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 독일민족의식의 발전과 로에스의 알렉산더(Alexander of Roes)의 제국론

        윤비 ( Bee Yun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1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28

        The following article pursues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in medieval Germany. In the course of and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Carolingian Empire, an idea of common identity was first born among the ruling class in the Eastern Frankish Realm. This idea of identity evolved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late eleventh and the early thirteenth century into a consciousness of common German identity. As the elect nation, the German people were believed to be destined to protect and lead the Christianity to the end of the world. This article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theory of empire by Alexander of Roes (c.1225-before 1300), a Franciscan monk who arduously defended the cause of the Holy Roman Empire lead by the Germans at the very time it was undergoing a series of serious crises, cross-fired by the Papacy and the French monarchy. By analyzing his theory of empire and the underlying view of the world this study will demonstrate how German national consciousness was ripening.

      • KCI등재

        모든 시민의 자유와 평등을 위하여... (Ad libertatem paritatemque civium maxime omnium...) -중세 후기 정치언설의 맥락에서 본 레오나르도 브루니(Leondardo Bruni)의 이상 정치체제론-

        윤비 ( Bee Yun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2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0

        Ideological commitment of Leondardo Bruni (c.1370-1444), a representative figure of 15th-century Florentine humanism, has been increasingly subject to heated controversies. This is first of all due to ambivalence which is found in his works. On one hand, he appears a champion of civic republicanism, proclaiming free and equal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politics as preconditions for good government and denouncing other forms of government, first of all monarchy, as basically identical with tyrann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reasons to believe that in reality he had equally favorable notions about other forms of government, insofar as they served the security and welfare of their people. This ambivalence has divided commentators on Bruni`s political thoughts. Was Bruni a pioneer of modern republican thinking? Or, was he a freelancer-typed writer who was ready to use his rhetorical skill for the interest of his hirers. While criticizing the anachronical assumptions underlying both of interpretations, this article argues that a key to Bruni`s idea of ideal government can be found by putting it in the context of later medieval discourses on ideal rule and considering their features, first of all pragmatism and the sensitivity toward the particularities.

      • KCI등재

        서구 중세와 종교정치적 공간으로서의 ‘유럽’ 개념의 탄생

        윤비 ( Bee Y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3

        본 연구는 중세에 정치종교적 공간으로서 유럽관념이 탄생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다룬다. 첫 부분은 어떻게 기독교가 서양의 주도종교로 자리 잡는 가운데 유럽과 그 정체성을 성경의 전승과 연관지어 이해함으로써 고대와는 구분되는 새로운 유럽관념으로의 길을 열었는가를 논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기독교 공동체로 이해된 유럽의 관념은 비잔틴제국으로부터 정치적 독자성을 확보하고자 노력으로서 자신들의 국가를 독자적인 제국으로 이해하고 선전하였던 9세기 카롤링거 왕조의 지배자들에 의해 활용되었다. 카롤링거 제국의 지배자들은 자신들을 기독교 세계를 보호하는 정치지도자로 자리매김하였으며, 그 결과 ‘유럽의 아버지’ ‘유럽의 등대’와 같은 표현들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부분은 이러한 정치종교적 공간으로서의 유럽관념이 15세기 오토만 제국의 서진에 자극받아 어떻게 엔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Enea Silvio Piccolomini)에 의해 재생되는지를 논한다. 동시에 피콜로미니가 이교 고대를 포함하는 유럽개념을 구축함으로써, 유럽을 역사적 발전의 결과이며 공통의 문화적 유산에 기반을 둔 공동체로 이해하는 단초를 마련하였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렇게 등장한 새로운 유럽개념이 16세기에서 발전해 나아가는 모습을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Albrecht Altdorfer)의 알렉산더 대왕의 이소스 전투(Alexanderschlacht bei Issos)라는 회화를 통해 살펴보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This paper discusses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the idea of Europe as a politico-religious space during the Middle Ages.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begins by discussing how Christianity provided a new view and language to conceptualize Europe and its identity, reinterpreting it in terms of the biblical tradition. The concept of Europe thus born as synonymous with the Christian community was instrumentalized by the Carolingian rulers in the ninth century who, striving for the autonomy of power from the Byzantine Empire, claimed the title of empire. The idea of the mission of the Carolingian Empire as a political leader of the Christian community was elaborated, and its leaders were stylized and propagated as the father of Europe or the lighthouse of Europe. The second part of this essay discusses the revival of the concept of Europe as a politico-religious space in the fifteenth century by Enea Silvio Piccolomini (Pope Pius II). The increasing threats from the Ottoman Empire alarmed Latin Christianity, wakening a sense of solidarity with the Byzantine Empire. Piccolomini elaborated the idea of the Christian community with two political heads in the West (the Holy Roman Empire) and the East (the Byzantine Empire) and revitalized the concept of Europe as a politico-religious space. While constructing a concept of Europe encompassing the pagan antiquity, he laid a foundation for a concept of Europe which stresses its historical evolution and a formation of common cultural and civilizational heritage. This essay ends by briefly illuminating a new concept of Europe as was articulated by Piccolomini by discussing Die Alexanderschlacht (Schlacht bei Issos; The Battle of Alexander at Issus) by Albrecht Altdorfer.

