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주의의 변화: 1988년, 2003년 및 2016년 조사결과 비교

        윤광일 ( Yoon Kwang-il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7 의정연구 Vol.23 No.1

        이 글은 지역주의의 미시적, 사회심리적 기반을 파악하기 위해 이의 이론적 작업으로 지역주의의 개념적 위상을 제시하고 편견과 사회정체성이론을 소개했다. 경험적 분석에서는 지역주의의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1988년, 2003년, 그리고 2016년에 수집한 전국단위의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영·호남 출신에 대한 편견, 차별경험, 지역갈등에 대한 귀인 등의 변화양상을 출신지역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호남 출신에 대한 편견이 전국적으로 또한 출신지역 별로 하락하는 추세이다. 다만, 대구/경북 지역 출신의 호남출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연령이 낮을수록 호남편견은 낮아지는 것으로 보이나 지지하는 지역정당에 따라 호남편견이 갈리는, 지역갈등과 이념갈등이 중첩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셋째, 대부분의 응답자가 출신지역에 따른 명시적 차별은 경험하지 못했지만 상대적으로 호남 지역출신 응답자의 차별 경험 비율이 다른 지역 출신 사람들에 비해 높게 나왔고, 정체성과 자존감과 관련된 차별 경험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넷째, 호남출신은 지역갈등의 원인을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지역주민의 의식과 같은 내적 요인에서 찾고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정부의 경제발전 정책이라는 외적, 구조적 요인에 귀인해 왔다. 이는 편견 대상 집단의 일반적 행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글을 요약하며 편견감소 방안에 대해 논의하며 글을 맺는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icro-level, social psychological foundation of regionalism and analyze its change and continuity by comparing 1988, 2003, and 2016 survey results. Drawing on the theory of prejudice and social identity, it clarifies the concept of regionalism and examines its affective, behavioral, cognitive implications. In the empirical analysis, where it takes advantage of relevant questions of the same or similar wording in three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s, the study identifies the changes in regionalism at the individual level focusing on anti-Honam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nd attribution of regional conflict. First, anti-Honam prejudice has been in decline nationally as well as regardless of where one has grown up, except for Daegu/Kyungpook area. Second, anti-Honam prejudice has been weakened among younger generations while regional party identification now affects the sentiment in the direction of regional cleavage overlapped with ideological leanings. Third, while most respondents do not experience explicit discrimination, Honam natives are still more likely to experience discrimination, especially identity and self-esteem related, due to his or her home town. Fourth, Honam natives have been more likely to attribute regional conflict to an external, structural factor like government economic policy and less likely to a subjective one like regional sentiment, which seems to be consistent with attributional attitudes of the victims of prejudice. The study ends with the discussion of how to reduce further anti-Honam prejudice, which includes contact hypothesis, recategorization, cross-categorization, and de-categoriz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우수등재

        Symbolic Politics

        Kwang-Il Yoon(윤광일)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6

        본 논문은 자기 이익이 개인의 사회 정치적 태도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미약하다는 주장의 타당성을 영국 선거패널데이터 1992-1997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자기 이익의 미약한 효과는 일반적으로는 상징적 성향의 지배적인 영향으로, 구체적으로는 미국 예외주의 즉, 미국정치의 맥락에서 경제적 개인주의의 영향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주장 되어 왔다. 본 연구는 개인적 고충을 정부를 통해 해결할 가능성이 큰 영국의 상황에서, 자기 이익이 사회 정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클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영국에서도 상징적 성향이 이에 우세한 영향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밝혀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상징적 정치의 일반화 가능성과 미국 예외주의 설명의 타당성을 검토했다. The effects of self-interest on individual’s social and political attitudes have been argued to be tenuous on the grounds of (1) the dominant effects of symbolic predispositions in general and (2) economic individualism in American political context in particular.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se claims, I measure the effects of self-interest on British citizens’sociopolitical attitudes using British Election Panel Survey data collected from 1992 to 1997. Considering British political context that citizens are more likely to attribute their personal grievances to the overnment, it has been argued that there would be greater effects of self-interest. However, the evidence i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ase for symbolic politics is in fact strengthened while the case for American exceptionalism is rather weaken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6 · 4 지방선거와 분할투표

