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독일에서의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논의

        윤진아 ( Yoon Jin-ah ),김상태 ( Kim Sang-tae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4 No.1

        자율주행자동차 관련하여 입법행위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미국과는 달리 독일에서는 보다 신중한 입장에서 법적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가 도입되었을 경우 현행법 하에서 어떠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지, 그 해결을 위한 논의는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지 등 방향성에 대해서만 논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법적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은 차량을 계속 통제할 수 있는 속도로 운행해야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도로교통규칙(StVO) 제3조 제1항을 비롯한 다수의 법령들이 운전자를 전제로 하고 있어서 독일 내에서의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은 현행법상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독일에서도 자율주행자동차가 운행되기 위해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근본적으로 논의해야 할 부분이 `운전자`에 관한 규정이라고 보고 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둘째, 독일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운행 중에 생긴 사고에 대한 책임은 1차적으로 운전자에게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자동차의 운전자는 본인은 실제로 자동차를 운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법적 책임이 없다고 주장할 수 있다. 운전자는 오히려 `제조물책임법(ProdHaftG)`에 근거하여 자동차 제조자가 법적 책임을 부담하여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하지만, 제조물책임법은 제조물의 결함에 대한 입증책임을 손해를 입은 자에게 부담시키고 있기 때문에, 피해자가 제조물의 결함을 입증하지 못하는 경우 제조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는 없다. 결국 이러한 규정들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소유자, 운전자, 제조자 간의 책임 분배 문제를 매우 모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독일에서도 법적 책임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자율주행시스템이 얼마만큼 운전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작동하고 있는지, 운전자가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그리고 운전자에게 어떠한 주의의무가 있는지 등의 판단기준을 통해 주체별 책임을 배분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다. Unlike the United States, actively promoting legislations concerning autonomous cars, Germany is undergoing legal discussions with a more cautious view. The discussions include the range of issues under the current law when autonomous cars are commercialized and the direction of the discussions regarding applicable solutions of the issues. Such legal discussions are as the followings. First, since the majority of the legislations including Article 3, Section 1 of the `Highway Code (StVO)` in which stipulates that “A driver must drive the vehicle at a controllable speed” assumes a `human driver`, autonomous driving is not permitted under the current law in Germany. Therefore, to let autonomous vehicles to drive around Germany, ongoing discussions are on the regulations that concerns the `driver` since those are the most essential and fundamental issues to be addressed. Second, like Korea, Germany also deems the driver take primary responsibility in accidents while driving. However, since the person does not actually drive the autonomous car, it can be argued that one cannot place legal responsibility on the person thereof. Instead, the driver has the legal basis to argue that the car manufacturer should hold legal responsibility for the accident under the Product Liability Law (ProdHaftG). However, since the Product Liability Law imposes the burden of proof on the injured party, the party thereof cannot claim for the damages to the manufacturer unless they can prove the defect of the product. Ultimately, these regulations can lead to very ambiguous distribution of responsibility among owners of autonomous cars, drivers, and the manufacturers. Therefore, to clarify legal responsibility, arguments are underway in Germany on the distribution of liabilities of subjects. They insist that the distribution should be judged by the following standards; the range of the ability of an autonomous system on how much it can function regardless of the willingness of the driver, whether the driver carried out any measures, and the duty of care of the driver, etc.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포스트모던(Post-modern)복식과 신고전주의(Neoclassicism)시대 복식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윤진아(Yoon Jin-Ah) 한복문화학회 2006 韓服文化 Vol.9 No.1

        Creations of new designs build on various styles of costume that have emerged throughout the human history. As such, the task to study and analyze fashion styles in a specific era is a process and requirement that is essential to creation of fashion.<br/> Beyond the notion that costume is one of historical modes in a specific era,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costume out of modern costumes and the costume in the neoclassicism era which is recently gaining recognition as a fashion trend, an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them.<b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post-modern costume and the costume in neoclassicism era, the association between them is identified as follows:<br/> The first factor is reactionism. It satirically and metaphorically expresses nostalgia and emotion toward the ancient times so as to be appropriate to the emotion and sense of modern individuals. It provides newness and pleasure to the lost mental world by looking back to the past.<br/> The second factor is combination, wherein clothes contain rich colors, patterns, and materials through contrast and fusion.<br/> The third factor is naturalism, which provides natural expression without reducing or expanding human bodies and as they are.<br/> The fourth factor is human beauty, wherein human body is positively expressed by overdrawing or exposing sexual areas.<br/> As neoclassicism emerged in the post-modern society, it did not only adhere to imitating classical styles, but also incorporated and modified new styles into new expressions appropriate to given situations and the preferences of the public. This trend has served a part of the costume in the post-modern society. In summary, it is considered th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ism covered yearning for the Greek humanism that depicted the lines of human body as they were, deviated from artificial and mechanical touch in modernized civilization, naturalism that values human body and is directed to simplicity, and purism.

