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이육사 저항시에 나타난 리미널리티 연구

        이강하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8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이육사의 저항시에 나타난 리미널리티(liminality, 전이 행위)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육사가 시작 활동을 벌인 1930ㆍ40년대는 모든 출판물이 사상 검속과 표현 검열을 당하던 시기이다. 저항시의 요체인 민족주주를 함의한 표현이 매체에 실리는 것이 불가능한 시기이다. 이육사 시는 매체를 통한 문자적 저항을 위해 쓰였다기보다는 자기의 저항 행위를 준비시키기 위한 리미널리티를 위해서 쓰였다. 전사들이 전쟁을 하기 전에 특별한 의식을 통해 적개심을 키우는 것처럼, 이육사는 가상적 저항을 통해서 자기의 저항 행위를 고무하고 고취하고 역사적 당위성을 자기 행위에 부여한다. 저항시로 평가받는 이육사의 시는 비슷한 패턴을 보인다. 그 패턴은 대략적으로 일반적인 리미널리티 수행 절차에 대응한다. 리미널리티는 대게가 과거와의 단절, 현재에서의 고통, 미래에서의 재통합의 서사로 진행된다. 작품의 서두에서는 리미널리티가 수행되는 특별한 장소가 지정된다. 이 장소는 환유적으로 제시된다. 현실적 맥락을 포함하는 환유는 단절과 지속, 가상과 실제의 동시 병존을 가능하게 한다. 이 환유적 장소에서 주체는 자발적인 고난에 처하고 신체적 고통을 감수한다. 이 신체적 고통은 이 가상의 제의에 실제성을 부여한다. 왜냐하면 신체 그 자체의 역사성은 어느 장소, 어느 시간에서나 고유하기 때문이다. 마지막 서사에서는 이 신체적 고통의 대가로서 황홀경의 미래가 제시된다. 이 황홀경은 실제의 역사보다 더 과잉된 은유의 이미지로 제시된다. 이 과잉 이미지는 현실에서 예상되는 미래의 암울한 세계의 이미지를 상쇄하고 주체의 행위를 고취한다. 장소는 환유로, 신체는 실제로, 미래는 은유로 제시되는 일련의 서사 과정은 리미널리티의 수행 과정과 정합적이다. 일제강점기뿐만 아니라, 1970년대 산업화 시기와 1980년대의 민주화 시기에 작성된 저항시(민중시) 역시 행위와 행위를 위한 준비의 단계로서의 리미널리티가 구분되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이 기존의 저항시의 개념은 더 세부적으로 구획할 수 있는 방법론적 도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 韓國 어린이들의 正義槪念 形成過程에 관한 硏究 : 삐아제의 硏究資料와의 比較 -A Comparison with the Piaget Data-

        李康夏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3 敎育論叢 Vol.3 N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of Korea, which started in the 1960's, made us reconsider th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We must particularly reexamine the aims and methods of moral education. Jean Piaget, a well known psychologist and his student Lawrence Kohlberg suggested a very useful model of mo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m, children's moral development can be divided into three steps: moral realism, autonomous morality and egalitarianism. Piaget's study showed that children's concepts of justice is ver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morality. Piaget collected data from young students of the age of 7 through 14 in Switzerland, and tested his hypotheses with empirical data. He confirmed his theory of moral development with the emphase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ncepts of justice in his studies. Doreles Durkin, an American psychologist at the University of Illinois, also tested the Piaget's hypotheses with the same questionnaire as Piaget used. Durkin also confirmed Piaget's hypotheses in his study with the American data. The present study is interested in the applicability of the Piaget's and Durkin's study to Korean children. Using the research model developed by Piaget and used by Durk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Korean children's concepts of justice,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Piaget's data. It is hypothesized in this study that children's concepts of justice are developed from moral realism to reciprocal, autonomous stage. It is also hypothesized that age and intelligence are highly correlated to the children's concepts development, but sex and socio-economic status of children's parents are not correlated.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is very interesting. As we hypothesized, age is highly correlated to children's concepts development, and SES is not correlated to them, Sex, however, showed pretty high correlation with concept development, and intelligence did not show any correlations, which are contrary to our expections. These results give us significant suggestions for our future study and our moral education. We have been using mainly verbal moralism approach in our moral education. We, however, must consider a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which mainly emphasize the development of moral thought and moral judgment.

