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1990년 이후 한국 개신교회의 예배유형에 따른 예배공간특성

        김기현(Kim, Ki-Hyun),이규백(Lee, Gyoo Bae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Korea Protestant slower growth and social church"s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traditional worship center for the sermon to a variety of changes was required, because of this period reflects the availability of a new type of worship was to appear. These changes in the type of worship in the form of the worship space, and space configuration is affecting many more. This study was the type of church korea today, the type is classified as a traditional worship and contemporary worship, and to characterize the category by a change in the type of church worship space in the configuration that affects cases throughout the analysis was to investigate, study follows. Traditional worship the center of the altar, the altar placed platform form, a vertical elevation of the platform sheet form, the installation of the cross, place the side of the choir seats, church chair type attribute appears tradition and in part compressed pulpit appears symbolism. Contemporary worship to the exclusion of the symbolic elements of the platform open, flat sheet form and the platform was the preferred form of minor elevations of the flat, multi-purpose space used for worship to sermon platform placed around the altar of the adjustable type, the choir seats placed in scheelite, preferred form of scheelite was an individual chair.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worship space features a mix of worship space, quite a lot of cases that have been found. Integrated and consistent element of the worship space, the worship of the discrepancy in the form of systematic theological depth analysis did not come true without just about contemporary culture is changing rapidly to accommodate sprawl is judged.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worship and pray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church building is a prerequisite to be a very important aspect.

      • KCI등재

        김개천의 종교 공간에 나타난 기호학적 특성 연구-그레마스 기호사변형을 중심으로-

        임영내 ( Yeong Nae Im ),이규백 ( Gyoo Bae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공간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은 기호들이 만들어내는 정보들의 의미작용 체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인지 현상을 유추하고함축된 의미론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표현된 디자이너 김개천의 사찰과 교회 공간 각 1 개씩을대상으로 기호학적 관점의 의미론적 해석에 접근하고자 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 관점에서 기호의 의미생성행로에 따라 분석하였다. 첫째, 사찰공간은 전통적인 가람배치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비어있는 자연과 공간을 합일하였다. 스스로 사색하여 진리를 얻는 공간으로 시간에 따라 자연과 함께 변화하게 된다. 교회공간은 높은 첨탑과 화려한 스테인드글라스를 내려놓고, 간결한 형태의 건축물 형태와 열린 창을 통해 들어오는 십자가를 형상화하는 빛으로 ‘전통성’의의미를 생성한다. 둘째, 주로 자연과 함께 조화를 이루며 지어졌던 사찰공간은 건물의 열림으로 자연과 일체화하는 ‘개방적’ 조형성을 만들었다. 교회건축은 주로 도심 속에 위치해 지어져 왔다. 성스럽고 경건한 위치적 영역성을 주기 위해 담장의 ‘폐쇄적’ 의미생성이 발현되었다. 셋째, 사찰공간에서는 외부와 내부의 일체화를 통해 ‘자연성’의 의미를 생성하였다. 교회공간은 간결한 형태의 창에서 들어오는 ‘자연성’의 의미를 발현하는 빛으로 신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공간의 신성화를 표현한다. 동일한 디자이너의 선택에 의해 공간에 발현된 기호는 잠재적 기의와 의미생성행로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가치가 발현되었다. The semiotic approach to space design makes it possible to infer information surrounding user recognition phenomena and interpret semantics by analyzing the symbolic system the design creates. This study is a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semiologic perspective taken by church and temple designer Kim-Kaichun, who expresses modernity by reinterpretation of existing architecture. It is analyzed from 3 different view points regarding generative trajectories of signification in the field of semiotics. First, Temple spcace is incorporated with natural elements into the temple space by re-imagining the layout of traditional temples in a modern way. This combination will cause the temple to evolve as time goes by. The church space creates a message of ‘traditionality’ with its concise form of architecture and the cross-shaped sun shine coming in through the open window instead of relying on high spires and posh stained glasses. Second, the temple space built to be in harmony with nature mainly produces an open layout integrated with nature by opening or removing wall of building. by adopting an open layout, the temple space is built in harmony with nature. Churches have usually been constructed in urban areas. For the purposes of holy and pious positional territoriality, church fences emanate a strong symbolic message of “closed.” Third, it creates the meaning ‘naturalness’ in the temple space by making connections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 The natural light coming through the window`s simple shape expresses the sanctity of the church space. The light metaphorically represents God entering the space from on high. The space expressed own meaning by designer emanate new value of users by analyzing potential meaning and generative trajectory of signification of buildings.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

        현대공간에 나타나는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특성: 어포던스를 중심으로

        류다혜 ( Da Hye Ryoo ),이규백 ( Gyoo Bae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현대공간에서 공간과 사용자와의 소통적 특성을 기초로 하여 공간과 인간의 상호작용의 유형과 그 특성을 밝히고 그것이 사용자들에게 어떠한 행위를 유발시키는지 분석하여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구성요소와 유형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공간에서의 인터랙티브 공간디자인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인터랙티브 공간을 형성하기위한 구성요소와 특성을 밝히고 분석의 틀을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의 사례에서 나타나는 인터랙티브 공간디자인의 유형과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건축 이후 단절된 공간과 사용자간 상호소통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공간과 사용자간의 상호소통을 지원하는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둘째, 공간에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물리적 구성요소로는 빛과 소리, 동작, 시간의 요소가 사용되고 이들 중 동작유발을 위한 디자인요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감각적 자극요소들을 표현하는 형태적 구성요소로서 스크린형, 표피형, 오브제형으로 분류 할 수 있고 스크린형과 오브제형이 고르게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공간환경에 영향을 받은 사용자의 행위유형은 감각적 행위, 대응적 행위, 피드백적 행위, 제약적 행위로 분류할 수 있고, 대응적 행위를 유도하는 디자인의 적용이 피드백적 행위와 제약적 행위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기술적 적용의 용이성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is to verify characteristics of a human-space interaction based upon a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in a modern space. This research demonstrates components of an interactive design in a modern interior space by analyzing what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it makes users to react in certain way. For the research, concepts of interactive space design are defined, th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space are said, and the analysis framework are formed. Based on this, the actual design of interactive spaces that appear in the case of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would sugg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described below. First, After a modern architecture era, there are many approaches made to resolve correlation disorders found between space and user. Second, Physical components that are mostly used to interact with users within a space are light, sound, movement, and time. A movement is mostly found component among them. Third, Sensory stimulation components that express its objectiveness are screen-type, epidermic-type, and objet-type. Among these three components, screen-type and objet-type are evenly used in the design process. Fourth, Behavior patterns of users influenced by the space environment are categorized as following: confrontational behavior, feedback behavior, and restricted behavior. A confrontational behavior which derive user`s instant reactions and results on an interactive design is more applied in the reality than other two behaviors. It is estimated upon its conveniency in technological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