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15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인구교육 적용 방안 -가정영역을 중심으로

        이수정 ( Sujeong Lee ) 한국인구교육학회(구 인구교육센터) 2015 인구교육 Vol.8 No.-

        본 연구는 2015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가정영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와 관련하여 인구교육 요소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교과서 및 교육에서 어떤 방향으로 실천할 수 있을지 그 방안을 모색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실과(기술·가정)의 가정 영역의 경우 성격, 목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영역에서 인구교육 관련 내용이 고루 반영되어 있었다. 둘째, 20105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요소 중 윤인경 외(2015)의 연구의 4개 대영역(인간존중, 가족, 인구, 복지)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영역은 가족 영역이었고, 다음으로는 복지, 인간존중의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실과의 경우는 인간존중의 영역 중 평등(성평등), 가족 영역 중 가족의 의미와 변화(건강한 가족)와 관련된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으며 중학교 기술·가정의 가정영역의 경우 인간존중의 경우 평등(성평등), 가족 영역의 경우 가족의 의미와 변화(가족구조의 변화), 결혼(결혼의 의미), 복지 영역의 경우 공적 대비(제도 및 정책- 진로설계와 직업준비), 사적대비(제도 및 정책 - 가족친화 정책, 생애설계와 노후 준비)와 관련된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그리고 고등학교 기술·가정의 가정영역의 경우 가족 영역의 경우 가족 영역과 관련하여 결혼(결혼의 의미, 배우자 선택), 출산과 양약(부모됨, 양육), 복지 영역과 관련하여 공적 대비(제도 및 정책-진로설계와 직업준비), 사적대비(제도 및 정책 - 가족친화 정책, 생애설계와 노후 준비)과 관련하여 중학교보다 심화된 내용을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15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경우 변화하는 가족,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게 되므로 교과의 성격과 목표 특성 상 인구교육과 관련된 내용 요소,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와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수업에서 이와 관련된 요소들이 실천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교수·학습 매체 등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이를 위해서는 학생 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 사례 개발, 신문기사, 방송 등 다양한 자료 및 외국 사례 등을 통한 자료 개발, 최신의 통계자료 등을 통해 저출산·고령사회에 대한 문제 인식 제고,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정부부터의 저출산·고령사회 대비를 위한 교육 및 홍보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application of population education to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with respect to the nature, goals,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and ways in which it can be practiced in the textbook and education in the future.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population education was evenly applied to the nature, goals, content structur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subject. Second, among element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family showed the highest relevance to the four areas (respect for humans, family, population, welfare), in the study of Youn et al. (2015), followed by welfare and respect for humans. Third,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quality (gender equality) among areas of respect for humans, and, meaning and change of families (healthy family) among the areas of family were included, while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cluded equality (gender equality) among areas of respect for humans, meaning and change of families (change of family structure) and marriage(meaning of marriage) among areas of family, and public preparation(system and policy-career design and job preparation) and personal preparation(system and policy-family-friendly policy, life design,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areas of welfare. And the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cluded marriage (meaning of marriage, spouse choice), childbirth and parenting (parenting, raising children) among areas of family, and public preparation(system and policy - career design and job preparation) and personal preparation(system and policy - family -friendly policy, life design,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areas of welfare, which were more advanced tha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reflected changing families and society and, therefore, is highly relevant to the nature and goals of the subject in terms of content, elem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related to population education. Therefore, for the relevant elements to be taught in classes, research for developing various teaching -learning methods and media needs to be conducted.To do so,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student life and relevant materials can be developed based on relevant news articles, media coverage, data, overseas cases, and statistics, in addition to the government's education and promotion to battle the low birthrate and aging society.

