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광섬유 분산온도센서를 이용한 관내 막응축 열전달 및 유동양식 평가

        이용남(Yongnam Lee),조항진(HangJin Jo)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The film condensation heat transfer under low-mass-flux condition in horizontal tube was experimentally studied. The condensation experiment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a steam pressure of 0.5MPa and a mass flux of 50kg/㎡s with all steam quality range. An optical fiber sensor was used as a distributed temperature sensor (DTS), and the outer tube wall temperature data with intervals of 2.6 mm in the axial direction were measured. In two representative flow patterns (annular and stratified flow), the local heat flux and local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the radial direct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average radial heat transfer coefficient.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w pattern of condensate in tube could be measured only by the tube wall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using this,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conditions that cannot be visualized such as high temperature or high pressure was suggested.

      • KCI등재후보

        중국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손자령(ZiLing Sun),이용남(Yong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 하남성 G시 초등학교에서 300명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설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분석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는데, 분석결과 완전매개모형보다 부분매개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애착을 독립변수, 학교생활적응을 종속변수, 그리고 또래관계를 매개변수로 설정한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모애착 → 학교생활적응, 모애착 → 또래관계, 또래관계→ 학교생활적응의 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Peer relationship could be worked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association of Mother attachment with School life adjustment. Three hundred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G-city of he nan province were responded to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echniques were employ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SEM indicated that Peer relationship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is finding supported the partial mediational model, in which the Moth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was mediated by Peer relationship variable.

      • KCI등재후보

        중국 유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황효혜(Xiaohui, Huang),이용남(Yong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37 No.-

        이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스마트폰 사용량과 중독 수준을 측정하고,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유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남․녀별, 나이별, 한국 내 체류기간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아질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은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협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ge of smart phone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examine their smart phone addiction, and see how overuse of smart phone was connected to their college life adjustment . For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instruments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by the survey of 373 students (male: 125, female: 248) in C college and D college located in Gwangju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20.0 program for Window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such a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smart phone addiction than male students. According to age, the highest smart phone addiction rate appeared in the students that are older than 26. The age range of 18-20 had the lowest rate in smart phone addiction. If we classified the students by the time of living in Korea, we could find that those who are around 2-3 years showed most addiction of smart phone. And the group who are living 1-2 years showed lowest smart phone addition. Meanwhile, the smart phone addiction rate was not related to the degree level of students they are studying. Secondly,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Thirdly, smart phone addiction a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negatively. In conclusion, the smart phone addiction level show differences by gender, age, and living time in Korea. Furthermore, we can also conclude that the higher level smart phone addiction rate, the low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life. These results shows us that smart phone addiction threaten college lif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 KCI등재후보

        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신방방(FangFang Shen),이용남(Yong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37 No.-

        이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적극적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C대학교에 2014년 4월부터 8월까지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400명에게 자기효능감 척도, 스트레스 대처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의 설문을 실시하여 3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 가지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고 경로계수의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예언변수로 한 모형 중에 예언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와 예언변수가 결과변수에 영향을 주는 직접경로를 모두 가정한 부분매개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 판단을 위해 설정한 경합모형은 예언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 결과변수에 영향을 주는 간접경로만을 지정한 완전매개모형이다. 그리고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예언변수로 한 연구모형은 부분매개모형으로, 경합모형은 완전매개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이 높고,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수준이 높았다. 셋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고,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이 높았다. 넷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 요인 소망적인 사고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 수준이 높고,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일부 측정변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았다. 셋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일부 측정변수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낮고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낮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의 수준이 낮았다. 넷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성향을 지닌 중국 유학생들이 자기효능감을 경험할 때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대학생활 적응을 잘 못하는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성향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어떻게 적극적으로 대처하는지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Four hundr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pril to August 2014 at C University of G city. The data of 362 students were collected by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scale, the self-efficacy scale, and the adaptations to college life scale. Simple correlations between measured variables were calculat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re appli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for each type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e., the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The results of the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al mediation models was fit better.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nd the level of self-efficacy.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wa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s to college life. Forth,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s to college life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al mediation models was fit better.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nd the low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lower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s to college life. Forth,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s to college life were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pending on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Chinese students experience self-efficacy, and are likely to show adaptations to college life.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students who has adaptations to college life problems with interventions designed to raise their level of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 KCI등재후보

