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돌봄 경험과 가족지원 욕구에 관한 연구

        이복실 ( Bok Sil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가족의 돌봄 경험과 지원서비스 욕구를 파악하기 위해 어머니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초점집단면담은 집단의 역동을 통해 연구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가능하다. 연구에는 발달장애인의 어머니 총 19명이 참여하였고,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라 4개 집단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질적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4개 범주와 1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4개 범주는 `가족의 삶에 끼치는 영향`, `가족이 일상에서 직면하는 어려움`, `가족지원서비스의 한계점`, `가족지원서비스 욕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가족지원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 ` 가족지원 개념합의, 가족이 참여하고 주도하는 가족지원, 복지정보망 구축 등`을 제언하였다. 또한 실천적 방안으로 `가족멘토링 서비스, 아버지 양육참여 보장, 쉼 서비스, 자녀의 미래준비, 주간활동서비스` 등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aimed at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mother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desires for family support services. Focus group interviews allow in-depth discussion of the subject of research through dynamic dynamics. A total of 19 mothers were involved in and consisted of four group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life cycle. Finally, four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quality-managemen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four categories are `The Impact of Family Life on Their Families`, `Difficulties in Everyday Life`, `The Limits of Family Support` and `Family Support Services nee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ramework for promoting family support was proposed to facilitate family support, family support, family support, and establishment of welfare information networks. In addition, a practical method was suggested for practical purposes such as family mentoring services, parental support, vigilance services, future preparation of children`s futures, and day activities.

      •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 지원활동에 관한 질적 연구 - 생활시설 실천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이복실 ( Lee Bok-sil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2 장애인복지연구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을 지원하는 활동에서 중요하게 제기되는 의미와 요소들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지적장애인 생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실천가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면접을 실시하였다. 풍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3년 이상 직접서비스 제공 경험을 가진 실천가들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료는 지속적인 비교분석(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을 통하여 수집된 결과는 57개 개념, 16개 범주로 정리되었다. 16개의 범주는 다시 자기결정 촉진요인, 자기결정 저해요인, 자기결정 지원성과, 지원활동 성격 등의 4개 상위범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세 가지 제언이 도출되었다. 첫째,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에 대한 실천가의 인식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지적장애인에게 실제로 제공되고 있는 자기결정 경험 기회에 대한 점검이다. 셋째, 실천가의 지원활동의 딜레마를 해결하고 지원능력을 높일 수 있는 직원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components in the supporting for self-determination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scribed experience of the practitioners who working in the residential homes,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are selected working more than 3-year as direct service workers. By the analysis, 57 concepts are derived, 57 concepts are categorized to 16 issues, and 16 issues are summarized to 4 themes. These are facilitating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barrier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outcomes of supporting self-determin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upporting activiti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3 practical recommendations are made. The first is the need for examining perception and philosophy of service practitioners as to self-determination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The second is for the monitoring whether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can have opportunities for the real self-determination. The third is development of staff training programs giving advices on their practice dilemmas and raising supporting ability related to the self-determination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 장애인 거주시설의 환경에 관한 실무자 인식 연구

        이복실 ( Lee Bok-sil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4 장애인복지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거주시설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집단면담을 통해 거주시설 환경의 문제와 개선사항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는 다양한 거주유형의 직접서비스 제공자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 크게 3가지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분석된 범주는 거주시설 환경의 문제(산재한 시설적 요소, 사생활 공간 부족, 거주환경 중요성 이해부족, 환경 영향과 변화 어려움 딜레마), 거주시설 환경변화의 의미(가정집과 유사한 환경, 작은변화가 큰 기쁨, 이용자 마음 따라가기), 거주환경의 개선 사항(합리적인 제도 운영, 디자인 비용 반영한 예산추계, 표준지침 제시) 등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거주시설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집과 같은 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적 실천적 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problems and needs for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residential facilities targeted at residential facilities practitioner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in two groups of 10 people. The results are analysed into 3 categories. The problem analysis categories of residential facilities environment (traditional facilities elements, lack of privacy spac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living environment, environmental impact and change difficulty dilemma), value of the environment change of residence facilities (homes similar environments, small changes cause a large joy, users foused), improvements in the living environment (reasonable system, budget estimates, standard guidelin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isability residential facilities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zes was to derive a practical plan for institutional environments, such as home composition. Considering with the results, this study made sugges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for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facilities in order to make the residence more homely and comfortable.

      • KCI등재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에 관한 서비스 제공자 인식 연구

        이복실 ( Bok Sil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자기결정과 관련하여 실천현장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특정 주제에 대해 집단 구성원 간 역동성을 통해 참여자의 다양한 관점을 파악할 수 있는 포커스집단면담을 실시하였으며, 3가지 유형의 장애인복지시설 실무자 총 15명이 참여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4개 범주와 11개의 개념으로 정리되었다. 4개의 범주는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 의미’, ‘자기결정 촉진요인’, ‘자기결정 제한요인’, ‘자기결정 기대효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현장에서의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시설유형별 실무자의 자기결정 이해수준 분석 둘째, 일상에서 다양한 선택과 결정 기회제공 셋째, 실무자 교육과 훈련 제공 넷째, 제공기관의 운영철학과 실태분석 다섯째, 의사소통 도구 및 방법 개발 등이다. This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field service provider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support self-determinatio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with the dynamics between the members of the group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sisted a total of 15 people participated in the three facilities. As a result, it was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and 11 concept. Four category were ‘self-determination meaning, self-determination promoting factor, self-determination limiting factor, the expected effect of self-deter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practical support measures to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rst, analysis on understanding level of field practitioners Second, the variety of choices and determine opportunities Third, providing with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th, contrast operating philosophy with practice Fifth, communication methods develop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