      • 초등학교 3~4학년군의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내용 분석

        김정숙 ( Kim Jung Suk ) 한국인구교육학회(구 인구교육센터) 2018 인구교육 Vol.11 No.1

        본 논문은 빠른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초등학교 3∼4학년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이 교육과정 안에서 잘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유럽식 상호문화교육을 분석하여 다문화교육의 보완요소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도덕 교과서의 사진, 삽화, 이야기의 상황 등이 편견을 가질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 다문화교육은 특정 계층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임을 분명히 해 둘 필요가 있다. 둘째, 3, 4학년 도덕과 다문화 관련 상호문화교육 내용 요소 중 문화, 다양성, 협력과 같은 내용들은 교과서에 잘 반영되었다고 생각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정체성, 평등성이나 반편견에 관한 내용들은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우리나라의 다문화적 상황을 교사와 학생들 모두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천학습 활동이나 자료가 보충되어야 하겠다. 셋째, 교사들에게 다문화교육과 다른 교육적 대안을 가지고 다문화사회를 진단하는 상호문화교육에 관해 인지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연수가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상호문화교육 분야의 연구는 그 수가 적고 다양하지 않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교과서의 내용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앞서 지적한 부분들이 보완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도덕과교육에서 상호문화교육의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탐색해나가야 하며, 초등학교 다문화교육은 교과서 이외에도 관련된 지원정책이나 자료를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실제 학교 수업에서 실행되고 있는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가 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3~4th grade moral textbook is well implemented in the curriculum of Korea which is entering into a fast multi-cultural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European intercultural education, which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recently, can contribute to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photographs, illustrations, and the situation of the stories of the moral textbooks were chosen to be prejudiced. It is necessary to make it clear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only targeted at a specific subject but is an all subject. Third, I thought that contents such as culture, diversity and cooperation among contents elements of mo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related to multi-culturalism in 3~4th grade were well reflected in textbooks, but I thought that the contents about identity, equality and anti-prejudice were insufficient. A variety of 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and materials should be supplemented so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can recognize the multi-cultural situation in Korea. Fourth, education programs and training should be constructed to recognize teachers' intercultural education that diagnoses multi-cultural society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other educational alternatives. However, research in the field of mutual cultural education is limited in that the number is small and divers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ursue the possibility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by continuing researches so that the above mentioned points can be supplemented with studies on the contents of textbook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s actually carried out in school class, since it can be done through policy or data.

      • 교사의 인구교육 전문성 향상에 대한 연구 -수업 관찰·평가 능력을 중심으로-

        유종열 ( Yu, Jongyoul ) 한국인구교육학회(구 인구교육센터) 2015 인구교육 Vol.8 No.-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인구교육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구교육(수업)에 대한 관찰 및 평가능력을 키워야 함을 이론적·실천적으로 검토하고 그 타당성을 주장하였다. 수업 관찰과 평가는 친근한 것에서 이질적인 것으로 진행해야 하며, 내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공간에서 출발해야 한다. 따라서 나의 수업에 대한 반성이 선행되어야 하며, 그리고 나서 같은 공간에서 수업을 전개하는 동료 교사의 수업에 대한 관찰과 평가, 그 이후에 다른 학교·학교급·학년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관찰·평가하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찰·평가를 바탕으로 자신의 수업을 다시 반성적으로 성찰해 보는 선순환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와 함께 인구교육(수업)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인구교육 관련 수업을 관찰·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교원 양성기관, 임용과정, 재교육기관에서 제도적으로 보장하여야 하며, 인구교육 관련 수업 공개와 멘토링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교사 자신이 스스로 수업 관찰자 겸 평가자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The research studied the theoretical, practical necessity and validity of enhancing the ability to review and assess population classes in order to improve social studies teachers' professionalism m population education. The research also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institutionaliz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opulation classes review and assessment in the field of teacher training schools, teacher appointment process, and re - education organization.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population eduction should be positively supported with demonstration classes and mentoring programs. On top of that, it emphasized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should perceive themselves as both a class observer and evaluator of their own classes.