      • KCI등재

        남성들의 의복행동 및 선호하는 여성 패션스타일

        윤진아(Yoon Jin-Ah) 한복문화학회 2015 韓服文化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men in their twenties’ clothing behaviors and preferred woman’s fashion style and draw its conclusion to establish the academic base to understand the man consumer, predict the change phase of women’s clothing and use the data for product planning, market division and product development design of Korean clothing company through the analysis. For the purpose, the study analyzed total 687 surveys over 3 times in May, September and November 2013. The survey consisted of basic question, view of value question, clothing behavior question and preferred style question. The entire result revealed that the number of men in their twenties who pay attentions to their appearances for employment has increased. It showed that there have been a social atmosphere that as well as women, men should trim their appearances. The fact that the clothing was very important in the woman’s style showed that the clothing was very important again. The preferred woman’s style was a casual style. It was because of young age, practic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 Like that, the modern man’s interest in fashion was as high as woman’s one and the importance of style was emphasized. It showed that the interest in personality and appearance has increased.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법상 가족요양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윤진아 ( Yoon Jin-ah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8 No.4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은 비공식 요양급여 제공자가 수급자를 보호하는 것을 보상하는 제도인 가족요양제도를 두고 있다. 동법에서 정하는 가족요양제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요양보호사 자격증이 있는 가족으로부터 장기요양급여를 제공받는 ‘가족인 요양보호사’제도이고, 다른 하나는 섬 혹은 벽지에 거주하고 있는 등 일정 조건의 상황으로 인해 급여수혜가 어려운 자들에게 현금급여형태로 지급하는 가족요양비제도이다. 우리와 비슷한 제도를 가지고 있는 독일에서도 「사회법전」 제11권에서 가족요양제도를 두고 있다. 아울러 근로자들이 일과 가족 및 친지의 수발을 병행할 수 있도록 「수발시간법」, 「가족수발시간법」 등도 제정했다. 눈여겨 볼 부분은 「사회법전」 제11권에서 정한 장기요양급여 제공의 원칙 중 재가급여 우선의 원칙이다. 이 원칙은 대부분의 장기요양수급자가 가능한 한 오랫동안 본인이 거주하던 곳에서 생활하면서 가족 등 가까운 친인척의 돌봄을 받기 원한다는 사실을 반영한 것이다. 장기요양필요자가 자신에게 익숙한 공간 혹은 그 주변에 머무르면서 친족과 이웃을 통해 장기요양을 받게 된다면,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인 급여 운영이 가능해지며 수급자도 정서적으로도 더 안정적일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그렇기에 가족 내에서의 수발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가지 제도가 다양하게 마련되고 있는 것이다. 독일도 우리와 같이 현금급여나 현물급여 혹은 결합급여의 형태로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한다. 또한 우리의 가족요양비의 성격을 가진 요양비도 지급한다. 「사회법전」 제11권에서는 이러한 재가급여의 주요 내용을 정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이 제도가 운영될 수 있도록 수발자들을 위한 사회보장 지원, 수발자를 위한 교육 및 일과 가족 수발이 양립할 수 있게 하는 제도들을 함께 마련해 두고 있다. 우리나라도 가족요양제도의 기본틀만 갖출 것이 아니라 가족 수발이 반드시 필요한 가족구성원들이 보호를 받으며 가족을 돌볼 수 있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해 보인다.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ct” (Noinjanggiyoyangboheombeop) provides the family care system, which compensates informal care benefit providers for protecting recipients. The family care system prescribed by this Act is divided into two. One is the family care worker system that lets recipients receive long-term care benefits from family members with family care worker certificates; the other is the family care expense system that pays in the form of cash benefits to those who have difficulty receiving benefits due to certain conditions, such as residing in an island or a remote area. Germany which has a similar system to Korea has the home care system in Elfes Buch (XI) of Sozialgesetzbuch (SGB). In addition, Germany enacted Familienpflegezeitgesetz and Gesetz über die Pflegezeit so that workers can work and take care of their families and relatives at the same time.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e principle of the priority of home care benefits (Vorrang der häuslichen Pflege) set out in Elfes Buch (XI) of SGB. This principle reflects the fact that most long-term care recipients want to live in their own place for as long as possible and receive care from close relatives such as their families. It is positively evaluated that if a person in need of long-term care stays in or around a space familiar to her or him and receives long-term care by relatives and neighbors, then she or he can be more emotionally stable and the long-term care system can also be operated efficiently. Therefore, various systems that enable to care within the family are being prepared. As in Korea, Germany also provides long-term care benefits in the form of cash benefits (Geldleistung), in-kind benefits (Sachleistung), or combined benefits (Kombinationsleistung). Furthermore, care allowance (Pflegegeld) which has the nature of family care expenses are also paid. Elfes Buch (XI) of SGB not only determines the main contents of such home care benefits, but also provides social security support and education for caregivers in order to enable them to work and take care of their family at the same time. We also need various forms of institutional support that not only establish the basic framework of the family care system, but also enable family members who need family care to take care of their families under protection.