        소집단협동학습을 활용하는 중국어회화수업이 말하기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옥전(Yuquan Li),이용남(Yong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중국어 방과 후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소집단 협동학습을 선택하여 고등학교 초급 중국어 말하기 학습에 적응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현 교육현장이 가지는 외국어 학습의 제약점을 보완하고 초급 중국어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의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담양에 소재의 H고등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20차시의 실험연구를 진행되었다. 사전 말하기 사전 말하기 점수와 사후 말하기 점수를 분석하여 소집단 협동학습은 중국어 말하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설문을 통해 사전・사후 학습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집단 협동학습을 실시한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은 중국어 말하기 평가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일반 학습에 비해 양적인 면에서 발화의 기회가 증가하였고 질적인 면에서도 협동학습 과업 해결을 위해 의미 있는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또한 팀 점수를 높이기 위해 구성원 모두가 서로 돕고 가르쳐 주는 소집단 내의 긍정적 분위기 속에서 학습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말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중국어 학습이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유효한 결론을 도출해 내었고 소집단 협동학습은 고등학교 중국어의 말하기 뿐 만 아니라 듣기, 읽기, 쓰기 활동에도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ducation method of elevating Chinese speaking skill for high school Chinese learning beginner by using STAD(Student Team Achivement Divisions), that is one of the various cooperative learning tools focusing learner. For this purpose, I applied STAD to high school chinese speaking education. Then I analyzed the rusult in order to make up for defects of the present high school Chinese education. This study was excuted for Chinese learner of N high school located in Incheon for four weeks. To verify influence on Chinese speaking of STAD by comparing pre-Chinese speaking score with post-Chinse speaking score. The questionnaires was used to examine a change of pre-post Chinese learning attitude. This study using the SPSS 12.0 software which resul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 test. To summarize, First,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between the experiment class and the comparative class in Chinese speaking improvement. It s consider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ncreased chances of speaking in a quantitative respect. also cooperative learning made the students more comunicative in a qualitative respect. Because the students actively needed to talk with each other to solve classwork. In addition, the students had to cooperate with other students for getting more higher score in a Chinese test. Second,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in Chinese learning attitude. Because the students got more confident about Chinese throughout group compensation based on individual Chinese learning improvement contribution. Third, the student could study more efficiently by exchanging information regarding Chinese with their friends in a basic group. besides,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for every level s Chinese learner. In particular, the student in the upper level made a progress of cognitive elaboration and the low level student could reflect on virtues and faults of high level student s learning methods by watching them. This study conclud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of Chinese speaking in high school education was effective as the results showed. I suggest that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not only Chinese speaking but also listening, writing, reading.

      • KCI등재후보

        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왕만(Man Wang),이용남(Yong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완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고,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았다. 셋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아지면 사회적지지 수준이 낮아졌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아지면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낮아졌다,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아지면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아졌다. 넷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성향을 지닌 중국 유학생들이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 때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성향을 지닌 중국 유학생들이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 때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리적 안녕감을 높지 않은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성향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어떻게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하는지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Between of 40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14 at B University of A city, a total of 330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Spss 20.0 and AMOS 20.0 conducted to text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ess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Proactive coping strategy posi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ssive coping strategy nega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is, proactive coping strategy used as a way of adapting to stress improves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passive stress coping strategy lowers it. Finally,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mplied that higher social support help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stress coping strategy affect social support. Proactive coping strategy positively affected social support, while passive coping strategy have not an effect on social suppor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had a mediated effect. The result showe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means that those who used proactive coping strategy become more capable of recognizing social support that is available around them through emotional reinforcement and they are also more capable of utilizing them. However,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passive coping strateg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shoed that social suppor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should be more programs that could help stress coping strategy in college counseling centers, which will greatly help Chinese students in Korea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adjust to their college life better.