      • 소통하는 학교 문화를 위한 공론장의 역할: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을 중심으로

        박승현 ( Park Seung Hyun ) 한국인구교육학회(구 인구교육센터) 2018 인구교육 Vol.11 No.1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하버마스(Harbermas. J) 의 ‘공론장’ 개념을 통해 소통하는 학교문화를 진단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학교문화는 위계성, 관료성, 수직성 등의 경직된 은유로 교육 주체들에게 인식되고 있다. 이는 학교 민주주의를 방해하는 요소라고 말할 수 있다. 진보교육의 중요한 의제인 학교 민주주의화는 학교문화의 실질적인 변화가 없이는 현장에 착근되기 어려운 과제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소통하는 학교 문화가 곧 학교 민주주의화를 이루는 핵심 변수라는 것을 지적하고 이를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을 통해 진단 한다. 하버마스는 이성을 강조하지만 그 이성을 전면화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후퇴한 이성을 통해 보편적인 인간의 의사소통 과정을 해명하며, 이는 공론장에서 대등한 인격체들의 담론적 의사소통행위를 통해 그대로 드러난다. 교육의 과제는 이러한 담론적 의사소통행위에 참여할 리더들을 기르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현재 영재교육은 자연과학 영역에 치우쳐 있지만 인문 분야의 영재교육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인문 분야의 영재교육을 통해 길러진 리더들이 사회통합의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문 영재교육은 교육이라는 복합적인 영역 안에서도 훌륭한 리더를 요청하는 사회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제도이다. 소통하는 학교문화는 공론장의 역동성을 인식하고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사이의 다양한 갈등을 의사소통적 행위를 바탕으로 해결할 수 있는 행위 주체를 어떻게 길러낼 수 있는지의 문제와 연결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school culture communicating through the concept of 'public sphere' of Harbermas.J and to suggest alternatives. School culture is perceived by educational subjects as rigid metaphors such as hierarchy, bureaucracy, and verticality. This can be said to be an obstacle to school democracy. School democratization, which is an important agenda of progressive education, is a task that is difficult to integrate into the field without substantive changes in school culture. Based on this consciousness,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school culture that communicates is a key variable for school democratization and diagnoses it through Habermas' communication theory. Habermas emphasizes the reason but does not prioritize the reason. In other words, through the retreating reason, the process of universal human communication is clarified, and this is revealed through the discursive communicative action of equal personalities in the public sphere. It can be said that the task of education is to raise leaders to participate in these discursive communication activities. Currently, gifted education is concentrated on the natural sciences, but the role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is also very important. This is because leaders raised through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re likely to play a key role in social integration. Therefore, humanities gifted education is a system that can reflect the demands of a society that demand good leaders even in the complex area of e d ucation. The communicating school culture is connected with the question of how to raise the people who can recognize the dynamics of the public sphere and solve various conflict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based on communicative actions.

