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변적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도시브랜드 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서진 ( Seoji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1

        연구배경 도시브랜드는 도시의 이미지 제고와 가치 향상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속에서 지속가능한 도시 경쟁력확보를 위해서는 도시브랜드의 방향 설정이 중요하다. 도시브랜드는 미디어의 발달과 소비자의 욕구로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공감의 시대에 도시브랜드는 문화 콘텐츠의 생성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 도시가 가지고 있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높이고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도시브랜드는 어떠한 요소들을 갖추어야 하는지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연구방법 도시브랜드의 경향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사례에 엠마누엘 요춤(Emanuel Jochum, 2013)이 제안한 Flexibility Chart(가변성 도표)를 대입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번트 H. 슈미트(Bernd H. Schmitt, 2013)가 체험 마케팅에서 제시하는 브랜드 경험 유형에 근거하여 최근에 발표된 해외 도시브랜드 사례들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시브랜드의 가변성 도표를 분석한 결과 가변적 요소에는 불변하는 1개 이상의 고정점이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에 항등성을 부여하고 있었다. 나머지 요소들의 다양한 가변성 조합을 통해 도시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있었으며 도시브랜드 개발에서 가변성과 항등성의 균형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도시브랜드의 전략적 경험 사례에 따르면 도시브랜딩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도시 공간과 구성요소와의 연결을 꾀하고 사용자들과 상호작용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가변적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도시브랜드는 브랜드에 대한 통제권의 일부를 사용자들에게 위임함으로써 브랜드의 이야기를 스스로 생성할 수 있는 경험 디자인의 요소를 제공한다.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은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디자인 실현이 이루어지려면 체계적인 브랜드 경험 디자인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Background City brand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image and value of cities. In order to secure sustainable urban competitiveness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e direction of city brands is important. City brands are evolving in various ways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consumer needs. In times of empathy, city brands can develop into the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In order to raise the value and sympathy of the cultural heritage of citie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what elements a city brand should have, and the necessity of related research has emerged. Methods The trend of city brands was examined and the Flexibility Chart proposed by Emanuel Jochum(2013) was applied to the examples of city brands. In addition, based on the type of experiential marketing proposed by Bernd H. Schmitt(2013) in experiential marketing, recent cases of overseas city brand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ul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ability chart of urban brand, it was found that the balance of variability and identity is important in urban bran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ase of strategic experience of urban brand, urban branding uses various experiential marketing methods to connect with urban spaces and components and to induce interaction with users. Conclusion City brands, using their transformative identities, provide an element of experience design that allows them to create their own story by delegating some of their control over the brand to users, and the opportunity to share this positive experience with others.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le and future-oriented design realization, systematic brand experience design method should be applied.

      • KCI등재

        시대별 도시브랜드 디자인의 특성과 동향 분석

        이서진 ( Seoji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3

        연구배경 도시브랜드는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시브랜드 전략은 도시의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나아가 지속가능한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도시들이 각자의 도시브랜드를 디자인 하기 이전에 살펴봐야 할 도시브랜드의 개념과 시대변화에 따른 도시브랜드 발전 방향과 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동시대에 필요한 도시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하여 도시브랜드가 나아가야 할 커뮤니케이션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도시브랜드에 관한 문헌자료 및 통계자료 조사를 통해 도시브랜드의 개념, 목적 및 역할을 살펴보았다. 또한 도시브랜드의 발전 과정을 알아보고 최근 트렌드와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때 안홀트(Anholt, S.)가 제시한 도시브랜드 평가 순위에 근거하여 상위권에 위치한 도시브랜드와 최근에 발표된 우수 해외 도시브랜드 사례들을 함께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시브랜드 디자인의 특성은 시대별로 1세대 문장 형태, 2세대 슬로건 형태, 3세대 도시명 중심의 가변적 아이덴티티 형태로 구분할 수 있었다. 3세대 도시브랜드는 기관중심 또는 시민참여 형태로 도시명 중심의 열린 문장 구조를 갖추고 경험디자인을 활용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결론 도시브랜드의 사용 범주와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시대의 흐름과 다양한 매체의 발전에 발맞추어 변화되어 왔다. 강력하고 긍정적인 도시브랜드 구축을 위해서는 도시브랜드가 제공하는 요소들과 사용자들이 서로 소통하고 브랜드 경험을 통해 도시브랜드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Background City brands are emerging as an important paradigm to secure urban competitiveness. City branding strategy is important in that it promotes the brand value of the city and ultimately presents the direction to secure competitiveness of the sustainable c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concept of city brand before the cities design their own city brand, and to study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ty bran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era change.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purpose and role of city brand through literature and statistical data on city brand.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ity brand and analyzed recent trends and case analysis.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city brand desig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by era. The first generation is emblem type. The second generation is slogan type, and the third generation is flexible identity based on the city name. The third generation design is characterized by being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utilizing the experience design. Conclusion The use categories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city brands have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In order to construct a strong and positive city brand,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design direction that enables user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elements provided by the city brand and to relate to the city brand through the brand experience.