      • KCI등재

        『비밀 중의 비밀』 (Secretum secretorum)과 중세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사상의 수용

        윤비 ( Bee Yun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5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5

        지난 세기 중세정치사상사 서술을 둘러싸고 벌어진 여러 논쟁들 가운데 13세기 말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의 번역이 가져온 중장기적 영향에 대한 것만큼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된 것은 없다. 19세기 이래로 중세 정치사상에 대해 진행되어 온 주류의 여러 연구 성과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바는 『정치학』의 번역은 기존의 기독교적 전통의 정치이론과는 다른 고대 폴리스적 전통의 정치사상이 서유럽의 지식인들에게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로부터 중세정치사상의 결정적인 전환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전제된, 기독교적 정치관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고대 폴리스적 정치관의 매개 없는 충돌이라는 상(像)은 서유럽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사상 수용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상당부분 부합하지 않는다.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이 소개되기 이전부터 약 1세기에 걸쳐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름아래 다분히 종교적이고 형이상학적인 특징을 지닌 정치이론이 서유럽에서 널리, 다양한 방식으로 유통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특히 위(僞) 아리스토텔레스 문서, 『비밀 중의 비밀』(Secretum secretorum)이 큰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퍼진 신학적, 형이상학적인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이론의 이해는 이후 『정치학』의 번역을 통한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사상 수용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비밀 중의 비밀』의 이러한 의의에 주목하여 이 문헌의 서구 기독교 세계로의 유입과정과 수용의 일반적 상황을 일별하고 이어 그 안에 담긴 논의 가운데 정치이론 및 국가이론의 차원에서 유의미한 부분을 살펴본다. 이어지는 부분에서는 『비밀 중의 비밀』이 유통시킨 아리스토텔레스와 그의 정치사상에 대한 상을 종합한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고찰의 함의를 간략히 일별하고 향후 논의의 방향성을 제시하려 한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structure, ideas, conceptions, and metaphors of the Secretum secretorum (Kitab sirr al-asrar), a Pseudo-Aristotelian political treatise from the Arab world which came to be known to Western European intellectuals through Latin translations from the twelfth century and remained highly influential to subsequent generations. It is specifically interested in analyzing the Secretum’s impact on the Aristotelian reception in the thirteenth century. The Secretum had long determined Aristotle’s image as political thinker before Moerbeke’s translation, articulating a theologically and metaphysically colored conception of politics. The challenge later medieval scholars were confronted with was how to find a way of integrating Aristotle’s Politics into this pre-existing framework. This signifies that the later medieval reception of Aristotle’s political thought was a highly complex process, and cannot be properly described in terms of the clash between the Christian tradition and the ancient, pagan tradition, as has been done.(Sungkyunkwan University/ vitafelix@skku.edu)

