experience of listening on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on understanding of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y background on understanding of assessment and characteristics. Third,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on understanding of treatment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th,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license on characteristics understanding. Fifth,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experience of listening on learning disabilities on understanding of assessment.

      • KCI등재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변인 연구

        이원령 ( Won Ryeong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정서 및 행동문제로 인해 특수교육관련 서비스를 받고 있는 일반 초등학생 65명을 대상으로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변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관련변인으로서 자기효능감, 정서능력 및 사회적 지지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대한 상관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변인에서 남녀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학교적응유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은 학교적응유연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정서능력 순으로 학교적응유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위변인에서 자기효능감의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 정서능력의 정서인식 부족, 사회적 지지에서 친구와 교사지지는 학교적응유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서행동 문제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chool resilience of 65 elementary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who they have received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l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n school resilience of related factors such as self efficacy, emotional ability,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chool resilience and related factors between boys and girls, but boys`` school resilience was lower than girls`` one. Second, social support and self efficacy have higher correlation with school resilience. And the order of related factors giving more impact on school resilience was found firstly self efficacy, secondly social support, and next emotional ability. Third, the confidence and self control efficacy in self efficacy, lack of emotional awareness in emotional ability, peer and teacher support in social support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resilience. Based on these results, coping methods and directions to improve the school resilien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이원령 ( Lee Won-ryeo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2

        본 연구는 중등부 특수학급의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과 관련한 변인을 파악하여 향후 학생지도와 지원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생 30명과 고등학생 41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고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교급별에 따라 고등학생이 중학생 보다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학교적응유연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학교적응유연성이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 보다 학교적응유연성에 더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의 자신감, 사회적 지지의 교사지지와 친구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교사지지가 친구지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school resilienc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 special class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student guidance and support. For this purpose, 30 middle school students and 41 high school students were tested for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their influence on school resilience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school resilienc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male students showed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sex,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social support has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resilience than self-efficacy. Fourth, the confidence of self-efficacy, the teacher and friend support of social support were show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o school resilience. At this time, teacher support was higher than friend support. Finally, discussions of research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유아의 정서 및 행동문제에 대한 중재 고찰: 2000∼2013년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이원령 ( Won Ryeong Lee ),이은정 ( Eun Jung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일반유아의 정서 및 행동문제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을 통해 효율적인 중재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연구논문 65편을 대상으로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환경, 연구도구 등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유형, 목표행동의 변인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방법은 단일대상연구 보다 통제집단연구와 사례연구가 많이 실시되었다. 부모나 교사 보다는 유아만을 대상으로 한중재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환경으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많았다. 둘째, 목표행동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도구는 표준화 검사와 관찰 방법이 많았으며 일반화, 중재충실도 및 사회적 타당도를 측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셋째, 중재유형은 예방적 중재차원 보다 유아 중재차원에서 미술치료활동과 놀이치료활동이 많이 실시되고 있었다. 넷째, 목표행동은 공격행동, 산만행동, 과잉행동에 대해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정서 및 행동문제를 위한 중재 접근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view the interventions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or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to try to find a efficient intervention. A total of 65 research studies were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research method, subject, environment etc and variable characteristics including intervention type, target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study and case study were turned out to be the largest research method as compared with single subject research. There were a lot of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directly, the other portion were practised to parents or teachers, and the studies took place in early childhood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 Second, the standardized test and observation were well used to identify the target behaviors, and indicators of generalization, intervention substantiality, social validation were appeared to be low. Third, the intervention dimension for young children than the prevention dimension was more enforced, and art therapy and play therapy activity were used most widely. Forth, the majority of the studies was focused on aggression, attention deficit, and hyper activity for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direction of efficient educational intervention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was discussed.

      • KCI등재

        영재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능력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원령 ( Won Ryeong Lee ),이순복 ( Soon Bok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1

        본 연구는 영재아동의 지적능력과 더불어 정서적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아동 각각에 맞는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능검사와 창의성 검사, 부모상담을 통해 선정된 초등학교 저학년 12명(평균 지능지수 128, 창의지수 74)과 고학년 13명(평균 지능지수 126, 창의지수 77)의 영재아동 25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년 수준별 자아개념, 사회적 능력 및 학교생활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영재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능력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 수준에 따른 자아개념, 사회적 능력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학년의 자아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저학년보다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자아개념과 사회적 능력의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 대인적응성, 사교성, 일반자아, 일반교과목과 인기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lf-concept,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gifted elementary children classified into two grade levels, low and high grade, and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and social competenc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12 children of low grade and 13 of high grade who were tested on K-WISC-III and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TTCT)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verage of IQ of the low grade was 128 and that of high grade was 126. The conclusion from this study was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lf-concept,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low grade and high grade children. But the score of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high grade children was higher than the low grade. Second, the factors such as adaptation with person, sociality, general self-concept, general subject and popularity had an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

        음운인식훈련이 읽기장애아동의 음운인식, 명명속도, 읽기에 미치는 효과

        이원령(Won-Ryeong Lee) 한국언어치료학회 2003 言語治療硏究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naming speed, and reading abili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rough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Three boys with reading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Child A was in the third grade with IQ 84. Child B is in the first grade with IQ 88. Child C is in the first grade with IQ 95. They were in the regular class at the time of the experiment.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consisted of 3 components. The first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was setting initial or last letter sound of the letters. The secon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was phoneme additions, deletions, and substitutions of letters. The thir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was phoneme blending and distinction.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improved.Second, naming speed of the reading on letters was improved. However, naming speed on words and nonwords was not satisfied. Therefore, the training for naming speed was still in need.Third, reading abilities of letter, words, nonwords was improved. However, consistent training may be necessary.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장애이해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원령 ( Won Ryeong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4

        본 연구는 중학생 334명과 고등학생 289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학년, 통합교육 경험, 장애관련 영화나 책을 본 경험, 봉사활동 등에 따른 장애이해와 태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긍정적 태도 10문항, 부정적 태도 24문항, 중립적 태도 14문항으로써 총 4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다섯 가지 요인에 따른 중·고등학생의 장애에 대한 태도 분석에서 성별, 봉사활동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통합교육 경험에 따라서는 중립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중학생 집단과 고등학생 집단은 장애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장애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관련 영화나 책을 본 경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않았지만, 이러한 경험이 있는 경우 장애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을 위해 일반 중·고등학생의 장애이해와 태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보다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how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nk about disability according to sex, grade, inclusion education, experience of watching movies or reading books about disabilities, and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its results, we tried to find the primary factors that influenced to attitude toward disability of students. In the survey, 334 middle school and 289 high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The questionnaire was constituted with questions of 10 positive attitude, 24 negative attitude, and 14 neutral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disability according to sex and volunteer activities.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neutral attitude according to inclusion education.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disability according to grade. Specially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first grade and middle school first & second grade.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disability according to experience of watching movies or reading books about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