      • KCI등재

        김명인 시집 동두천 에서의 기억의 현재화와 부정적 상징물의 기능

        이강하 동남어문학회 2023 동남어문논집 Vol.1 No.56

        이 논문은 김명인의 첫 시집 동두천 에 나타난 “우리”의 전이의 현상을 리미널리티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저자인 김명인 개인의 상처와 당대의 시대적 문제점이 어떻게 치유되고 극복되는지를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두천 에 관한 연구는 김명인의 개인사에 초점을 둔 정신분석학적인 방법과 1970년대의 사회적 문제의 진단에 집중한 역사주의적인 방법론으로 이원화되어서 진행되어 왔다. 시적 주체가 속한 “우리”는 고아원과 고향 친구들, 그리고 교사 집단이다. 이 중에서 첫 번째 “우리”의 폭력적인 환경은 교사 집단의 “우리”의 억압된 기억을 자극한다. 현재의 유사한 환경의 충격이 과거의 차이를 발견하게 하는 것이다. 리미널리티에서 발생하는 전이의 목적은 그 기억을 마주하고, 마주한 그 기억 속에서 불화의 관계에 있는 타자들과 화해하는 것이다. 시적 주체는 제의에서의 부정적 상징물을 발언하는 연극적 행위를 통해서 억압된 과거의 죄책감을 고백한다. 그 전이의 결과로 기존에 주체가 속한 교사 집단의 “우리”는 혼혈 학생들을 포함한 새롭게 형성된 “우리”로 재통합된다. 이 때 재통합된 “우리”의 사회적인 위치는 그 자신이 속한 폭력적인 “우리”보다 더 바닥인 원초적인 삶의 단계이다. 이 집단은 가상이기 때문에 그러한 가상을 가능하게 하는 리미널리티의 구상력만이 실체라고 할 수 있다. 그 구상력은 현재의 사회적 위치로부터 가장 아래로 향하는 사회적 신분의 차이에 대한 동일화의 운동이다. 이 동일화의 운동은 민중과의 신분적 동일성을 지향하던 1970년대의 사회적 현상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transition of “us” in Kim Myung-In’s first poetry collection, Dongducheon, from the perspective of liminality. It seeks to elucidate how the author, Kim Myung-In, personally confronts and overcomes his wounds and the contemporary issues of his time. Research on Dongducheon has been bifurcated into a psychoanalytic approach focused on his personal history and a historicist methodology centered around diagnosing societal issues in the 1970s. The “us” to which the poetic subject belongs encompasses orphanages, hometown friends, and a group of teachers. Among these, first, the violent environment of “us” stimulates the suppressed memories of the teacher group’s “us.” The purpose of transitions occurring in liminality is to confront those memories and reconcile with the others involved in a conflicted relationship within those memories. The poetic subject confesses the suppressed guilt from the past through the theatrical act of articulating negative symbols in the rituals. As a result of this transition, the pre-existing “us” of the teacher group is reintegrated into a newly formed “us,” which includes mixed-blood students. The societal position of this reintegrated “us” is a more fundamental stage of life than the violent “us” to which they originally belong. Since this group is virtual, the only reality is the imagination of liminality that enables such virtuality. This imagination is a movement of identification towards the lowest level of social status from their present social position. This identification movement is a social phenomenon of the 1970s that aimed for a class identity with the masses.

      • KCI등재

        매체적 관점에서의 한국근대시 시제(詩題) 연구

        이강하 한국언어문학회 2015 한국언어문학 Vol.92 No.-

        Until now, there has been no diachronic review on the titles of poems,part of the para-text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of criticism. Some of the actual criticisms on the titles of poems call only distinctiveness of the relevant works into question, omitting the advanced development of the title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role of the titles of the contemporary poetry that crystalize and reveal the meanings of the texts directly and aims to look into the phases of changes in the titles in the history of the contemporary poetry,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media and the titles, and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modern poetry through the titles. Regarding the titles, this paper discusses three dimensions: First, it discusses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titles from poetry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through Choi Nam-sun's prose poems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Second, it discusses changes in the titles corresponding to changes and development of the medium. Third, it discusses the conditions and origins of modern poetry related to the types of the titles. The advanced development of general the titles is in the order of untitled poems through passive metonymic titles to active metonymic titles. However, as the distinctiveness of the establishment of Korean modernity, historical development, from poetry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to Choi Nam-sun's prose poems does not follow this sequential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the titles from untitled poems directly to the active metonymic titles shows one aspect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established in the space of the hybrid. This historic development of the titles describes the subject on the three dimensions presented above.This paper interpre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tles in each period and describes the discussion of the titles of poems. It is because there is no existing authenticated discussion which can be so called ‘discussion of the titles of poems.’ Thu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divided broadly into two: First, it establishes values of the titles of poems used in the actual criticism. Second, it establishes a general discussion of the titles of poems. This perspective on the titles will be clearer when the titles after modern free verses are discussed together.

