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지리학 기반의 융합인재교육(G-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녹색 도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두현 ( Du Hyun Lee ) 한국지리학회 2015 한국지리학회지 Vol.4 No.2

        본 연구는 2015년 STEAM교사연구회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13년부터 연구된 지리학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녹색 도시 프로젝트``라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 주제를 선정하였고, 사회과에서는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 과학교과에서는 생명과학, 공학.기술교과의 공업, 수학교과의 수학1, 예술의 미술, 국어교과의 화법과 작문을 대표 과목으로 선정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융합을 시도하였다. 지리학을 중심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현장 수업에 적용하여 동질 집단을 대상으로 효과성 검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현장 교사 전문가들은 본 프로그램의 활동준거가 융합인재교육의 체계를 충분히 반영하여 현장 적용에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This study as part of the project supported by 2015 STEAM Teachers‘ Research Group aims to develop the G-STEAM program which has undergone since 2013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selected a topic for project based learning called ’Green City Project‘ and attempted for the convergence of project based learning by selecting representing subjects of several curricula: Korean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economics from social studies, life science from scientific studies, industry from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studies, math 1 from mathematical studies, fine arts from artistic studies, and speech and writing from Korean language studies. This study developed G-STEAM program and applied it to the classroom to test its efficacy on the homogeneous group, and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meaningful outcom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Expert teachers in the classroom viewed the activity criterion of this project as one that sufficiently reflects the mechanism of STEAM and is very effective in applying to the fiel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학교 밖 창의체험자원을 활용한 현장체험학습의 효과성 분석: 마을 기반 프로젝트형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이두현 ( Du Hyun Lee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학교 밖 창의체험자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크레존(crezone) 창의체험자원 발굴-수도권 개발 인증자료인 ‘마을 기반의 프로젝트형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장체험학습 효과성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활용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리더십, 교류의 적극성, 협력적 태도, 다문화 이해, 지역문화 이해에 대한 청소년 교류활동의 효과성이 모든 영역에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호기심, 자신감, 도전정신, 성취동기, 자율성에 대한 모험 개척 활동의 효과성이 모든 영역에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문제해결능력, 창의성, 융합적사고, 자기 효능감, 진로계발에 대한 자기 계발 활동의 효과성이 모든 영역에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민주시민의 자질, 민주적 태도, 도덕성, 타인존중, 자기존중의 민주시민에 대한 태도 함양의 효과성이 모든 영역에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outside-school creative activity resources programs. Accordingly,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 program of ‘village-based project field trips,’ accredited materials for identifying crezone creative activity resources and developing metropolitan areas. For this, a ‘tool for measuring the effect of field trips’ was developed and utili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increases in all areas such as global leadership, initiative for exchange, cooperative attitud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and local culture, the effect on teenager exchange activ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with increases in all areas such as curiosity, confidence, challenge spirit, achievement motivation and autonomy, the effect on adventurous activ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with increases in all areas such as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ity, convergence thinking, self-efficiency and career development, the effect of self-development activ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with increases in all areas such as qualification of democratic citizens, democratic attitude, morality, respect for others, and self-respect, the effect of nurturing attitude as democratic citize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스토리텔링 체험활동 기법을 적용한 도시 공간 개발 전략 강남 스타일의 중심 청담,압구정 패션 특구와 신사동 가로수 길을 중심으로-

        이두현 ( Du Hyun Le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스토리텔링 체험활동 기법을 활용하여 ``강남 스타일``의 중심인 청담·압구정 패션 특구와 신사동 가로수 길의 도시 공간 개발 전략을 제언한 것이다. 서울의 패션 특구로 지정된 청담·압구정 패션특구 테마거리는 문화적 장소 자산이 풍부하고 잠재성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그 매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젊은이들의 패션 문화를 선도하고 있는 신사동 가로수 길은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담·압구정 패션 특구와 연계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 공간에서 진행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의 본질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강남 압구정·청담 패션 거리와 신사동 가로수 길에 스토리텔링 체험활동 기법을 적용해 보았다. 스토리텔링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지만, 도시 공간인 강남을 대상으로 패션이라는 특정 주제를 가지고 공간 스토리텔링을 구체적으로 제안한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의 시도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roposes a city development strategy for Garosu-gil at Sinsa-dong and Cheongdam? Apgujeong Special Fashion Zone, which is the metaphor for Gangnam style by making use of recently highlighted storytelling activity for experience. Although Cheongdam & Apgujeong Fashion Zone is now designated as Seoul Fashion Specialized Zones and it has a plenty of cultural assets and its potentiality, they do not appeal enough to the public. Besides, despite the fact that many people have visit Shinsa Garosu-gil konwn as a leading fashion culture street, unfortunately the street does not connect with Cheongdam & Apgujeong Fashion Zone. Accordingly, the research is designed to apply the storytelling method to Kangnam(Cheongdam & Apgujeong) fashon streets and Shinsa Garosu-gil, while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storytelling which is underway in the urban space. Although a story telling experiential activities method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the trial of this research is significantly meaningful. because the researches made a new attempt for urban space development, having certain theme of fashion, which have not exist before.