      •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과서 인구 교육 내용 분석

        윤인경 ( Yoon In Kyung ) 한국인구교육학회(구 인구교육센터) 2015 인구교육 Vol.8 No.-

        본 논문은 인구교육에 대한 실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교 인구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고등학교 가정과학 2개의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인구 교육의 내용을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해당되는 내용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2009 개정 교육과정 가정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인구교육 내용 반영 분석 결과, ‘인간존중’ 영역과 관련된 내용은 인권과 평등이 있고, ‘인구’영역과 관련된 내용은 저출산과 고령화가 있고, ‘가족’영역과 관련된 내용은 변화하는 가족, 출산과 양육, 고령자가 있고, ‘복지’영역과 관련된 내용은 지원제도와 직업이 있다. 또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자료 유형은 본문이고 가장 적은 분량을 차지하는 자료 유형은 탐구활동으로 나타났다.‘인간존중’영역의 경우, 인권 영역에서는 고령자의 인권, 평등 영역은 성평등에 해당되는 내용이 제시되었다. ‘인구’영역의 경우, 인구변동 영역의 내용은 제시되지 않았고, 저출산 영역은 저출산의 전망, 고령화 영역은 고령하와 고령화 사회, 고령화의 전망에 해당하는 내용이 제시되었다. ‘가족’영역의 경우, 변화하는 가족 영역은 다양한 가족, 가족원의 역할 내용이 제시되었고, 출산과 양육 영역은 부모됨, 양육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었으며, 고령자 영역은 고령자에 대한 이해, 노년기 준비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었다. ‘복지’영역의 경우, 지원제도 영역은 출산·양육 지원 제도, 건강가정 지원제도, 고령자 지원제도와 관련된 내용이 제시되었고, 직업 영역은 직업 세계의 변화와 관련된 내용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contents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based on the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s in order to examine the degrees of actualization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performed on high school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s from two different publishing companies.The result reveals that The domain of 'respect for human', 'population', 'family', 'welfare' were presented in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s. And from the data type in the textbook is occupying the largest amount of the text(body), it takes the least amount of the exploration activities.Moreover, In case of 'respect for human', the contents related to rights of the elderly in the domain of 'human rights', the contents related to gender equality in the domain of 'equality ' were presented in textbooks. In case of 'population',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omain of 'population fluctuation' were not presented, but the contents related to view of the low birthrate in the domain of 'low birthrate', the contents related to aging and aging society, view of the aging in the domain of 'aging' were presented in textbooks. In case of 'family', the contents related to variety of family, role of family members in the domain of 'changes in family', the contents related to being parents, nurture in the domain of 'childbirth and nurture', understanding the elderly, prepare to the elderly in the domain of 'the elderly' were presented in textbooks. In case of 'welfare', the contents related to childbirth. nurture support-system, healthy family support-system, the elderly support system in the domain of 'support-system', the contents related the change the world of work in the domain of 'vocation' were presented in textbooks.

      • 청소년의 결혼·출산관 연구

        차우규 한국인구교육학회(구 인구교육센터) 2015 인구교육 Vol.8 No.-

        본 연구는 2015년 10월 8일부터 10월 21일까지(2주간)에 걸쳐 전국 1,179명의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우편조사를 통해 청소년들의 결혼관과 출산관을 성별과 학교급·학년별로 살펴보았다. 설문 문항은 결혼관(6개 문항), 출산·자녀관(7개 문항) 등 2개 영역에서 총 13개이다.설문 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결혼관과 관련해서는 (1)향후 결혼할 의사가 있다고 한 경우는 약 73%였고, 이는 2011년 조사에서 나타난 약 68%의 경우보단 약5%정도 다소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성별로 비교해 보면, 여학생(71.2%)보다는 남학생(74.8%)이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2)결혼 문화와 관련해서 볼 때, 호화로운 결혼식보다는 대체로 착한 결혼식(약 62.5%)을 선호하고 있으며, ‘남자는 집 여자는 혼수’라는 전통적인 결혼문화 관련해서도 대체로 반대하는 입장(약73.8%)을 나타냈다. (3)’남편은 돈을 벌고, 아내는 가정과 가족을 돌본다’라는 전통적 가정에서의 남녀역할관에 대해 부정적 입장(약81.7%)이 강하였고, 여학생의 경우 더욱 부정적 입장(약91.3%)이 강하였다. (4)’남자들의 더 많은 가사 참여 요구’에 대해서는 긍정적 입장이 약67.2%로 다소 낮은 편이며, 특히 남학생의 경우 61.6%로 더욱 낮음 편이다. 하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인 응답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중1은 62.4%, 중2는 61.4%, 중3은 62.7%, 고1은 73.4%, 고2는 78.1%). (5)결혼보다는 자기가 하고 싶은 공부나 일을 우선시하는 태도는 약 63.2%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여학생(76.2%)의 경우 남학생(63.2%)보다 매우 큰 편이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이러한 성향은 점점 커지고 있다(중1은 54.5%, 중2는 60.2%, 중3은 65.2%, 고1은 66.5%, 고2는 74.2%).다음으로, 출산·자녀관과 관련해서는 (1)반드시 자녀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 55.1%이지만 2011년 49.7%에 비하면 다소 향상된 수치이다. 하지만 여학생의 경우에는 49.7%로 절반 이하로 떨어져 있는 점이 다소 우려된다. (2)’자녀가 없어도 된다는 이유’와 관련해서는 ‘내 일에 전념하고 싶어서’(29.8%)가 가장 높으며, 그 다음이 ‘자녀에 대한 양육비와 교육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26.8%)로 나타났다. (3)’부모됨의 가치’와 관련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입장(약91.7%)을 취하고 있으며, 남녀간 차이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자녀가 있으면 노년에 덜 외롭다’와 관련해서는 대체로 긍정하는 입장(79.1%)이지만, (5)’노후에 자녀에게 경제적 도움을 받을 수 있다’에 대해서는 긍정적 입장이 다소 낮은 편이고(68.4%), 여학생의 경우 더욱 그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61.8%). (6)’자녀는 갖는 것이 사회적 의무’와 관련해서는 낮은 긍정적 입장(51.7%)을 취하고 있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절반 이하로 떨어져있다(46.8%). (7)자녀양육에 있어서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자녀를 더 잘 키운다’는 입장에 대해서는 남녀 모두, 학년별 차이 관계없이 과반수가 반대하는 입장(64.3%)을 취하고 있다.