      • KCI등재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에 따른 전력계통한계가격의 변화

        이서진 ( Seojin Lee ),유종민 ( Jongmin Yu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2022 자원·환경경제연구 Vol.31 No.2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발전이 전력계통한계가격(System Marginal Price: SMP)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2016~2020년 시간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일 평균, 피크 시간대, 피크 외 시간대의 SMP에 대해 ARX-GARCHX 모형으로 추정한 결과 총부하, 가스도입가격과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이 중요 결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특히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이 증가함에 따라 SMP는 하락하는 급전순위효과(merit order effect)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태양광 발전량의 1% 증가는 SMP 수준을 0.005%가량 하락시킬 뿐만 아니라 변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생에너지 발전이 증가함에 따라 SMP가 하락하여 기존 발전소의 수익성 감소와 재생에너지 투자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신재생에너지 보조금이 소매 부분 전기요금에 부담을 가중하더라도 계통한계가격이 낮아져서 이를 상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renewable electricity generation on the System Marginal Price (SMP) in Korea. Using an ARX-GARCHX model with hourly data from 2016 to 2020, we evaluate SMP determinants and merit order effects. As a result, we find that solar and wind power, as well as gas price and total load, play a critical role in the SMP. In particular, solar power reduces the SMP level but raises volatility during peak and off-peak periods. This result implies that SMP may fall as renewable electricity generation increases, leading to a decrease in the profitability of existing power plants and investment in renewables.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subsidy of renewable energy increases the burden on the SMP, it can be offset by the merit order effect, which lowers the SMP.

      • KCI등재

        유명인 자녀 광고에서 사회경제적 계층이동성이 제품태도와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준사회적 관계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서진 ( Lee Seojin Stacey ),한혜주 ( Han Haejoo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3

        최근 매스미디어 및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유명인들의 자녀가 인플루언서(influencer)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업들은 자사 제품 광고에 유명인 자녀들을 광고 모델로 기용하고 있다. 유명인 자녀를 광고 모델로 활용하는 것은 유명인이 가진 긍정적인 이미지와 인기를 그들의 자녀에게 전이(spillover)시켜 보다 넓은 소비 계층에게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동시에 소비자들로 하여금 지위의 세습이나 적절하지 않은 성공의 방식이라는 반발심이나 상대적 박탈감 등의 부정적 반응을 일으키게 할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명인 자녀의 광고 출현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사회경제적 계층이동성 개념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 사회 계층 간 이동성이 활발하다고 인식하는 소비자일수록 유명인 자녀가 광고하는 제품에 대해 보다 호의적인 반응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 이상의 관계는 유명인 자녀와의 준사회적 관계(parasocial relationship) 인식에 의해 매개됨을 증명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유명인 자녀의 광고 효과에 대해 탐구한 최초의 연구로서, 주로 유명인 본인과 일반인에 국한하여 탐구된 기존의 광고 연구 결과를 확장하고 있다. 더 나아가, 마케팅 영역에서는 활발하게 탐구되지 않았으나 시의적으로 주목 받는 개념인 사회경제적 계층이동성 인식이라는 개념을 탐구함으로써 학계에 공헌하고 있다. Recently, “children of celebrities” have become new influencers through social and mass media. This trend is reflected by brands inviting these children as endorsers in their advertising. While children of celebrities as advertising endorsers can generate favorable responses across wider consumer segments from the spillover effect of the positive images and fame of their parents, they can also generate negative responses such as a sense of deprivation from inherited success and wealth.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onsumers’ perceived social mobility can maximize the potential positive effects of advertising endorsed by children of celebrities. Specifically, consumers who believe in high social mobility are more likely to show positive responses (e.g., attitudes, purchase intention, information search intention) to brands endorsed by children of celebrities. In addition, this positive link between social mobility and consumer responses to brands endorsed by children of celebrities is mediated by the perceived parasocial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To our knowledge, this research is the first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advertising endorsed by children of celebrities, and extends on the existing findings which mainly focused on celebrities and non-celebrities. Furthermore,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the effects of social mobility, which is highly relevant to consumers’ lives but has not yet been well examined in the marketing literature.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PB 밀키트 상품 트렌드 연구 - 이마트 피코크 상품을 중심으로 -