      • KCI등재

        성취평가제 도입에 따른 단원 융합(STEAM)형 평가도구 개발

        이두현 ( Du Hyun Le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성취평가제의 도입에 따른 한국지리 과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단원 융합형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취평가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고 2009 개정교육과정에 근거를 둔 고등학교 한국지리의 ‘국토 인식과 국토 통일’ 단원 ‘독도’ 수업 내용을 선정하여 국가 수준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단원 융합형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단원 융합형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수업과 전문가 컨설팅, 현장 교사의 피드백, 타당도 검증을 통해 개발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리 교육 뿐만 아니라 융합인재교육을 실행하고 성취평가제를 적용해야 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있어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esson convergence assessment tool that can be utilized in Korea Geography courses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on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high school Geography of Korea, Ministry of Land, awareness and unity`` unit was ‘Dokdo’ to select the class content analysis of state-level Achievement Standards. Develop a convergent se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Levels that can be used in schools through this section and take advantage of this convergence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Class research and expert consulting, on-site teacher feedback, we verified the validity of questions over the validity of th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research as well as teaching Geography run STEAM education teachers need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지리학 중심 융합인재교육(G-STEAM) 교수학습 현장 적용 -"독도 지속가능발전 공간 만들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두현 ( Du Hyun Lee ),박희두 ( Heui Doo Park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5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방법으로 ‘독도’라는 주제를 통해 그 속에 담겨진 융합적 원리와 과정이 무엇인지 탐구해보고자 하며, 여기서 G-STEAM 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내용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융합적 소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G-STEAM 융합 모형’의 탈학문적 융합의 형태인 체험활동 모형을 융합의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독도 지속가능발전 공간 만들기 프로젝트’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주제로 선정하였고, 사회교과의 한국지리, 법과 정치, 독립과 목인 한국사, 과학교과의 물리, 공학·기술교과의 공업, 수학교과의 수학1, 예술의 미술, 국어교과의 화법과 작문을 대표 과목으로 선정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융합을 시도하였다. 융합인재교육(STEAM)을 실질적으로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지도안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현장 수업에 적용하였다. 개발한 교수학습 내용을 두 동질 집단을 대상으로 STEAM 효과성 분석 도구 검사지를 통해 검사한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STEAM 전문가들은 본 프로그램이 융합인재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매우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the reporter fusion principles and processes contained therein through the theme of ‘islets’ project-based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steam, wher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for G-STEAM education and to teach them when applied to find out how it affects the student’s knowledge fusion enemy has its purpose. For this purpose G-STEAM fusion model, the model was applied to the form of the de-Academic Activities fusion by way of amalgamation. Was chosen as the them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lets making space projec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South Korea Geography of Social Studies, Law and Politics, an independent course of Korean history, physical science curriculum, engineering, industrial technology subjects, mathematics curriculum of Mathematics 1, art painting, by selecting the Narration and Composition of the language curriculum subjects attempted to represent the convergence of project-based learning. STEAM Education was actually designed the classes as a way to apply the lessons to create a teaching plan, and applied to a field class. Developed by Professor result of two homogeneous group learning content through STEAM inspection effectiveness analysis tool strip targeted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addition, STEAM experts assessed to be very useful as the progress of the program STEAM education.