      • KCI등재

        4대륙의 알레고리와 패권의 프로파간다

        윤비(Bee Yun) 한국유럽학회 2014 유럽연구 Vol.32 No.4

        본 논문은 16세기말부터 18세기에 이르는 기간 동안 서유럽에서 지도, 회화, 삽도를 망라한 다양한 시각 매체에 등장한 4대륙의 알레고리를 분석한다. 이 기간은 서유럽 강국들을 주축으로 한 유럽의 세계지배의 토대가 놓인 시기이자 근대적 정치질서관과 제도가 자리를 잡은 시기이다. 이 무렵에 회화를 비롯한 여러 시각매체에 등장한 다양한 4대륙의 알레고리적 묘사는 이러한 정치적 변화와 발전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4대륙의 알레고리에 유럽내외에서 패권을 다투던 강국들의 자기주장과 비전이 담겨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춘다. 패권을 두고 경쟁을 벌이던 당시의 유럽의 강국들은 저마다 자신의 정치적 야망에 부합하는 모습의 유럽을 꿈꾸었으며, 이들 상이한 비전들이 선전되고 받아들여지고 혹은 거부되는 가운데, 다시 말해 이들이 서로 부딪히고 얽히는 가운데 수렴하는 과정을 통해 오늘날 통용되는 유럽과 세계에 대한 상의 밑그림이 그려졌다. 요약한다면 본 연구의 관심은 4대륙의 알레고리를 매개로 왕조국가들을 필두로 한여러 정치행위자들의 비전과 야심이 어떻게 근대 초 서유럽과 세계에 대한 이해와 인식에 투영되고 이를 규정하였는가를 이해하는데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allegories of the Four Continents which were quite popular in West Europe from the 16th to the 18th century. Not only was the foundation of Europe"s world domination laid during this period. Modern political ideas and institutions also emerged at that time. The allegories of the Four Continents reflect these developments. Powerful political actors, the Empire, the Catholic Church, the territorial monarchies which contested around the hegemony inside and outside dreamed of different visions of Europe. The current idea of Europe and the world was basically formed out of those competing visions through a complex process of convergence. By looking at some important depictions of the allegories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how the visions and ambitions of various political actors decisively influenced the conceptions of Europe and the rest parts of the world in the early modern period.

      • KCI등재

        고대 헬라스 세계에서 민주주의(demokratia) 개념의 탄생 -헤로도토스 『역사』 제3권의 이상정부논쟁을 중심으로

        윤비 ( Bee Yun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민주주의의 탄생과 발전을 역사적으로 구성하는 가운데 그 과정이 정치사상사에 초래한 변화를 가늠하고 동시에 오늘날의 민주주의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을 마련하려는 시도이다. 우리가 현대 민주주의의 위기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전진을 위한 새로운 좌표를 설정하고자 한다면, 역사적으로 등장한 여러 민주주의에 대한 과장이나 이상화, 혹은 폄하를 벗어나 그들이 그러한 체제를 발생시킨 상황과 조건, 그러한 체제들이 답해야 했던 문제들, 그리고 그러한 응답과정에서 드러난 성과와 한계에 대한 편견 없는 평가가 필요하다.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헤로도토스(Herodotos)의 『역사(Histories Apodexis)』의 제3권에 나타나는 민주주의에 대한 옹호와 비판을 중심에 두고,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까지 민주정을 둘러싸고 진행된 민주정의 옹호자들과 비판자들간의 논쟁을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민주정의 탄생이 헬라스 세계의 사상사에 제기한 문제가 무엇이었으며,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이해하려고 한다. The main subject of this discussion is the conceptual war conducted by the supporters and the critics of democracy, a newly emerging form of government in the 5th century BC. I will analyze Herodotus’ account in the third book of his Histories of the discussion on future government, which allegedly took place among the Persian conspirators after the successful revolt against the despot Cambyses. I will highlight the different uses the participants make of the term ‘democracy(demokratia),’ and, on the basis of the clues gathered thus, endeavor to reconstruct contending ideas on democracy in Greece in the 5th century BC.