        이서진 ( Seoji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1

        연구배경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많은 것들을 바꾸어 놓았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강화됨에 따라 재택 생활이 장기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살림을 담당하는 가족 구성원의 가사 노동량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반복되는 식사 준비의 수고를 덜고자 음식 배달서비스와 가정간편식 HMR(Home Meal Replacement)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였다. 가정간편식 중에서도 외식의 내식화를 이끈 밀키트 시장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확대되고 있는 PB(Private Brand)상품 중에서 식생활 문화의 변화를 가져온 밀키트 상품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트렌드와 디자인의 방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2장에서 이론적 고찰로 PB상품의 의미, 가정간편식의 역사와 동향 그리고 가정간편식 중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밀키트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 유통 3사의 PB 밀키트 브랜드 사례를 살펴보고 업계 선두인 이마트 PB 피코크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밀키트 상품의 트렌드와 디자인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장이 확대되고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PB밀키트 상품은 다양화와 고급화가 추진되고 있었다. 이마트 PB 피코크는 기존 PB 식품브랜드들을 통합하고 다양한 맛집과의 컬래버레이션 제품 출시, 개념 소비 진작을 통해 프리미엄 전략을 진행하고 있었다. 결론 밀키트 디자인은 식재료의 신선도에 대한 신뢰성을 소구하고 요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돕는 정보전달의 결합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편리미엄 추구와 개념 소비가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PB상품의 프리미엄 전략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이용의 편리성을 높이고 환경친화적인 포장재를 사용한 밀키트 디자인이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many things in our daily lives. Due to the reinforcement of social distancing and prolonged home life, the amount of housework for family members in charge of housekeeping increased sharply, and the food delivery service and HMR(Home Meal Replacement) market grew steeply in order to reduce the trouble of preparing meals. Among the HMR, the Meal Kit market, which led to the internalization of eating out, is drawing atten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tatus of Meal Kit among PB(Private Brand) products that are expanding according to lifestyle changes, and to study the Meal Kit trend and the design direction in line with changes in dietary culture. Methods In this study, in Chapter 2, the meaning of PB products, the history and trends of HMR, and Meal Kit,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mong HMR, were examined as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Chapter 2. In Chapter 3, I examined the cases of PB Meal Kit products of three leading Korean distributors, and focused on the case of E-Mart Peacock bran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trends and package design characteristics of Meal Kit products. Result As the market expanded and competition intensified, the PB Meal Kit products were diversified and advanced. E-Mart PB Peacock was implementing a premium strategy by integrating existing brands, collaborating with various restaurants, and promoting concept consumptio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freshness of food ingredients and the power to communicate information that makes cooking easier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for customers who want rational consumption. As the pursuit of convenience and concept consumption emerged as a trend, the premium strategy of PB products was in progress, and it could be seen that the trend is the Meal Kit design that uses eco-friendly packaging materials and enhances the convenience of use.

      • KCI등재
      • 메타버스 기반 상담 에이전트와 사용자의 자기노출에 대한 제언

        이은성(Eunsung Lee),박윤정(Younjung Park),정민웅(Minwoong Chung),임인재(Injae Im),김소영(Soyoung Kim),이서진(Seojin Lee),이세영(Seyoung Lee),금희조(Heejo Keum)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최근 정신건강의 악화가 주요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비대면 방식의 인공지능 정신건강 상담 에이전트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신건강 상담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피상담자의 자기노출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동안의 심리상담 자기노출에 관한 연구는 주로 대면 방식의 상담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인공지능 상담 에이전트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상담 에이전트 연구이더라도 대부분 텍스트화된 챗봇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몰입감이 높은 가상환경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메타버스 환경 내 상담 에이전트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사용자의 자기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선행 연구에서 대면 상담 중 자기노출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 변수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메타벅스 환경에서 자기노출이 발현되는 상황이 텍스트 기반의 챗봇 에이전트를 향한 자기노출 상황과는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상담 에이전트를 실제 구현하였다. 본 논문은 피상담자의 자기노출을 높이기 위해서 가상환경에서의 인공지능 상담 에이전트가 향후 어떻게 디자인되고 발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연구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업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이 지속가능소비생활 실천과 소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민환(Lee, Min-HWan),이서진(Lee, Seojin Stacey)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이 소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이 지속가능소비생활 실천을 통하여 소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소비자원에서 2년 주기로 조사·발표되고 있는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은 지속가능소비생활 실천과 소비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은 지속가능한 소비생활실천을 통하여 소비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영향력의 유무와 크기는 나이, 성별, 소비자교육 및 소비자참여활동 참여의사와 같은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여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자교육 및 소비자참여활동 참여의사의 정도에 따라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의 매개효과의 유무와 영향력의 방향성이 상반되는 결과를 보이며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소비자의 역할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이를 지속가능소비와 연결시키고자하는 학문적 및 정책적 기여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and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on consumer life satisfaction. We hypothesize that bo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 consumer life satisfaction via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s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2019 Korea Consumer Life Index」, which is investigated and published every two years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The findings suggest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and consumer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s mediate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well a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on consumer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it is confirm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cluding age, gender, participation intention of consume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consumer participation activities moderates the observed effects. In particular, the presence and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ading and active consum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are discussed, an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