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작(趙善作) 소설(小說)에 나타난 혐오(嫌惡)와 정동(情動)의 문제: -1970년대 작품(作品)을 중심(中心)으로-

        이다온(李多穩) ( Lee Da-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2

        이 글은 조선작의 1970년대 초기 소설에 나타난 혐오와 ‘정동’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시기 조선작의 소설 속 인물들은 모두 혐오의 주체 또는 대상으로 설정된 ‘용접공, 때밀이, 창녀, 개백정’ 등과 같은 1970년대 한국 사회의 최하층에 속한 하층민의 군상이다. 특히 이 인물들의 형상은 여러 가지 ‘질병’을 몸에 지니고 있는 모습으로 비춰진다. 그런데 이 인물들은 당시 1970년대 한국의 개발주의 사회가 추구했던 가치 있는 삶으로부터 배제된 이들이다. 이처럼 조선작의 소설들은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여 혐오를 추동하는 폭력적인 정동에 대한 문제적 지점들을 장면화 하고 있다. 여기서 본고가 살피려는 조선작의 작품들은 혐오의 대상에 대한 주체의 공감과 연민의 감정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혐오의 정동에 ‘저항하는 정동’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정동은 사회의 집단적인 규범이나 규칙에 속하지만 그와 동시에 이탈되는 가능성을 지니기도 한다는 점에서 잠재성을 지니는 대항 정동의 가능성을 품고 있다. 따라서 1970년대 조선작 소설에 나타난 혐오와 정동의 문제를 살펴보는 것은 그의 작품이 지닌 문제성을 한층 더 진지하게 숙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roblems of aversion and ‘affect’ in Jo Seon-jak 1970s novels. The characters of Jo Seon-jak novels, which are rated as the 1970s most authors’, are often portrayed as being hated or hated by someone. So it can be said that all of these characters are in a relationship based on hatred. These are all set as a subject or object of hatred, and are a group of lower class people belonging to the lowest level of Korean society in the 1970s. In particular, the figures of these characters appear to have various ‘diseases’ on the body. Here, the appearance of the disease they suffer is problematic in that it acts as the object or cause of social disgust that causes fear as it is linked to morality and corruption. However, these characters were excluded from the valuable lives that Korea’s developmentist society pursued in the 1970s. In this way, the novels of Joseon’s works reflect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and scene the problematic points of violent affection that drives aversion.

      • KCI등재
      • KCI등재

        학병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정체성 연구 : 196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이다온 ( Lee Da-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5 No.-

        이 논문은 1960년대 학병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정체성(diaspora identity)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병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정체성이 중요한 이유는 소설에 내재된 '비(非)민족주의적 반(反)식민주의'의 상상력을 밝혀낼 수 있는 근거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본고가 다루는 작가 한운사(『아로운』), 김광식(『식민지』), 이병주(『관부연락선』)의 소설은 일제 말기 학병 세대 작가의 자전적 서사라는 점에서 식민지 조선의 특수한 역사적 맥락을 반영한다. 본 논문의 2장은 1961년 창작된 한운사의 『아로운』 3부작을 논의하였다. 이 작품은 선악의 이분법적 구도로 환원될 수 없는 조선인과 일본인의 다양한 인물 형상을 보여준다. 조선인 아로운과 일본인 히데꼬의 애정 관계는 '조선 재건'의 국가적 과제가 개인적 사랑마저 저버릴 만큼 위대한 것인지에 관한 의문점을 나타낸다. 3장은 1963년 발표된 김광식의 소설 『식민지』를 탐구한다. 이 작품은 학병을 기피하여 만주로 떠난 작가의 자전적 경험이 반영된 소설이다. 이 소설은 과거 식민지 역사의 기억을 단순히 조선인의 시각으로 구성하지 않는다. 디아스포라 주체는 타민족과의 만남 또는 연대를 통해 진정한 식민지 상처에 대한 회복을 모색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4장은 이병주의 『관부연락선』에 대한 분석이다. 소설은 당시 제국의 식민주의 담론이 표방했던 동일화 정책의 허구성을 비판한다. 주인공은 내면화된 자신의 '이방인'의 식을 통해 해방 이후 좌우 이념의 대립과 같은 갈등으로부터 거리를 두기 위한 외부자적 위치를 설정한다. 『관부연락선』은 역사적 타자에 대한 기억의 복원을 시도하는 일종의 애도서사라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1960년대 학병소설은 당시 한국의 국가 재건 이데올로기가 전제했던 강박적 반일 민족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일제 말기 식민지 조선인을 경험했던 학병 세대의 이중적 정체성이 반영된 결과였다. 학병 세대의 분열적 정체성은 피식민지인이 제국주의 담론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유할 수 있는 주체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1960년대 학병 세대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정체성은 비민족주의적 반식민주의의 상상력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was studied about "the diaspora identity" of the student soldiers novel in 1960s. The diaspora ident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student soldiers novel. Because it serves as a basis for revealing the imagination of "Non-nationalistic Decolonization" inherent in the novel. Han Woon-sa, Kim Kwang-sik, and Lee Byeong-ju's novels reflect the special historical context of the colonial Joseon. In chapter 2, This study discusses Ah Ro-woon written in 1961. Ah Ro-woon express various figuers of Koreans and Japanese who can not be converged to a dichotomy of good and evil. The affection between Korean "Ah Ro-woon" and Japanese "Hideko" shows the question whether the national task of "reconstruction of Joseon" is so great that even individual love can be overthrown. In chapter 3, I will search Kim Kwang-sik's The Colony written in 1963. The Colony was reflected the autobiographical experience of a writer Kim Kwang-sik who escaped from emergency mobilization of student soldier. Manchuria, which is shaped in novels, is a place to find colonialism through solidarity with other ethnic-people. The Colony does not simply constitute the memory of the past colonial history with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people. In chapter 4, I will prove Lee Byeong-ju's Kwanbu Ferry. Kwanbu Ferry is a narrative against the forgetting of the public memory built after the "Korea-Japan Agreement", which is called the "1965 System". The main character establishes an external position to resign from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after liberation through his internalized "Etrange" or "Stranger" consciousness. In conclusion, the student soldiers novel of the 1960s showe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obsessive anti-Japanese nationalism that the Korean nation's reconstruction ideology at that time had assumed. Ah Ro-woon, The Colony, and Kwanbu Ferry are showing organic reasons for the historical situation of Korea in the 1960s. These novels that appeared in the 1960s create a point of postcolonial reflection in that the colonial history shows that the past is never over. This possibility could be manifested by the diaspora identity that the generations could hav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how the identity of diaspora in 1960s the Korean student soldiers novels represents the imagination of Non-nationalistic Decolonization.

      • 여성안심 귀갓길 비명 인식 인공지능 시스템

        오윤선 ( Yoon-sun Oh ),이다온 ( Da-on Lee ),이솔 ( Sol Lee ),김형훈 ( Hyeong-hoon Kim ),최재준 ( Jae-jun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최근의 범죄 동향을 살펴보면 묻지마 범죄와 여성 혐오 범죄가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이다. 낮과 밤을 구분하지 않고 일어나는 사건·사고들에 특히나 범죄에 노출되기 쉬운 여성들은 일상 생활에서조차 안전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생겨난 여성안심 귀갓길이라고 지정된 보호구역은 보호라는 말이 무색하게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범 시스템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시각적 방범과는 달리 탐지 범위가 넓고 상대적으로 제한이 적은 음향으로 접근한 새로운 방범 시스템 개발을 통해 여성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