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현대 시민사회의 지배양식

        이성백 ( Seong Paik L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5 도시인문학연구 Vol.7 No.1

        이 논문은 20세기 서구 비판적 사회철학의 주요 이론들인 그람시의 헤게모니론,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론,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 푸코의 미시권력론, 들뢰즈의 욕망의 영토화론을 권력과 지배의 관점에서 비교 고찰하고, 이로부터 통합적인 현대시민사회의 지배양식론을 구성하고자 시도한다. 맑스주의적 지배양식론에 해당하는 그람시의 헤게모니론과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론은 대중의 의식의 이데올로기적 지배의 측면에 초점이 맞 추어져 있다. 물리적 강제력으로서의 국가에 한정되어 있던 시각을 이데올로기측면으로까지 확장한 것은 이들의 이론적인 기여이나, 다른 한편 이데올로기적 지배와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다른 지배양식인 경제적 지배 양식의 문제를 간과하였다. 푸코와 들뢰즈를 위시한 포스트모던 지배양식론은 맑스주의적 지배양식론과 비교할 때, 지배양식의 분석을 확대, 심화하는 새로운 내용들을 발전시키고 있다. 후자의 이데올로기 분석이 주로 의식의 영역에서 이루어졌던 데에 비해, 푸코의 생체권력이나 들뢰즈의 욕망의 영토화론은 이 의식의 영역을 넘어 무의식과 육체, 욕망의 영역으로 확장된다. 그런데 포스트모던 지배양식론도 크게 보면 이데올로기적 지배의 차원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현실적인 물질적인 삶, 즉 경제적 차원에서의 지배의 작동에 대해서는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세기 서구 비판적 사회철학에서는 경제적 지배양식에 대한 논의는 거의이루어지지 않았다. 바로 이점이 20세기 서구의 지배양식론의 근본적인 취약점이었다. This study tries to compare the main theories of the western critical social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the theory of hegemony by A. Gramsci, the theory of ideological state apparatus by L. Althusser, the theory of micro-power by Foucault and the theory of the territorialization of the desire by Deleuz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wer and domination, and from these considerations searches for the possibility, to constitute a integrative general theory of domination in the modern civil society. The Gramscian theory of hegemony and the Althusserian theory of ideological state apparatus focused on the ideological domination of the consciousness. This expansion of the domination to the problem of the Ideology is their contribution, but they overlooked the economical aspect of the domination which operates with the ideological domination organically. Foucault and Deleuze has deepened the analysis of the domination to the scope of the unconscious, body and desire. This post-modern theory of domination is the outstanding development which goes over the marxist analysis of domination, but it stays also in the domain of the ideological domination in broader sense. The domination in the material and economical life is left uninvestigated. The Absence of the analysis of the economical mode of domination is the theoretical vulnerability of the western critical social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which was unable to analyze the social domination (or successful integration) of the social welfare state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후보