      • KCI등재

        김지하의 시 「타는 목마름으로」에 나타난 “쓴다”의 의미 - 시 장르의 문자적 상상력의 관점에서

        이강하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8

        Kim Ji-ha’s poem, “With a Burning Thirst” is a monumental work symbolizing the desire and practice of democratization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dictatorship. “With a Burning Thirst” is a work with a sufficient value of research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or formalist perspective. Nevertheless, there are few studies of this work in academic circles as well as literary crit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poetic language, “writing” that would identify the social, textual and biographical contexts of “With a Burning Thirst” multi-dimensionally. In “With a Burning Thirst,” “writing” is the poetic language that crystallizes the meaning. This study aims to reveal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l imagination in the genre of poetry. Such a work is conducted in three categories. First, his medium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nvironment in which “With a Burning Thirst” was composed and the process in which it was distributed to the mediating effect of “writing.” This perspective approaches the social context of this work. Second, his stylistic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tense and the function of the performative utterance of “writing” and reveals the verbal affinity between the writing style and jurisprudence of “With a Burning Thirst.” This perspective approaches the textual context of this work. Third, his creative perspective. This study makes inquiries into Kim Ji-ha’s artistic perspective about letters and the function of the letters in a social revolution that he practices and predicts and reveals what consistent relationship there is between the life of Kim Ji-ha, a man of letters and “With a Burning Thirst.” This perspective approaches the biographical context of this work. Kim Ji-ha’s literal imagination in “writing” appearing in “With a Burning Thirst” forms a meaning in various contexts of “writing.” “Writing” shows the field of writing, revealing the author strongly and resists against an irrational legal definition by rewriting. This meaning is not locked up in the text, but becomes a practice immediately. 김지하의 시 「타는 목마름으로」는 군사 독재 시기에 민주화의 열망과 실천을 상징하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역사주의적 관점에서나 형식주의적 관점에서나 「타는 목마름으로」는 연구의 가치가 충분한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학계에서든 평단에서든 이 작품에 대한 연구는 희소하다다. 이 논문은 「타는 목마름으로」의 사회적, 텍스특적, 전기적 맥락의 의미를 입체적으로 규명해 줄 “쓴다”라는 시어에 주목한다. 「타는 목마름으로」에서 그 의미를 결정화시키는 시어는 “쓴다”이다. 본 논문은 “쓴다”의 시 장르의 문자적 상상력의 관점에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한 작업은 3개의 범주로 나누어서 진행된다. 첫째, 매체적 관점이다. 「타는 목마름으로」가 작시된 환경과 그것이 유포되는 과정을 검토해서 “쓴다”의 매체적 효과를 알아낸다. 이 관점은 이 작품의 사회적 맥락에 접근한다. 둘째, 문체적 관점이다. “쓴다”의 시제와 발화수행 기능을 검토해서 「타는 목마름으로」의 문체와 법리학과의 언어적 친연성을 밝힌다. 이 관점은 이 작품의 텍스트적 맥락에 접근한다. 셋째, 김지하의 창작적 관점이다. 김지하의 문자에 대한 예술가적 관점과 김지하가 실천하고 예견하는 문자의 사회 변혁에서의 기능을 조회하여 문필가로서의 김지하의 삶과 「타는 목마름으로」가 어떤 정합적 관계를 갖는지를 밝혀낸다. 이 관점은 이 작품의 전기론적 맥락에 접근한다. 「타는 목마름으로」의 “쓴다”에 나타난 김지하의 문자적 상상력은 “쓴다”의 여러 맥락에서의 의미를 형성한다. “쓴다”는 저자를 강하게 현시하여 글쓰기의 현장을 보여주고 비합리적 법적 정의에 다시 쓰기로서 저항한다. 이러한 의미는 텍스트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하나의 실천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