      • KCI등재

        독일의 의료공급 수요계획과 우리나라 의료공급의 지역 간 불균형 문제

        윤진아 ( Jin Ah Yoon ) 한국법정책학회 2015 법과 정책연구 Vol.15 No.4

        국민건강보험법상의 보험급여는 동법이 정한 요양기관을 통해 시행된다. 2014년 12월 말 현재 동법에 따라 신고한 요양기관은 전년 대비 1.58% 증가했다. 요양기관의 지역적 분포 상황을 보면 요양기관이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급종합병원 등 대형병원은 서울에 집중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요양기관(의료기관)을 개설하려는 자는 의료법 제33조가 정한 바에 따라 신고 및 허가 절차를 거쳐야 한다. 개설 허가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소정의 시설기준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때 수요공급을 감안한지역적 수요계획은 고려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병의원의 특정지역 과밀현상은 개선되지 못하고 요양기관의 지역 불균형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특히 농어촌에 있는 의료기관들이 인구감소에 따른 경영난으로 잇달아 폐업함에 따라 의료 취약지역이 늘어나고 있다. 의료취약지 문제에 대해서는 특히 공공의료기관의 확충이 해결방안으로 제시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공공의료기관의 비율이 낮고 의료급부가 주로 민간에 의해 제공되는 실정이어서 공공의료기관의 확충만으로는 의료취약지 문제를 해소하기 어렵다. 제한된 예산 안에서 공공의료기관을 확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료공급 과잉 지역에서 의료기관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의료기관의 특정지역 편중 문제가 시장원리를 통해 완화되기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이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이유이다. 독일의 경우에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도시에서는 의료공급이 과잉하고 그 외의 지역에서는 의료공급이 과소한 현상이 나타난다. 독일은 이러한 현상의 개선을 위해 법정의료보험법과 병원재정법을 통해 의료공급의 수요계획을 마련하였다. 계약의사의 수요계획은 사회법전 제5권 제96조 이하에서, 병원계획은 병원재정법 제6조 이하에서 규정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의료공급과 관련한 법들이 산재해 있다. 이들 법에서 의료 공급의 지역적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여러 규정을 두었지만 그 성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들 규정 대부분은 공공의료의 확충이나 민간과의 협조를 통해 불균형을 해소하려 한다. 하지만 한정된 예산으로 공공기관을 갑자기 확충할 수는 없으며, 민간이 수익성 부족으로 병원 설립을 꺼리는 지역은 여전히 의료 취약지로 남게 된다. 그러므로 과잉공급 지역과 과소공급 지역을 구분해서 불균형 문제의 해결점을 모색해야 한다. 우선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과잉공급 지역 에서의 병상 증설을 규제하는 방안이다. 다만 이 방안은 헌법상 직업의 자유의 침해 문제를 야기하므로 시행에 앞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과소공급 지역 문제는 재정적 보조를 강화하는 규정들을 통해 해결해야 할 것이다 Die gemaß dem koreanischen Volkskrankenversicherungsgesetz festgestellten medizinischen Leistungen werden durch medizinische Leistungserbringer durchgefuhrt, die durch das gleiche Gesetz geregelt werden. Zwar ist im Jahr 2014 die Zahl der gemaß dem Gesetz angemeldeten Leistungserbringer um 1.58% gestiegen im Vergleich zum Vorjahr, aber es bleibt das Problem der Ungleichverteilungen der Leistungserbringer weiter. In Korea soll die Errichtung einer Versorgungseinrichtung durch die Anmelung und Genehmigung gemaß § 33 MG erfolgen. Bei dieser Genehmigung wird zwar die Befahigung der Leistungserbringer uberpruft, der Bedarf in Bezug auf die regionale Versorgung dagegen nicht berucksichtigt. Aus diesem Grund