        윤광일(Kwang-Il Yoon) 한국정당학회 2014 한국정당학회보 Vol.13 No.3

        이 글은 「2014 지방선거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분할투표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독립변수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 광역단체장과 의회 지역구 선거에서 정당 선택 대안이 없어 필수 분할투표를 할 수밖에 없는 사례를 포함한 경우와 선택 대안이 있어 의도적 분할투표가 가능한 사례에 한정한 경우로 나누어 정당일체감, 정당호감도, 투표 결정시기, 정치지식, 비례선거에서 군소정당 투표 여부 등의 상대적, 독립적 효과를 추정한 이 같은 작업은 주로 2004년 1인 2표 병립제 도입 이후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분석해 온 지금까지의 한국 분할투표 관련 연구의 지평을 광역선거 분석에 확장시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분할투표 행위에 영향을 주는 선거제도와 유권자의 동기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유권자의 투표 행태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추구했다. 연구결과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한 일체감은 일관되게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낮추며, 통합진보당 또는 정의당에 대한 일체감의 이 같은 영향력은 필수 분할투표 사례를 제외한 후 비례선거에서 진보 정당에 대한 투표 여부를 통제한 모델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집권여당에 대한 극단적인 호감과 반감은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일관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지식과 투표 결정시기, 정당균형 선호도의 영향력은 대체로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군소정당에 대한 비례선거에서의 투표는 군소정당 대안 유무와 상관없이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일관되게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independent effects of party identification and favorability, timing of vote decision, political sophistication, PR voting for small parties, and party balancing preference, on split-ticket voting in provincial elections, taking account of necessary split-ticket voting. Using a survey data collected after the 2014 Nationwide Local Elections, the study extends previous findings on split-ticket voting in the National Assembly to provincial elections. The analysis controls for the effects of the electoral system as well as voter’s motiv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voting behavior. It finds, among others, that the identification with major parties consistently lowers the possibility of split-ticket voting while the identification with small, progressive parties shows such effect only when controlling for voting for small parties in the PR tier of the provincial assembly election and excluding necessary split-ticket voting cases. Second, extreme attitude toward the ruling party consistently decreases the chance of such voting behavior. In general, the independent effects of political sophistication, decision timing, and party balancing preference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inally, voting for small parties in the PR tier of the provincial assembly election increases the likelihood of split-ticket, with or without small party alternatives.

      • KCI등재

        제20대 총선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위한 제언

        윤광일 ( Kwang Il Yoon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6 의정연구 Vol.22 No.1

        이 글은 향후 제20대 총선의 실증적 연구에서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은 주제에 대해 현재 가용한 집합자료에 의존하여 탐색한다. 그 결과 투표 결정과 정당 및 후보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쳐온 구조적 핵심 원인(遠因)인 지역과 이에 근거한 전략적 투표, 그리고 최종 단계에서 총선 투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근인(近因)으로 알려진 대통령 직무평가와 현직효과 등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통적으로 영남과 호남 지역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온 정당들이 열세 지역에서 적지 않은 의석을 획득하는 변화가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는 영·호남 지역정당의 배타적 의석분할구도가 재현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선두 후보 간의 경합도가 높은 경우 전국 차원에서, 특히 두 야권 후보가 치열하게 경쟁을 벌인 호남 지역에서 투표율이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신생 정당으로 정당일체감이 아직 형성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국민의당이 대부분 지역에서 분할투표로 인해 상대적인 이익을 본 것으로, 유력 정당인 새누리당과 더민주당이 상대적으로 손해를 본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이번 총선에서도 집권당이 직전 대통령 선거보다 득표율이 떨어지는 중간선거 실패 현상이 나타났다. 다섯째, 총선에서 유권자의 선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쳐온 현직효과는 이번에도, 특히 호남에서, 대체로 재현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관찰 결과의 시사점과 함께 향후 분석에서 다뤄야 할 쟁점을 소개하며 마친다. This paper explores research agendas that the empirical study of voting behavior in the 20th General Election of South Korea should address. Drawing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funnel of causality,” previous works on Korean voting behavior, and the available aggregate election data, it makes the following observations on regional, strategic, split-ticket voting, midterm loss, and incumbency effect: First, regional parties have largely maintained their grip on their regional bases in terms of winning seats despite the fact that Saenuri Party and Minjoo Party have successfully won seats in Honam and Youngnam regions, respectively. Second, the higher the turnout was, the more competitive the race was on the national level. It was especially the case in Honam, where two opposition parties with a similar support base fiercely vied for regional dominance. Third, the People’s Party, with which voters’ identification has yet to be developed, seems to benefit from split-ticket voting while Saenuri and Minjoo incur loss. Fourth, midterm loss, where the presidential party suffers an electoral decline, has repeated. Finally, incumbents fared well, especially in Honam. This paper concludes with implications and further issue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미국 인식 및 평가의 정치심리 기반