      • KCI등재

        왕권과 구원

        윤비(Yun Be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서강인문논총 Vol.0 No.53

        헨리 8세(Henry VIII)가 1534년 선포한 수장령(Acts of Supremacy)에서 결정적으로 비롯된 영국에서의 종교개혁은 왕권의 강화라는 직접적인 목표를 가지고 이루어졌다. 헨리는 왕권이 곧 교회의 지도권을 함께 갖는다는 자신의 주장을 선전하는데 열심이었다. 본 논문의 주제는 그러한 현시 내지 프로파간다의 사례들 중 특히 시각이미지를 통한 사례들로서 킹즈 칼리지 예배당(King"s College Chapel)의 루드 스크린(rood screen) 곳곳에 새겨진 국왕 헨리라는 의미의 HR(Henricus Rex)이라는 양각문자에 나타난 헨리의 권력관과 정치관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논의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첫번째 부분에서는 킹즈 칼리지 예배당 (King"s College Chapel)의 역사와 헨리 8세와의 관계를 요약한 후 중세 교회건축의 상징론과 연관하여 예배당의 기본구조와 장식의 배치를 살펴본다. 두번째 부분에서는 첫 번째 부분의 논의 성과에 근거하여 루드 스크린(rood screen)의 HR 양각과 헨리 8세의 정치관을 분석하고 관련된 유사 사례로서 1538년 헨리의 명에 따라 발간된 대성서(Great Bible)에 표지에 나타난 이미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근대 영국사에서 정치적으로 가장 격동기 중 하나로 분류되는 헨리 8세 시기의 정치언설과 문화에 대해 보다 풍부한 상을 얻으려한다. The English Reformation, which Henry Ⅷ triggered with the Acts of Supremacy (1534) served to strengthen his power. He put forward a radical contention that the King is the sole head of The Church of England. He endeavored to propagate and impress this concept of the king"s power supremacy in the minds of his nobles and people, manifesting his concept of the kingship both as the head of the secular government and as the church in the many opportunities available to him.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s visualizing t he concept, the letters "HR" on the rood screen of the King"s College Chapel and analyzes how they embody Henry"s idea of kingship and political power. The following discussion proceeds through two phases. The first part will briefly sketch the history of the King"s College Chapel and its relationship to Henry Ⅷ and discuss the church symbolism incorporated in the chapel"s structure and decorations. The second part will deal with the letters "HR" on the rood screen of the chapel and relate it to the illustrated title page of the Great Bible, which was issued in 1538 on Henry"s order. This study proposes to reach a richer picture of the political discourse and culture in Henry"s era which is one of the most tumultuous periods in the political history of England.

      • KCI등재

        유럽 여제(Europa Regina)