wird das Problem nicht vermindert, dass medizinische Versorgungseinrichtungen in landlichzen Provinzen und Dorfen zunehmend geschlossen werden. Dies fuhrt zur Unterversorgung in diesen Regionen (insbesondere Bauern- und Fischerdorfern). In Deutschland, in dem - wie in Korea - auch das Problem der ungleichen Versorgung besteht, ist eine Bedarfsplanung zu vertragsarztlichen Versorgungen erstellt worden. Um den Bedarf an vertragsarztlichen Leistungen in einem Planungsbereich festzustellen, ist der Bedarfsplan fur die vertragsarztliche Versorgung erforderlich. Bei der Bedarfsplanung in Deutschland sind die stationaren und die ambulanten Versorgungsbereiche relativ strikt getrennt. Es wurde mit Geltung zum 01.01.1989 durch das Gesundheitsstrukturgesetz (GRG) in das SGB V eingefuhrt. Die Entscheidung der Zulassung der Arzte zur vertragsarztlichen Versorgung werden gemaß § 96 Abs. 1 SGB V durch Zulassungsausschuss getroffen. Die Zulassungsverordnungen regeln die Zulassung zur vertragsarztlichen Versorgung sowie die zu ihrer Sicherstellung erforderliche Bedarfsplanung (§ 99 SGB V) und die Beschrankung von Zulassungen (§ 98 Abs. 1 SGB V) naher. Diese Bedarfsplanung findet zwar konkret regional im Mitwirken von Krankenkassen und Kassenarztlichen Vereinigungen statt, ist aber gesetzlich und durch Regelungen des Gemeinsamen Bundesausschusses stark zentral vorstrukturiert. Entsprechend setzt auch § 108 SGB V fur Krankenhauser eine Krankenhausplanung des Landes nach § 6 KHG und die Aufnahme in den Krankenhausplan als Zulassungsvoraussetzung voraus. Korea steht hiergegen zur Planung einer angemessenen regionalen Verteilung der medizinischen Leistungserbringer noch ganz am Anfang. Obwohl es zahlreiche Regelungen uber medizinische Einrichtungen in landlichen Gebieten gibt, ist die tatsachliche Versorgungsdichte unzulanglich. In Korea gibt es noch keine Instanz und keinen funktionierenden Ansatz fur eine regionale Bedarfsplanung. Dies ist in Korea wegen des großen Ungleichgewichts zwischen wenigen Großstadten und dem ubrigen Land viel dramatischer. Das koreanische Krankenversicherungssystem benotigt mindestens eine vergleichbare Bedarfsplanung hinsichtlich der Leistungserbringer, um eine ausreichende Versorgung auch in landlichen Gebieten anzustreben und diese durchzusetzen, durfte es auch in Korea - wie in Deutschland - unvermeidbar sein, Zulassungsbeschrankungen bei Uberversorgung vorzusehen. Allerdings musste fur die gesperrten Bereiche wohl dann eine Offnung fur allein privatarztliche Behandlung vorgesehen werden, damit der Eingriff in die Berufsfreiheit verfassungsgemaß bleibt. Es ist zu erwarten, dass die Bedarfsplanung in Korea fur lange Zeit ein schwieriges politisches Problem bleiben wi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