      • KCI등재후보

        지리학 중심의 융합인재교육(G-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우리 마을에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이두현 ( Du Hyun Lee ) 한국지리학회 2015 한국지리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지리학 중심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에 연구된 ‘G-STEAM 융합 모형’의 개념/탐구과정 중심의 융합 방법을 적용하였다. ‘우리 마을에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하기’ 라는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주제를 선정하였고, 사회교과의 지리, 과학교과의 물리, 예술교과의 미술을 대표 과목으로 선정하여 융합을 시도하였다. 융합인재교육(STEAM)을 실질적으로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지도안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현장 수업에 적용하였다. 개발한 교수학습 내용을 상위, 중위, 하위 집단을 대표하는 총 3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매 차시 수업 후 면담을 진행하고 학습자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This study is one proven its effectiveness by developing STEAM education program and apply it to the center of geography education. To this end, the existing research on ‘G-STEAM Model’ of concepts / explored how the process was applied to the fusion center. “Renewable energy power plants in our tow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lled ESD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geography, physical science subjects, representative of the art of arts curriculum subjects were selected to attempt fusion. The STEAM education classes designed substantially as a way to apply the lessons and the teaching plan was created and applied it to the field class. Information developed by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two homogenous target groups through STEAM Effectiveness Questionnaire analysis tool examines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showed positive results.

      • KCI등재

        학교 밖 창의체험자원 발굴 및 적용 -마을 기반의 프로젝트형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이두현 ( Du Hyun Le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5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지역, 즉 ‘마을’을 체험 활동의 무대로 삼아 프로젝트 형식의 창의 체험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적용해 그 가능성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학교 밖 지역, 즉 ‘마을’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형식의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체험학습을 진행하였다. 셋째, 현장체험학습을 진행하면서 연구자의 관찰 일기를 통해교육적 효과를 파악하고,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시사점과 보완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로 발굴된 체험활동자원은 수도권 5개 권역의 5개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램의 안내지, 차시별 수업준비사항 및 유의점, 교수학습지도안, 체험시설(구현방법 등), 평가방법, 교육효과, 관련자료, 학생활동지 등으로 구성하였다. 실제체험활동을 진행하면서 본 연구자의 관찰 일지를 통해 본 프로그램은 교육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프로그램은 학교 밖 지역, 즉 마을을 대상으로 한 창의체험자원으로서 현장 교육에 적용한 연구 사례로서 활용 가치가 크다. 다양한 교과를 함께 적용하고, 융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체험활동, 교과, 진로가 함께 연계할 수있어 ‘온 마을 학교’라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적에 부합한 프로그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resources for creative experiences outside school areas and applythem to real education situ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are developed, to focuson the village-based projects.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is conducted for students as a field trip activity.Third, while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progress, through the diary of observations and expert consulting, thisstudy found points of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derived implications and complemented them. Creative Experience Resources discovered in this study are in the five programs of five metropolitan region. Each program consists of lesson preparations, considerations, Teaching and Learning Plan, facilities (implementation, etc.), evaluation methods, training effect, related materials, student’s Worksheets. The program through the journal of the researchers observed the actual progress while activity is likely to experience a very high educational effect. Therefore, this program is very useful for applying in real education, as a case study of a Creative Experience Resources to target. The program is able to be fused with local, field trip activities, and job related curriculum,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s of the course associated with Creative Experience. called ‘whole village school’.

      • KCI등재

        특별기고 : 마마배송굿

        이두현 ( Du Hyun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08 韓國文化人類學 Vol.41 No.2