        윤비(Bee Yun) 한국정치학회 2010 한국정치학회보 Vol.44 No.4

        의인화된 유럽의 알레고리는 유럽이라는 자연적, 문화적 단일정체성이 존재한다는 의식의 뚜렷한 표현이자 근대 초 문학으로부터 시각예술에서까지 유럽을 상징화하기 위하여 널리 쓰였던 메타포이다. 본 연구는 15세기 말로부터 17세기에 이르는 기간 동안 의인화된 유럽의 알레고리가 만들어지고 변화되고 퍼져 나아가는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유럽이라는 정체성의 관념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되었는가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의인화된 유럽의 알레고리가 어떻게 상이한 이해를 가진 정치주체들에 의하여 자신의 명분과 논리를 강화하기 위해 이용되었으며, 그 가운데 재해석과 변용을 겪었는가를 도상학적 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특히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근대의 유럽의식이 성장하는 국가들의 권력정치와 상호 교호하면서 발전해 나아가는 한 단면을 보여주고자 한다. As a most popular allegory in early modern literature and arts, personified Europe (Europa Regina or Europa Virgo) arose from an evolving consciousness among the Europeans of common natural and cultural identity. By discussing how this allegory appeared and spread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15th and early 16th to the 17th century this article endeavors to reac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that consciousness. It especially focuses upon how political actors with different political interests and goals appropriated this allegory to bolster their political visions and programs, which caused and prompted its development into different, often mutually contradicting versions. This article thus shows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onsciousness of common European identity in interaction with growing secular states.

      • KCI등재

        신화적 정의관의 붕괴와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윤비(Bee Yun) 한국정치사상학회 2012 정치사상연구 Vol.18 No.1

        정의는 오늘날 한국정치를 읽어내는 핵심어이다. 정의에 대한 뜨거운 관심 아래에서 사람들은 한국 사회에서 정의의 위기를 읽어낸다. 본 연구는 이 위기의 근원을 정치사상사적, 문화사적 맥락에서 새롭게 짚어보려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현재의 정의의 위기를 한국 사회의 정치언설을 오랫동안 지배해 온 신화적 정의관의 퇴조와 대안적인 정의관의 부재라는 맥락에서 분석한다. 신화적 정의관의 붕괴는 도덕적이고 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삶, 민주시민으로서의 삶, 그리고 경제적 동물로서의 삶이라는 세 가지 지평이 더 이상 사람들에게 조화로운 그림 속에 묶여지지 못함을 의미한다. 그 공백 안으로 윤리론적 국민계몽주의와 속류 실용주의가 밀려들어오고 있지만, 둘 모두 한국인들에게 자신과 공동체의 삶을 이해하고 가꾸어 갈 수 있는 패러다임과 전망으로서 설득력을 얻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의 첫 부분은 한국사회의 신화적 정의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고대로부터 근대초로 이어지는 정치사상사의 맥락에서 분석한다. 두 번째 부분은 근대초기 자유주의 전통에서 등장한 정의개념을 사상사적 맥락에서 검토하고 이것이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대안적 정의관을 구축하는데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가를 논한다. Justice is the key concept of contemporary political discourses in Korea. The deep and broad interest in this concept reflects its crisis. This study analyzes the ideological and cultural roots of this crisis. The current crisis of justice results from the collapse of the mythical conception of justice which dominated the resistance discourses throughout the period of authoritative regimes and dictatorships in Korea. Nowadays, the vision (which dates back to the beginning of political thinking in the history mankind) that the interest of individuals may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morality and the interest of the community has lost its charm. In its place rigorous moralism and vulgar pragmatism entered but they failed to provide a persuasive vision. The first part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ythical concept of justice in Korea and analyze it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The second part concentrates on the conception of justice deriving from the early liberalist tradition and its implication for contemporary Korean politics.

      • KCI등재

        젝구의 기원과 종말: 아드몬트의 엥엘베르트(Engelbert von Akmont)와 14세기 초 신성로마제국의 정치적 비전

        윤비 ( Bee Yun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3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1

        This study discusses the ideas of empire by Engelbert of Admont (+1331), whose tract ``De ortu et fine lmperii Romani`` (1312-13) reveals important features of the language of justification of the Holy Roman Empire in the early 14th century. It concentrates on how Engelbert explained and justified the origin and kevelopment of the Roman imperial rule, as whose heir he understood the contemporary German empire. It also discusses how he defended the Holy Roman Empire against various sorts of skepticism and criticism and compromised its claim of the unlimited universal rule over the world and its limited (even declining) political influences in reality. By way of this discussion this study ultimately indicates the unique features of the later medieval imperialist imagi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