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학습의 날’의 운영에 관한 연구

        유제순(Yoo Je 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1970년대에 우리나라 전국의 초등학교에서 실시되었던 ‘자유학습의 날’ 의 운영내용, 운영방법, 운영의 실효성 및 문제점 등 운영의 실제를 탐구하고, 그것이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 운영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가를 고찰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자유학습의 날은 학습에 대한 과중한 심리적 부담을 겪고 있던 초등학생들을 위해 처방된 제도로서 교실수업 체제의 변화를 도모한 아동중심 교육과정, 통합적 · 창조적 교육활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이 제도는 학생의 자율적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촉진하고, 교사들의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의 경험을 통해서 전문성을 고양하는 기회를 부여한 활동이었다. 자유학습의 날은 취미, 스포츠, 실기 · 노작, 새마을 교육, 현장학습 활동으로 그 영역이 대별되었다. 그리고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과정으로 내용을 조직하여 직접 경험을 강조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운영은 학교 단위나 학년 단위로 일주일 중 어느 하루를 책가방 없이 자유롭게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부담을 경감시키는 데 기여를 했으나, 제도의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부담감,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의 부족, 교육여건의 불비 등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실행되지는 못하였으며, 이후 현행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계승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의 적절성의 담보, 교과의 통합적 조직 · 운영,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발 ·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practices of implementation of Free Study Day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reduce excessive psychological burden on the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1970s, the Ministry of Education imposed Free Study Day on elementary schools. It is characterized by student-centered curriculum, integrated and creative activities of education. Also, It focused construction of learning contents on students direct experiences, facilitat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s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 day, there were a simultaneous implementation for a school or distributed one for each grade school. For the implementation day of the week, Saturday was the most, followed by Wednesday. Students reduced excessive psychological burden, a pleasant school life was achieved with a day of no book bag. And teachers grew their experience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But it was not continuously implemented due to some problems including insufficient materials, teachers burden on the plan for implementat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need to find implica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책가방 없는 날"의 교육과정상의 의미와 시사점 탐색

        유제순 ( Je Soon Yo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전국의 초등학교에서 실시되었던 ‘책가방 없는 날’의 교육과정 개발·실행 측면에서의 의미와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당시 보고된 연구자료와 문헌자료를 분석하였고, 구술사 방법도 활용하였다. 책가방 없는 날은 교과서 중심의 학교교육 체제의 전환과 교육개혁 방안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 모범, 직접적인 경험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자유학습의 날의 부활, 통합 교육과정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교육내용과 방법의 다양성 추구, 초등학생들의 적성·소질의 발현과 학습주재 능력의 배양,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실행의 전문성 신장에 교육적 의의를 둔 제도였다. 당시 교사들의 경험에 의하면, 책가방 없는 날은 학생들에게는 다양한 체험중심의 즐거운 학습활동을 전개하는 날로서 수업주체의 전환을 시도한 제도였다. 그러나 프로그램 개발·실행상의 문제 때문에 교사들의 심리적 부담이 컸고, 인프라의 불비 등으로 인하여 본래의 의도대로 충실히 실행되지 못하였다. 또한 교과와 특별활동을 단순히 병합한 낮은 수준의 주제중심 통합 교육과정으로 실행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제고와 교육과정 전문성 신장, 직접 경험을 통한 학생들의 주체적 학습과 적성·소질의 발현을 강조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활성화,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교육과정 통합적 실행의 확대를 시사점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ased on exploration of meanings of curriculum in ``Schoolbag free day``. In order to get out of textbooks-base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1990s, the Ministry of Education imposed Schoolbag free day on schools. It is characterized by the change of textbook-based school education, an exemplificative models in order to embody the plan of educational reform, the restoration of Free Study Day, integrated curriculum. It focused on pursuit of diversified contents and methods for education, manifestation of the students` aptitudes and talents,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promotion of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udents pleasantly participated in learning activities. However, it was not satisfactorily implemented due to teachers` burden 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Also, it was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s, but a low level. In the result of this exploration, I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namely improvement of the teachers` concerns about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extension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urriculum, activ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expans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 KCI등재

        중학교 교육과정의 개선 과제와 방안 탐색 : 학생 삶의 내러티브적 접근

        유제순(Je-Soon Yoo),전호재(Ho-Jae Jeon),김동원(Dong-Won Kim)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교육과정의 개선 과제와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교육과정 차원에서 현행 중학교 교육의 방향, 자유학기(학년)제, 중학교 교육의 개선측면에서의 선행연구 등을 분석하였고,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교육은 성공적인 학교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자유학기제 등에서 여러 긍정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긴 해도, 중학교 교육은 교육의 정체성과 위상을 확고히 하는 것과 더불어 질적 개선의 필요성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교육의 위상을 재정립할 필요성과 더불어 개선의 지향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본적인 교과 탐구 능력의 개발, 소질과 적성을 고려한 진로탐색 촉진, 주체성 및 문화이해 능력 발달 지원, 공동체 시민 역량 함양 교육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improvement tasks and plans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o do this, the current middle school curriculum was analyzed in various approaches. In terms of the current direction of middle school education, the free semester(grade), and improvement and innovation of middle school educ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n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Middle school education strives to realize a successful school education. In particular, the recent free semester has undergone many positive changes. However, in the course of this change, middle school education has emerged the need for definitizing the identity and improving its quality.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field expert’s opinions, the identity and status of middle school education were re-established and the direction of innovation was suggested. In addition, a specific reform plan for middle school education was proposed as follows: First, develop basic subjects inquiry competence. Second, promotes career exploration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talent and aptitude. Third, supports the development of subjectivity and cultural understanding competence. Fourth, enhance community citize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