      • 맬서스 인구이론과 현대 인구변천이론의 비교 고찰

        표석환 ( Pyo Seok-hwan ) 한국인구교육학회(구 인구교육센터) 2018 인구교육 Vol.11 No.1

        인구이론은 인구현상의 분석과 진단을 통한 적정 규모의 인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구현상이 초래할 문제점들을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인구이론은 현실의 인구현상이 지닌 문제점들의 분석·진단을 통해 현실을 개선할 대책을 제시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맬서스 인구이론과 현대 인구변천이론을 중심으로 한 기존 인구이론의 배경과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실제 인구현상에 적용해 봄으로써 인구이론의 동향을 개괄적으로 제시하고 인구이론의 실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Population Theory aims at preventing the problems caused by population phenomenon and achieving sustainable social development by making it possible to maintain the appropriate size population through analysis and diagnosis of population phenomena. Population theory is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the actual population phenomenon, and the main function is to offer measures to improve the reality through diagn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main contents of the population theory based on Malthusian population theory and modern population transition theory.

      • 귀국학생 지도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전세경 ( Jeon Se Kyung ) 한국인구교육학회(구 인구교육센터) 2018 인구교육 Vol.11 No.1

        이 연구는 귀국학생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관심을 제고하고 실제적인 교육적 지원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귀국학생을 지도하는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귀국학생 지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요구나 지도 실태를 바탕으로 초·중등학교 급별로 연수 시간을 고려한 교과목 주제의 구성, 개요, 운영 방안을 담은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귀국학생을 위한 교육 서비스의 효율성, 적합성을 고려할 때 귀국학생을 직접 담당하는 교사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법은 여러 대안 중 의미있는 접근이 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수 프로그램은 직접적으로 교사를 지원하는 구체적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수 결과 대부분의 교사는 연수내용, 방법 등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통계분석에 의한 양적평가 뿐 아니라, 질적평가로서 연수 프로그램의 좋았던 점과 개선방안을 검토함으로써 연수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aise social and national interest in returning students and to explore practical educational support measures. In particular, we developed a training program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eachers to teach returnees a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Based on the needs and guidance of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eaching the students, we have developed a training program that includes the composition, outline, and operation plan of the su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training tim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lass. And to verify the effect. Considering the efficiency and suitability of educational services for returnees,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eachers directly responsible for returnees can be a meaningful approach among many alternatives. Therefore, It would be a concrete way to support it. As a result of the training, most teachers showed high satisfaction in contents and method of training. In addition to the quantitative evaluation by statistical analysis, the quality of the training program has been improved and the improvement of the training program has been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