        특집 : 도시인문학의 현황과 과제 ; 21세기 도시연구의 새로운 방향 - 탈신자유주의적 도시의 탐색

        이성백 ( Seong Paik L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2

        이 논문은 21세기 도시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70년대 이후 도시연구의 대표적인 이론적 흐름들인 데이비드 하비의 정치경제학적 도시론, 사스키 야 사센의 지구적 도시론, 마누엘 카스텔의 정보도시론, 에드워 드 소자의 포스트모던 도시론을 고찰한다. 그리고 이 도시론들 의 비교로부터 80년대 이후 현대도시의 변화를 설명하는 더 포 괄적이고 일반적인 도시 개념으로 신자유주의적 도시를 제시한 다. 위의 여러 도시론들은 각각 독자적인 개념을 내세우고 있지 만, 이 도시론들이 자신의 이론의 주요 특징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을 보면 매우 흥미로운 점을 발견하게 되는데, 몇 가지 동일 한 특징을 각각 자신의 특징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중도시”, 즉 도시에서의 양극화 현상이 각 이론들에 의해 자신 의 이론의 주요 특징으로 제시되고 있다. 70년대 이후 도시의 변화는 자본주의의 경제적 축적체제인 신자유주의의 차원에서 가장 포괄적이고 일반적으로 개념화되어야 한다. 지구적 도시는 신자유주의적 축적체제의 공간적 확장의 측면이고, 정보도시는 그것의 기술적 혁신의 측면에 해당한다. 21세기 도시 연구는 탈신자유주의의 대안을 모색하는 전망 속에서 신자유주의 도시 비판으로 방향을 잡아야 할 것이다. 신 자유주의가 가져온 “도시의 비인간화”에 맞서 모든 인간을 위한 도시, 코스모폴리스의 새로운 전망을 모색해야 한다. This article aims at searching for a new direction in the urban studies in 21 century. It compares the representative theoretical streams in urban studies, the urban political economy of D. Harvey, the theory of global city of S. Sassen, the theory of information city of M. Castells, and the theory of postmodern city of E. Soja. And from the comparision of these urban theories this article suggests the neoliberal city as the more inclusive and general conception in describing the changes of the modern cities after 1980 years. Although each urban theory stands for an independent conception, we find the an interesting point, that the some main features which it represent as its special features are coinciding in every theory. The “dual city”, namely the polarization in the modern city is represented as its own main feature by each theory. The changes in modern city can be conceptualised the most inclusive and gereral in the dimension of economical accumulation-regime. So their most inclusive and gereral conception must be described as neoliberal city. The global city is the side of the spacial expansion of neoliberal city, and the information city is its technical side. The urban studies in 21 century are directed to the critique of the neoliberal city in the perspective searching for the post-neoliberal alternative. Against the “urban dehumanisation” which the neoliberalism brought about, we must search for a new perspective of the cosmopolis, a city for every people. The urban studies in 21 century are directed to the critique of the neoliberal city in the perspective searching for the post-neoliberal alternative. Against the “urban dehumanisation” which the neoliberalism brought about, we must search for a new perspective of the cosmopolis, a city for every people.

      • KCI등재

        논문 : 공간적 선회: 도시연구의 신 패러다임 -E. 소자의 포스트모던 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성백 ( Seong Paik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3

        서구 학계에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바람이 일고 있다. 이른바 "공간적 선회(spatial turn)"의 패러다임이다. 도시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처음 주장된 공간 패러다임은 문학, 예술, 역사, 영상, 건축, 국제정치, 경제 등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제 영역들의 방법론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공간적 선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관한 논의에 중심에 서 있는 학자는 에드워드 소자이다. 인간과 사회의 문제를 시간적 계열의 축으로만 구성한 현대 계몽주의의 일면성을 넘어서 공간의 축을 동시에 사유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는 사회-공간 변증법은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놓은 획기적인 기획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소자가 구성하고자 하는 포스트모던 도시론은 아직 여러 측면에서 비판사회이론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는 소자에게서뿐만 아니라 도시연구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적 함의가 제대로 파악되지 못한 데에 기인한다. A new Tendency about the Paradigm is emerging in western human and social sciences. It is the so-called Paradigm of "spatial Turn". This Space-Paradigm which was asserted at first as new methodology in urban studies, is now expanding as universal methodology in human and social sciences. It is E. Soja, who stands in the middle of the debate on this new Paradigm of the spatial Turn. Soja`s "Socio-spatial Dialectic" tr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which constituted the human and social problems only in the perspective of time sequences. It can be evaluated as epochal project which opens new insight in the expanding the paradigm of human and social sciences. However, the postmodern urban theory which Soja tries to constitute in relying upon the Space Paradigm, is yet far from the function of critical social theory. The reason lies in the inability to seize the critical implication of the postmodernism not only by Soja but also in western urban studies.

