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 형상 변화에 따른 하류부 세굴의 시간적 변화

        여창건(Yeo Chang Geon),이승오(Lee Seungoh),윤세의(Yoon Sei Eui),송재우(Song Jai Woo)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1 No.4B

        본 연구는 수리 실험을 통하여 보 형상 변화에 따른 보 하류부 세굴의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보 하류부 세굴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최대세굴심의 예측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실제 세굴심의 예측을 위해서는 시간 변화에 따른 세굴심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예연보, 경사형보와 같은 보 형상 변화에 따른 하류부 세굴의 시간적 변화를 수리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보 형상별 시간 변화에 따른 세굴심 예측식은 유사의 연속방정식을 기본으로 실험을 통하여 측정된 시간변화에 따른 보 하류부 세굴공의 체적 변화량과 보 하류부 세굴심 변화량 자료들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평형세굴시간, 평형세굴심, 월류고, 보 높이를 이용한 세굴심 예측공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식은 기존의 보 하류부 평형 세굴심 예측식들이 반영하지 못한 설계홍수지속기간을 반영할 수 있어서 보 하류부 세굴보호공의 설계 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s temporal variation of local scour depth in the downstream of weir with shapes. Prediction of maximum or equilibrium scour depth was the main focus of engineers and researchers in the downstream of weir. However, it is necessary to analyzes temporal variation of local scour depth in the downstream of weir to predict real time scour depth. Experiment were performed with various weir shapes like sharp crest and inclined stepped with time variation and non-dimensional scourhole shapes, scour depths were proposed. A formula for predicting scour depths with temporal variation for weir were proposed through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Temporal variation of scour depths could be estimated with suggested formula and 4 input data (Equilibrium scour depth, weir height, overflow depths, and water depth downstream). Suggested formula could make it possible to design a apron and bed protection economically in the downstream of a weir by considering flood duration time.

      • 사이폰여수로의 안정적인 수위-유량 곡선도출을 위한 공기조절장치 개발

        김지성 ( Jisung Kim ),이승오 ( Seungoh Lee ),정석일 ( Suk-il Jung ),송현구 ( Hyeongoo Song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사이폰 여수로는 월류식 여수로보다 공간을 적게 차지하지만 많은 유량을 배제할 수 있다. 특히 상·하류 수두차가 클수록 배제량이 많으며,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작동하기 때문에 수문보다 운영상 유리한 점이 있다. 하지만 사이폰이 작동이 될 경우 저수지에 유입되는 홍수량과는 상관없이 상하류 수두차에 의해 방류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하류 지역에 홍수피해가 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1922년에 인도에서 공기조절 사이폰여수로가 제시되었다. 2002년에는 K. Babaeyan-Koopaei에 의해 Air-slot 방식이 제시되었다. Air-slot 방식은 단일의 공기관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량을 보다 많이 들어가게 할 뿐만 아니라 저수지 수위에 따라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공기조절 사이폰여수로가 설치된 사례가 없으며, 1980년대 중반부터 시공의 간편함과 저렴한 비용 때문에 원형 강관 형태의 사이폰을 설치하고 있다. 이 원형의 사이폰에서는 주로 단일의 Air-vent에 의해 공기 공급이 일어나는데, 공기조절을 통해 유량 조절은 할 수 없고 단지 사이폰의 작동이 되는 수위를 결정하는 기능만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하류 홍수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사이폰 여수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기조절여수로의 도입이 필요하나 원형 사이폰 여수로에 duck-mouth와 Air-slot 형태로 공기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제작하기는 힘들다. Air-slot 방식은 실무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지는 못하여 범용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원형 강관의 사이폰여수로에 맞는 새로운 방식의 공기조절 장치와 설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K. Babaeyan-Koopaei가 제시한 Air-slot 방법과 duck-mouth 방법을 결합하여 철재 원형관에 적합한 Air-regulated siphon를 제시하고,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형태가 무엇이며, 공기관의 배열이 어떠할 때 효과적인지 분석하여 설계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방식의 공기관의 효과를 보기위해서 Flow3D의 공기연행기능을 사용할 계획이다. 이런 검토를 위한 실험조건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기보다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저수위 공기조절 사이폰를 대상으로 하고 상하류 수두차를 다양하게 설정하지 않고 단일의 수두차를 설정하여 연구를 할 계획이다. 그리고 사이폰 말단이 잠겨있지 않은 형태가 많으므로 사이폰 말단이 잠겨있지 않은 상태로 연구를 할 계획이다. 또한 Flow3D 모델의 검증은 기존의 사이폰 여수로 수리모형실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할 계획이다. 이런 연구의 결과로서 새로운 공기조절 사이폰의 여수로는 웨어 흐름에서 사이폰흐름으로 변화되는 천이구간에서도 완만하게 유량이 증가하고 감소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이런 공기조절 장치는 새롭게 설치하는 사이폰 여수로에 적용할 뿐만 아니라 기설된 사이폰 여수로에도 적용할 수 있어 활용성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 그리하여 사이폰 여수로의 수리학적 특성으로 인한 하류피해에 대한 불안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이상기후로 인해서 홍수량이 증대하는 저수지에 물넘이 확장의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새만금 호내 수환경 측면에서 최적 관리수위에 대한 수치모의

