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Korea-Japan Relations during the Second Republic of Korea: A Counterfactual Analysis of the Aborted Korea-Japan Normalization

        윤태룡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9 평화학연구 Vol.10 No.2

        This paper purports to provide a counterfactual analysis of a non-event during the Second Republic of Korea, that is, the aborted Korea-Japan Normalization. The author argues that without General Park Chung Hee’s military coup on May 16, 1961, the rapprochement between the two former enemies would have been possible during the Second Republic of Korea. The ongoing process of negotiations for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ould have been accelerated and have reached the ultimate goal but for the military’s unconstitutional toppling down of the first democratic regime in South Korea. Many experts argue that President Park’s strong leadership or the U.S. pressure is the main reason for the achievement of Korea-Japan Normalization. However, based on counterfactual analysis, this paper concludes that Korea-Japan Normalization would have been achieved much earlier than the year of 1965 when the two states actually reached an agreement only after spending four years of tough bargaining after the coup in South Korea. This paper purports to provide a counterfactual analysis of a non-event during the Second Republic of Korea, that is, the aborted Korea-Japan Normalization. The author argues that without General Park Chung Hee’s military coup on May 16, 1961, the rapprochement between the two former enemies would have been possible during the Second Republic of Korea. The ongoing process of negotiations for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ould have been accelerated and have reached the ultimate goal but for the military’s unconstitutional toppling down of the first democratic regime in South Korea. Many experts argue that President Park’s strong leadership or the U.S. pressure is the main reason for the achievement of Korea-Japan Normalization. However, based on counterfactual analysis, this paper concludes that Korea-Japan Normalization would have been achieved much earlier than the year of 1965 when the two states actually reached an agreement only after spending four years of tough bargaining after the coup in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Searching for a New Paradigm for Korea-Japan Relations

        윤태룡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07 국제관계연구 Vol.12 No.2

        temp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한일관계는 양국의 역사인식 차이에서 비롯하는 ‘역사적 적개심(historical animosity)’으로 인해 일반적인 국가관계와는 달리 매우 특이한 행태를 보이므로, 어떠한 국제정치이론으로도 양국관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힘든 것으로 본다. 한일관계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이처럼 역사인식 차이 혹은 역사적 잔재의 부정적 효과에 초점을 맞추는 “역사파(다수파)”와 최근 미-한-일 삼각관계를 포함하는 주변국과의 역학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빅터 차(Victor Cha)로 대변되는“현실주의파(소수파)”로 양분된다. 하지만, 이러한 양분화현상 자체가 연구자들로 하여금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 ‘역사적 적개심’은 단순히 비이성적인 감정의 표출을 뜻하는 것이 결코 아니며, 무정부상태의 국제정치현실에서 살아남으려는 국가의 현실주의적 고려(Realpolitik)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따라서, 기계적이고 분절적인 현실주의(discrete Realism) 시각에서 한일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지양하고 이론적-경험적으로 좀 더 철저한 근거에 기초하여 분석하려면, “역사파”와“현실주의파”가 서로 양립 불가능한 시각이라고 가정해버리기보다는 발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양극화 현상을 극복하는 신중한 현실주의(discreet Realism) 시각을 견지하고, 한일관계의 변화와 지속성을‘사이클이 있는 화살과 같은 시간(time’s arrow with time’s cycle)’이라는 역사적 시각에서 해석할 때에 비로소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설명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전후 한일관계는‘되풀이되는 단기적 협력/ 갈등 속의 장기적 협력의 진전(long-term progress in cooperation despite ups-and-downs in short-term relationship)’이라고 특징지을 수 있다.

