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급성 출혈성 직장 궤양에 의한 직장 출혈

        최길순 ( Gil Soon Choi ),유준환 ( Jun Hwan Yoo ),신성재 ( Sung Jae Shin ),이기명 ( Kee Myung Lee ),함기백 ( Ki Baik Hahm ),김진홍 ( Jin Hong Kim ),김장희 ( Jang Hee Kim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5

        출혈성 직장 궤양 증후군은 하부 위장관 출혈의 매우 드문 원인이다. 그러나 심각한 전신 질환을 동반한 노인에게서 복통 없이 갑작스러운 대량의 선홍색 혈변을 보일 때 혈변의 원인으로 급성 출혈성 직장 궤양을 고려해보는 것은 중요하다. 출혈성 직장 궤양을 인식하고 있다면 불필요한 검사를 피하고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함으로서 환자의 예후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하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지되지 않아 아직까지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는 급성 출혈성 직장 궤양 증후군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hemorrhagic rectal ulcer syndrome (AHRUS) is characterized by the sudden onset of painless, massive, fresh rectal bleeding in elderly or bedridden patients with serious underlying illnesses. With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s, and improved survival in critically ill patients, the incidence of AHRUS has increased in Japan and Western countries in recent years. However, AHRUS remains a controversial disease entity and has not yet been documented in Korea. Here, we present a case of AHRUS to highlight this uncommon disease entity as a potential etiology of massive rectal bleeding in critically ill patients. (Korean J Med 75:577-581, 2008)

      • SCIESCOPUSKCI등재

        식도열공 헤르니아가 동반된 위암 환자에서 위아전절제술 1년 후에 발생된 단분절 바렛식도

        권혁춘 ( Hyeok Choon Kwon ),이광재 ( Kwang Jae Lee ),김장희 ( Jang Hee Kim ),유준환 ( Jun Hwan Yoo ),최재명 ( Jae Myung Choi ),신성재 ( Sung Jae Sin ),정재연 ( Jae Yeon Chung ),함기백 ( Ki Baik Hahm ),김진홍 ( Jin Hong Kim ),조성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1

        Barrett`s esophagus is characterized by replacement of esophageal squamous epithelium with specialized intestinal metaplasia as a consequence of long standing gastro-esophageal reflux. It is a major risk factor for esophageal adenocarcinoma. With regard to the pathogenesis of Barrett`s esophagus other than acid reflux, hiatal hernia and duodenogastroesophageal bile reflux are implicated. According to several previous reports, acid reflux associated with bile reflux has been suggested to be a major risk factor for Barrett`s esophagus. This case study reports a patient with Barrett`s esophagus which developed one year after subtotal gastrectomy with gastroduodenostomy due to gastric cancer. Before the operation, the patient had a hiatal hernia but no Barrett`s esophagus. This case represents a significant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Barrett`s esophagus when acid reflux is combined with duodenogastroesophageal bile reflux.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77-80)

      • KCI등재후보

        심장외막지방과 대사 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백승희 ( Seung Hee Baik ),안성균 ( Sung Gyun Ahn ),최정현 ( Jung Hyun Choi ),고보람 ( Bo Ram Koh ),유준환 ( Jun Hwan Yoo ),강수진 ( Soo Jin Kang ),최병주 ( Byoung Joo Choi ),최소연 ( So Yeon Choi ),윤명호 ( Myeong Ho Yoon ),탁승제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3

        목적: 저자 등은 1) 심장외막지방과 대사 증후군과의 연관성과 2)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3) 심장외막지방과 인슐린 저항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처음 관동맥조영술을 시행 받은 289명을 대상으로 경흉부 심초음파을 이용한 심장외막지방의 두께 및 인체 계측,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 시 혈당, 공복 시 인슐린, CRP, 섬유소(fibrinogen), 요산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1) 대사 증후군의 환자군(185명, 64%)에서 심장외막지방의 두께가 의미있게 두꺼웠다(평균 4.3±2.5 mm vs. 평균 3.6±2.8 mm, p=0.005). 2) 심장외막지방 두께의 중앙값인 3.4 mm을 기준으로 환자를 두 군으로 분류하여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들을 비교해 보았을 때 두꺼운 군에서 대사 증후군 동반 빈도가 높고, 대사 증후군의 구성요소의 유병률이 높았으며. 나이, 허리둘레, 총 콜레스테롤, log CRP 등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고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낮았다. 3) 대사 증후군의 여부에 따라 심장외막 지방의 ROC curve를 분석하여 심장외막지방의 두께 3.2 mm가에서 민감도 58%, 특이도 58%를 보여 가장 신뢰성 있는 cut-off 수치였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심장외막지방의 두께가 0.1 mm 증가할 때마다 대사 증후군의 유병률이 1.78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4) 나이, 허리둘레,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log CRP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들 중 나이, log CRP는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하여 심장외막지방의 두께와 독립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비 당뇨 환자군에서 인슐린 및 HOMA-IR score도 심장외막지방의 두께와 연관이 있었다. 결론: 경흉부 심초음파로 측정한 심장외막지방의 두께는 대사 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와 연관성을 보였고, 인슐린 저항성과도 관련성을 보여 앞으로 내장 지방의 새로운 지표로서 대사 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을 예측하는 새롭고 부가적인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Increased adiposity is widely accepted as the main expression of obesity and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syndrome. The significance of epicardial adipose tissue (EAT), frequently observed during a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ic examination, is not well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EAT to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ethods: We collected clinical, biochemical, and anthropometric information from 289 consecutive and prospective patients (147 men; 59±11 years) who visited our hospital for a complaint of chest pain. EAT thickness was measured by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on the free wall of the right ventricle in the parasternal long axis and short axis views at the base level during end-diastole. Results: EAT thick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185 (64%)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s compared with patients without metabolic syndrome (4.3±2.5 mm vs. 3.6±2.8 mm, p=0.005). By a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AT was correlated to age (r=0.484, p<0.001), waist circumference (r=0.177, p=0.01), the level of HDL cholesterol (r=-0.182, p=0.001) and log CRP (r=0.268, p=0.012).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ge and log CRP w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correlated to EAT thicknes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chocardiographic EAT should be considered as a new useful imaging indicator of visceral adipose tissue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Korean J Med 72:290-297, 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