        정석일(Jeong, Seokil),류광현(Ryu, Kwanghyun),정영훈(Jung, Younghun),이승오(Lee, Seungoh)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5

        새만금 방조제 준공 후 새만금 호내 수질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다양한 구조적인 대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었지만, 뚜렷한 수질 개선이 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 대책의 일환으로 관리수위 변화를 제시하였고, Delft3D를 통해 수질 개선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새만금종합개발계획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수문 운영을 가정하여 재현하였으며, 현장 계측 자료 및 Delft3D 모의 조건을 고려하여 COD와 T-N을 수질에 대한 지표로 선택하였다. 분석결과 현행 관리수위(EL.(-)1.5m)보다 0.10 m 관리수위가 증가하였을 때, 수질적인 측면에서 최적의 결과가 나타났으며, 만경강 유역과 동진강 유역을 연결하는 연락수로가 오염물의 확산 측면에서 큰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aemangeum Basin has been subjected to water quality issues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a seawall downstream of the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Various structural measures have been discussed, but none have been effective so far. In this study, the change in management water level was proposed as a countermeasure, and Delft3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management water levels. Future operations, including the interruption of seawater inflow, were considered. Based on three assumptions for simulating the operation of the drainage gate, the condition of Saemangeum in 2030 when the Master plan is completed was modeled. COD and T-N were selected as the pollutant indicators. The boundary conditions and numerical analysis input data were obtained by integrating actual field data and operation logs. The nume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water level was more advantageous for water quality when the water level was increased by 0.10m from the current management level of EL.(-)1.5m. It was also confirmed that contaminant diffusion in Mangyung and Dongjin was not actively progressing through the new connecting canal.

      • KCI등재

        토석류 전파에 미치는 연행의 영향

        정석일(Jeong Seokil),김홍택(Kim HongTaek),송창근 (Song Chang Geun),이승오(Lee SeungOh)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최근 토석류에 대한 피해 증가로 정확한 토석류 예측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토석류의 거동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소들이 있지만, 연행(Entrainment)은 토석류 거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토석류 전파 특성 분석을 위해 연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McDougall and Hungr (2005)의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토석류 연행을 재현하였으며, USGS 실험 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검증 및 보정을 수행하였다. 연행 변화에 따른 전파거리 분석결과 연행이 클수록 전파거리가 길어짐을 보였다. 그러나 동일한 부피에 대하여 연행이 고려되었을 경우, 그렇지 않았을 경우에 비하여 전파길이가 짧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후 관성력 변화에 대한 전파길이 변화 양상을 검토하여, 순수 연행과 토석류 전파 특성과의 관계를 도출할 것이다. Owing to recent increases in damage from debris flow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propagation of these flows. Of the many factors that affect the behavior of debris flows, entrainment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ir propag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entrainment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more accurate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debris flow. Following the results of McDougall and Hungr (2005), the entrainment relationship was embedded in a shallow water equation, and the Urban Debris Simulator (UDS) was extended. Verification and calibration were next perform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The results of the propaga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entrainment showed that a larger entrainment rate is related to a longer propagation distance. However, when entrainment was considered for the same volum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agation length was shorter than that when entrainment was not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