      • KCI등재
      • 글로벌폴리스와 도시인문학의 가능성

        이성백 ( Seong Paik L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09 도시인문학연구 Vol.1 No.1

        이 글은 도시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가 어떤 문제를 다루며, 어떤 식으로 도시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한다. 이 글은 (1) 우선 앞부분에서 이 물음에 대한 직접적인 대답을 간단히 제시하고, 이어서 (2) 지구화 과정에 대한 역사철학적 분석을 통해 도시인문학적 연구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1) 도시연구와 인문학은 전혀 무관한 것이 아니다. 이미 인문학은 도시연구에 다양한 방식으로 개입되어 왔다. 도시인문학의 기본 과제는 선행적인 도시인문학적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도시연구에 필요한 새로운 인문학적 주제들을 개발하여, 도시인문학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도시인문학은 현재의 도시연구들의 주제와 논의 방향을 따라가면서 이 논의들에 필요한 인문학적 연구들을 수행하여 현재의 도시연구에 기여해야 한다. 그리고 21세기 도시연구에서 화두가 된 문화, 문화도시에 대한 관심은 오늘날의 도시연구가 사회과학과 인문학을 가로지르는 포괄적인 도시연구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오늘날 도시연구에서 활발한 쟁점은 지구화 시대에서의 도시의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그런데 아직까지 지구화 과정에 대한 역사철학적 연구가 별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채, 지구화의 역사적 위상이 탈산업주의와 탈현대주의에 대한 혼란 속에서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탈현대주의가 탈산업주의와 혼동됨으로써, 현대의 도구적 합리성의 한계를 비판하고, 다시금 인간적 삶의 논리를 모색하려던 탈현대주의의 인식론적 가치가 지구화 시대 도시연구에서 충분히 파악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지구화 시대에 도시 속에서 초래되고 있는 여러 문제점들을 비판하는 대안적인 이론적 논의가 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This article deals with what the humanistic research on the city deals with and how it may contribute to urban studies. After a direct answer to these questions is briefly proposed in the beginning, a histo-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globalization process is introduce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humanistic research on the city. (1) Humanities have not been separated from urban studies at all, but have intervened in them in a variety of ways. Urban humanities at this stage may well aim to estimate preceding research in a systemic way and to create new humanistic frameworks needed for urban studies, establishing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hem. Urban humanities should catch up with what is discussed in urban studies and, based upon this, fill up with what is missing in them.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culture and culture city, on which urban studies have focused in the 21st century, means that urban studies should encompass not only all disciplines of social sciences but also humanities. (2) Another heated debate in the area of urban studies is about the changing character of the city in the ear of globalization. Because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profound histo-philosophical study, the historical context of globalization has not been accurately captured. The confusion of post-modernism with post-industrialism has resulted in failing to understand the epistemological strength of post-modernist approach which criticizes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attempt to explore humane logic of life. As a consequence, alternative theories, as a critique of the urba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could barely emer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

        이성백(Lee, Seong-Paik)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2

        포스트모더니즘은 후기자본주의의 지배이데올로기가 아니라 후기자본주의의 급진적인 문화비판 논리이다. 비판이론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합리적 핵심은 현대시민사회에 문명적 병폐와 억압을 초래하고 있는 경제적, 도구적 합리성을 근간으로 하는 모더니티의 논리에 대한 비판에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존재의 미학’, 즉 미학적, 문화적 가치를 포스트모더니티의 논리로 제시한다. 리요타르는 모더니티의 논리인 ‘수행성 원리’를 포스트모던적 조건으로 잘못 정식화함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에 혼란을 초래하였다. 정보화, 지구화 등 탈산업주의는 모더니티 논리의 연장이고,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과 대립되는 경향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적 잠재력은 21세기 변화된 현실 조건에 맞추어 문화사회의 기획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Postmodernism is the radical culture-critical logic of late capitalism. The rational core of the postmodernism lies in the critic on the logic of modernity, economical and instrumental rationality which causes the civilizational degradation and oppression in the modern society.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postmodernism from the postindustrialism which is the continuation of the logic of moder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