      • KCI등재후보

        교재 학습 상황에서 사전지식, 교재 흥미 및 정보의 중요성이 주의집중과 회상에 미치는 효과

        허승준(Hur Suhng-june),이용남(Lee Yongnam)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7 교육연구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교재 학습 상황에서 사전지식, 교재 흥미, 그리고 정보의 중요성이 주의집중 및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갈다. 첫째, 학습 교재를 일반적인 학습 상황과 동일하게 제시했을 때, 기존의 연구와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즉, 기존의 연구에서는 독자들이 흥미보다는 중요성에 근거하여 주의 집중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내지 못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 독자는 기억하기 힘든 정보와 중요한 정보에 더 오래 주의집중을 했는데, 이 때 흥미보다는 중요성에 근거해 서 여분의 주의집중 시간을 할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기존의 유인정보 효과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즉, 유인정보가 기 존의 연구만큼 독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았다. 셋째, 사전지식과 주의집중과의 관계에 있어, 사전지식이 높은 학습자가 주의집중에 보다 전략적이었다. 그 결과로 기억하기 힘든 정보와 중요한 정보를 보다 잘 회상했다. 여기에서 유인정보 효과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 사전지식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즉, 중요한 정보에 대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인정보를 추가하는 것이 사전지식이 높은 학습자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active effects of prior knowledge, text-based interest, and importance of information on attention and recall in learning from text. The subjects of the first experiment were 38 college students and those of the second were 40 college student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research design was a 2x2x2 mixed factorial design with prior knowledge(high vs. low) as the between-subject variable and interest(high vs. low) and importance(high vs. low) as the within-subject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attention and recall. Statistical methods of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s(ANOVAs) were conducted. To be conservative, alpha was set at .05 level.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students learned the text presented in general learning situation, they allocated their attention to important information without regard to interest. Second, the seductive details didn t require more processing time. This suggested that we must rethink the seductive details effects. Third, the students of higher subject-matter knowledge were more stratigic than the lower group. And they recalled high important information and low interest information better than the lower group. This suggested that we must consider the prior knowledge in the discussion of seductive details effects.

      • KCI등재후보

        중·고등학생을 대상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분석

        최주영(Jooyoung Choi),이용남(Yong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37 No.-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이에 따라 마음챙김 효과 영역을 정서적, 행동적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별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마음챙김 명상이 자아탄력성과 주의집중력을 증가시키고, 자살사고와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가 우울, 불안, 분노를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 자아 존중감, 자기 효능감, 심리적 수용 수준을 증가시키는 데는 서로 상반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마음챙김 명상이 낙관성을 증진시키고, 충동성, 공격성, 폭식행동을 감소시키는 데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의 명상의 개입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마음챙김 명상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검토의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programs. There were 2 categories of effective and behavioral area.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programs increased ego-resilience, concentration, and decreased suicidal ideation and pain. Second,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programs showed conflicting results about depression, anxiety, anger,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elf-efficacy and acceptance. Third,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programs had no effect on increasing optimism and decreasing aggression, impulsiveness, and binge eating. As such results showed, to improve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programs, mindfulness mediation have to consider various factors that affect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a-analysis is needed on mindfulness mediation.

      • KCI등재후보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임지원(Jiwon Im),이용남(Yong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자아정체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3학년 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애착. 자아정체감, 학교적응의 측정변수들의 상관관계 결과 모두 정적 상관이 있고 유의하였다. 둘째, 또래애착을 예언변수로 학교적응을 결과변수로 자아정체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한 연구모형이 경합모형보다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셋째, 또래애착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형성할수록 학교적응이 높았다. 다섯째,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것은 또래애착에 관해 청소년이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주고 이는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살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심리적인 이해와 효과적인 상담 및 교육, 제도적인 중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verify mediated effects of ego identity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Four hundred three the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218boys, 186girls) completed questionnaires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hypothesis. This study reveals the following result. First, positive correlationship among peer attachment, Ego-identity, School adjustment all significant. Second, the research model that set peer attachment as the predicting variable, school adjustment as the outcome variable, and ego-identity as the mediating variable showed higher goodness-of-fit than the competing model. ego-identity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Fourth, creation of a more positive ego-identity showed higher school adjustment. fifth, ego-identity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This implies that adolescents influence ego-identity regarding peer attachment and that this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