        윤광일 ( Yoon Kwang-il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4

        이 연구는 한국의 안보체제가 무엇보다 한미동맹과 이의 구체적 실재인 주한미군의 존재를 골간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 인식에 기반하여, 미국에 대한 인식과 평가를 한국 유권자 정치이념 특유의 하위차원으로 제시되어 온 안보정책에 관한 선호와 평가의 한 요소로 상정하고, 한미동맹과 주한미군에 대한 태도와 경제, 안보, 외교 분야에서 미국에 대한 인식 등에 미치는 개인의 정치이념 성향과 가치 및 이데올로기 성향 등 정치심리 변인의 영향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반공, 대북 및 통일 정책 선호에 초점을 맞추었던 선행연구에 더하여, 한국 유권자 정치이념 성향과 구조의 보편과 특수를 경험적으로 밝히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탈물질주의 가치와 이데올로기 성향 변수인 우익권위주의 성향과 사회지배지향, 체제정당화 동기가 정치이념 성향과 함께 미국에 대한 유권자 인식과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안보정책 선호의 동기적 기반으로 상정된 상징적 정치이념 성향과 정치심리 기반 변수가 한미동맹과 미국의 상대적, 절대적 위상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예측한 방향으로 일관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우익권위주의 성향만이 상대적으로 일관되게 한미동맹과 주한 미군이 현재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할 가능성을 높였고 독자외교 노선과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 유지에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는 데 동의할 가능성도 높였다. Based on the fact that the ROK-US Alliance and its embodiment, USFK, are the linchpin for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foundation of attitudes toward the Alliance, USFK, and the U.S. leadership in the region and the world. In particular, it attempts to estimate the effects of such motivational bases as left-right political orientation, postmaterialism, right wing authoritarianism (RWA),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DO), system justification motivation on those attitudes. The study would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the security dimension in individual’s political ideology, which has been suggested to be specific to Korean voters. In general, those motivational variables are not found to have consistent effects on the individual’s U.S.-related evaluations. Only the RWA seems to increase positive evaluation of the ROK-US Alliance and USFK, Korea’s diplomatic independence, the U.S-led world order.

      • KCI등재

        국가정체성과 대북 태도: 애국심을 중심으로

        윤광일 ( Yoon Kwang-il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8 국방연구 Vol.61 No.3

        이 연구는 국가정체성의 주요 구성요소인 애국심에 초점을 맞추어 이의 대북 및 통일 태도에 대한 함의를 대표성 있는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첫째, 현재 한국인들 대다수가 국민으로서, 그리고 정치, 경제, 문화, 역사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대한민국에 대해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 다만, 군사력과 공정한 사회적 대우 분야에서만 자부심을 느끼는 한국인이 반수를 넘지 못했다. 둘째, 연령대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력과 소득이 낮을수록 애국심과 애국심의 특정 개념(건설적, 맹목적, 상징적 애국심), 그리고 애국심 관련 개념(내셔널리즘과 국가정체성)에 대한 지표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애국심을 독립변수로 그리고 사회경제변수, 정당지지, 정치이데올로기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 모형 분석결과에 의하면, 애국심이 높아질수록 북한을 경계 또는 적대 대상으로 생각하기보다는 지원 또는 협력 대상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적 애국심은 북한을 지원 또는 협력 대상으로 여길 가능성을 높이고 경계 대상으로 평가할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반하여 내셔널리즘과 맹목적 애국심은 북한에 대한 평가와 유의미한 독립적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애국심 일반과 건설적 애국심은 통일에 대한 추상적 선호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정책에 대한 선호를 높이는 것으로 드러난 반면, 맹목적 애국심은 대체로 의미 있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다른 조건이 같다면, 여성이 남성보다 통일 관련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관련 연구와 대조적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북한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통일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적으로 보아 현재 한국인의 애국심은 북한을 적어도 편견과 적대의 대상인 외집단으로 여기게 하지는 않기에 통일에 대해 긍정적 함의를 갖고 있다. 맹목적 애국심 또는 내셔널리즘도 부정적 영향이 두드러지지 않은 만큼, 통일 과정에서 애국심과 건설적 애국심은 더 강하게 고양되어야 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South Korean patriotism, one of the main elements of national identity, for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dataset. It made the following observations: First, most respondents take pride in being a Korean as well as in the country’s political, economic, technological, and cultural achievements and its history while less than the majority do not in its armed forces and fair and equal treatment of all groups in society. Second, patriotism in general as well as its specific forms such as constructive, blind, and symbolic patriotism and its related constructs such as nationalism and national identity, are all associated positively with age but negatively with education and family income. Third, patriotism and constructive patriotism in particular, lead one to view North Korea as a partner or someone who are dependent upon South Korea rather than as an enemy or someone we need to be cautious about, other things being equal. Neither nationalism nor blind patriotism seems to have any independent statistical effect on one’s image of North Korea. Fourth, patriotism and constructive patriotism seem to increase not only one’s preference toward reunification in general but also toward specific policies while blind patriotism does not seem to have any significant effect. Finally, women are more like to have negative attitudes about reunification. And older generations are more likely to favor reunification, which is in contrast with previous findings. In sum, the current patriotism of South Koreans does not seem to lead them to view North Korea as out-group or the object of prejudice and antagonism. In addition, even blind patriotism and nationalism does not have any discernible negative effect upon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Hence, the promotion of patriotism and constructive patriotism in particular should be encouraged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