        이 논문은 역사적으로, 민족학적으로 천연두의 피해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하였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천연두는 민족과 시대를 막론하고 무서운 병으로 인식되어서 각 시대, 문화마다 독특한 방제법을 고안해 냈다. 조선 시대에는 이 무서운 두창을 막기 위해서 관민(官民)이 여러 가지로 대책에 진력하였다. 관련 의약서도 다수 편찬되었다. 그리고 일단 병이 나면, 관에서는 격리법을 시행하여 전염이 되는 것을 막았고, 백성들은 두신제(痘神祭)를 행했다. 환자를 위한 손님굿 절차는 지방과 무격에 따라 각각 특색이 있어서 일정치가 않지만 12거리 중 호구거리와 별상거리에서 행해진다. 천연두 신에 대한 두려움은 갖가지 금기(禁忌)로 나타나기도 했다. 침술이나 복약 등 의술적 치료도 일절 금하며 `별상마마님`이라는 식의 최고 존칭으로 불렀다. 예방, 치료도 중요했지만, 천연두는 치료 후의 의례도 특이했다. 병을 앓고 난 뒤 13일째 되는 날 배송(拜送)굿을 해서 두신을 전송하기도 했다. 역신(疫神)에 대한 환대배송(歡待拜送)은 일본에서도 행해졌다. 일본도 천연두는 악신(惡神)의 소행으로 보고 악신을 내보내는 의례(儀禮)가 최근까지도 농촌지대에서는 빈번히 행해졌다. 이 무서운 천연두 신도 정중하게 대접하면 도리어 비호(庇護)를 주는 것으로 믿어져 왔다. 역신이 복신(福神)이 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천연두 신이 보여주는 특징적인 성격이다. 인도의 경우는 천연두를 지배하며 질병을 치유하는 신으로 시탈라(Sitala) 여신을 언급하고 있다. 시바 신을 섬기던 왕이 69명의 아이들과 모든 신하들이 천연두에 희생되자 시바 신이 도리어 시탈라 여신을 숭배할 것을 왕에게 권하여 마침내 구제되었다는 신화도 전한다. 세계적으로 두려움의 대상이었던 천연두가 마침내 지구상에서 근절되었음을 세계보건기구(WHO)가 1979년 선언하였다.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announced that smallpox was finally exterminated from the earth in 1979. It had taken 181 years since Edward Jenner first invented the method of inoculation with cowpox vaccine. For a long time, smallpox was one of the most dreadful epidemics. It broke out first in India, and subsequently infiltrated China in AD 2~3. Afterward, it diffused into Korea in the mid-6th century, and then it diffused from southern Korea into Japan. Smallpox must have been prevalent in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in Korea and the during the subsequent Korea Dynasty. The disease was even more prevalent during the Chosun Dynasty. Common people in Korea thought that evil spirits in Southern China brought and disseminated smallpox. Because they considered smallpox as Goddess Hogu and God Pyulsang, rituals were carried out by shamans, known as the Twelve Rituals. People also gave an honorific name to smallpox, mama, which meant esteemed visitor or guest. During the rule of the Chosun Dynasty, the government and people made a variety of efforts to prevent smallpox, but with no effect results. Those efforts included publishing a medical book and curative rituals. Also, because the government of the Chosun Dynasty officially approved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rituals, as insignificant number of shamans were registered as medical practitioners by the government`s medical department and were encouraged to prevent smallpox. Eventually,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1876), Suk-Yung Chi introduced the vaccination method using a cow pox vaccine from Japan and was able to exterminate smallpox in Korea. Until then, common people in Korea used to perform the ritual of "Mama Baesong Kuts" to kindly entreat and send away the smallpox "gods." Smallpox gods were thought to become gods of wealth if well treated. In the case of Japan, while people attempted to use magic means instead of shamanic ritual in preventing smallpox, they also believed that the smallpox god would become a god of wealth if it was well treated. In West Bengal, India, the goddess of smallpox was named "Sitala." In the myth related to Sitala, she believed that she was revered by the divinities but complained, "No mortal ever worships me." For this reason, Sitala visited the king of Candraketu with sixty-four smallpox gods in order to ask him to worship Sitala. But as the king refused their suggestion, so the king`s subjects and princes were died of smallpox. Finally, when the lord Siva eventually asked the king to worship Sitala and the king accepted the request, his subjects and princes were revived. In a different Sitala myth, the goddess and sixty-four smallpox gods visited Munipur and contaminated the children of Rama worshipers with smallpox. As the children died of smallpox, their parents grieved despairingly. However, as "Dhanvantari," the god of medicine, helped them to worship Sitala, those children were revived and Munipur restored to its peace. These two myths of the goddess of smallpox commonly emphasize the worship of smallpox. Vishnu and Siva are also believed to worship Sitala. In India, indigenous medical treatment of pox is in charge of Malakar people, who are the caste related to garland making. Keeping images of one or more of these goddesses, Malakar people conduct smallpox vaccination and medically help infected people. They also regularly hold Malibag festival in the first of Chait. Yet, Malakar people are different from Shamans. In Mama Baesong Kuts of Korea, Shaman along with people kindly treat God and Goddess of smallpox. When they conduct a performance to send warmly Mama Gods and Goddesses on horse off their village, there is a moment of comic dialogue between road-horse man and Shaman. Similarly to conventional Korean Shamanism which include dramatic content in the process of several rituals, Mama Baesong Kuts shows the dramatization of Shamanistic rituals. The dramatization of Korean Shamanism is on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In this context, Mama Baesong Kuts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discussions on the origin of Shamanism and theatrical performa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