      • KCI등재

        Balance-of-Fear Theory and Korea-Japan-U.S. Relations, 1945-1953

        윤태룡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3 국제관계연구 Vol.18 No.2

        This article, with balance-of-fear theory, explains the puzzling triangular dynamics of Korea-Japan-U.S. relations in the early Cold War period. Glenn Snyder’s concept of “alliance security dilemma” associated with abandonment/entrapment fears among allies, though useful, is not enough for explaining alliance/alignment politics among states. This article additionally employs two more fears: fear of deterrence failure between enemies and fear of losing autonomy between allies. Each state’s main incentive for supporting (or increasing commitment to) the alignment partner(s) can be abandonment fear (or fear of deterrence failure) while each state’s main incentive for defecting from (or decreasing commitment to) the alignment partner(s) can be entrapment fear (or fear of losing autonomy). For instance, during the Cold War period the U.S. concern for Korea and Japan is mainly due to the former’s fear of deterrence failure —the possibility of the Communist conque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Finlandization of Japan — rather than the former’s fear of being abandoned by South Korea or Japan. Meanwhile, South Korea and Japan’s concern for the United States is largely due to their abandonment fears regarding the United States. Japan played a game of balancing between fear of deterrence failure regarding South Korea and abandonment fear regarding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played a game of balancing between abandonment fear regarding the United States and fear of losing autonomy regarding Japan. The mechanism of balance of fears of four kinds reasonably explains triangular dynamics in the early Cold War period and, arguably, has potential to be utilized for analyzing other states’ relations in general.

      • KCI등재
      • KCI등재

        Historical Animosit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Role of Morality and Realism in Korea-Japan Relations

        윤태룡 한국국제정치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9 No.1

        This article argues that w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role of historical animosity seriously in explaining Korea-Japan relations as the conventional wisdom (or psycho-historical approach) emphasizes. However, this argument does not rely on the idea that historical animosity is largely influenced by irrational emotionalism. Rather, the persistence of historical animosity is not only the result of emotionalism, but also more importantly the result of two states’ Realpolitik consideration and Korea’s resentment toward Japan regarding unresolved historical injustic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ntricately inseparable nature of Realism, morality and emotions. A recent view that historical animosity as a constant cannot explain the variations in Korea-Japan is not well-founded in the sense that it assumes historical animosity is purely irrational and emotional phenomenon. Rather, the historical animosity itself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Realism and its limitations in explaining state behavior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matters of justice many Realist scholars have usually ignored. In this context, subtle but positive changes in Japan regarding historical injustices since the 1990s should be noted.

      • 중⋅러 영토분쟁 해결사례 : 동아시아 해양분쟁에 주는 함의

        윤태룡 제주평화연구원 2014 JPI 정책포럼 Vol.2014 No.15

        최근 미국의 동아시아 재균형 정책과 중⋅러의 전략적 제휴가 맞부딪혀 양 진영 간 新냉전으로 비화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커 지고 있는 가운데, 동아시아에서 동시에 진행 중인 해양분쟁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임으로써 이 지역의 안정에 대한 암울한 전망을 던져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관론에 대한 반증으로서 과거 300년 이상 지속되어온 중⋅러 영토분쟁의 타결사례는 한 가닥 희망의 근거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되돌아볼 가치가 있다. 중⋅러 영토분쟁의 성공적 타결은 현재 영토갈등을 겪고 있는 국가들 에게 희망을 주는 사례로서 중요한 함의를 갖고 있다. 역사나 국제정치에서 필연은 없다. 비록 과거 역사로부터 주어진 환경(구조)에 의해 제약을 받기는 하지만, 결국 역사를 만들어가 는 것은 인간이기 때문이다. 국가의 지도자들은 주어진 국제정치 환경에 기계처럼 반응하는 존재가 아니라, 의지를 갖고 의도적으로 어떤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암울한 현실을 변화시키는 힘을 가진 존재이다. 따라서 동아시아의 미래는 관련국가의 국민들이 어떤 지 도자들을 선택하느냐에도 크게 좌우된다. 국제정치의 현실은 늘 인간과 구조(혹은 의지와 결정론)의 양 극단이 아닌 양자의 상호작용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중⋅러 영토분쟁의 타결사례가 보여주듯이 민족주의적 감정을 자극하고 선동을 일삼는 정치인들이 퇴출 되고 역사가 주는 교훈을 현실에 적용하는 비전과 역량을 갖춘 정치인들이 집권한다면 평화의 실현이 반드시 불가능한 것만은 아닐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