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북아시아 초기 쪽구들의 발생과 전개

        유은식(Yoo, Eun-shik) 중부고고학회 2015 고고학 Vol.14 No.3

        본고는 동북아시아 초기 쪽구들의 발생과 전개과정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재검토하고자 작성되었다. 초기 쪽구들 발생에 대한 학계의 인식은 압록강 중하류지역, 중국 동북지방, 한・중・러 국경지역 등 어느 한 지역에서 발생하여 주변지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보고 있으나, 검토결과 출현기 초기 쪽구들은 지역 단위로 평면형태, 고래 수, 축조재료 등이 다르고 주거지의 평면형태도 차이가 있다. 출현시점도 대략 기 원전 3세기경으로 추정되므로,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았다. 동북아시아의 초기 쪽구들을 몇 가지의 구조속성으로 형식분류하여 시간성을 파악하는 기존의 연구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초기 쪽구들의 계통과 지역성을 보여주는 주거지 평면형태와 고래부 길이를 기준으로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즉 A1류는 (장)방형주거지에 고래부 길이가 짧게 축조된 유형이며 한반도 서북한지역과 압록강 중류지역에서 확인된다. A2류 역시 (장)방형주거지에 시설되는 점은 A1류와 공통되나 고래부 길이가 길고 주거 벽 한면 또는 여러 면 전체를 감싸는 형식이며, 한・중・러 국경 지역과 자바이칼 지역 등에서 확인되고 있다. B류는 원형주거지에 축조되어 고래부가 弧狀을 띠는 형식 이다. 마지막으로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쪽구들의 계보에 대해서는 쪽구들의 구조와 토기문화를 함께 고찰 하여, 남부지역에는 동북아시아 쪽구들 B류가 확산된 것으로 보았고, 중부지방에는 동북아시아 쪽구들 A2류가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at re-examining the existing opinion about the occurrence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early ondol in the Northeast Asia. Academic circles’ perception of ondol occurrence is that it came out at a certain area, such as the border the mid-downstream area of the Yalu River, Korea, north-eastern district of China, , and the border area between Korea, Russia and China, and spread to its neighboring areas; however, examination results show that the early ondol differs in plane shape, numbers of flues of a hypocaust, materials of construction, and even the plane shape of a shelter according to a regional unit, and the time of its appearance is estimated to be around the 3th century B.C; hereupon, this study judged that ondol came out simultaneously in many areas. This study pointed out problems in the existing research which has the tendency to grasp temporality by doing form classification of the early ondol through several sorts of structure attributes, and classified the early ondol into 3 sorts of types on the basis of the plane form of a dwelling and length of the flue part of a hypocaust which show the genealogy and regionality of the early ondol. In short, A1 class is identified in the northwestern distric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idstream district of the Yalu River, together with a short form of the flue part of a hypocaust in a square(rectangular)dwelling; in case of A2 class, the fact that it was installed in a square(rectangular)dwelling is common with A1 class, but the flue part of A2 class ondol is longer than A1 class, and envelops the whole of a facet of the dwelling walls; in addition, it is identified at the border area between Korea, Russia and China. B class was built in a circular dwelling, having the bent form of a flue part of a hypocaust. Lastly, as for the genealogy of the ondol in the central-southern districts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judged B class ondol in the far eastern district spread to the souther district through consideration of both structure of ondol and earthenware culture, and also this study could identify that A2 class ondol in the far eastern district had an influence on the central district.

      • KCI등재

        두만강유역 초기철기문화의 변천과 연대

        유은식(Yoo, Eunsik) 한국상고사학회 2009 한국상고사학보 Vol.64 No.-

        한반도 동북한 지역을 비롯하여 중국 동북지방 동남부, 연해주 중남부지역의 초기철기문화는 나무그루형(柱狀) 파수가 부착된 재지적인 적(흑)갈색계 무문토기의 소성·시루의 공반, 철제 생산도구의 미약, 마제석기의 성행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문화는 철기 및 쪽구들(온돌)의 계통문제, 한반도 중부지방 원삼국문화와의 관련성 문제와 연결되어 있어 최근 학계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선행 연구자간 유적의 편년과 절대연대 비정에 있어 많은 이견을 보이고 있다. 특히 두만강유역 초기철기문화의 상한연대에 대해서는 연구자간에 최대 500년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시급히 해결해야 할 연구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염두에 두고 이 글은 두만강유역 초기철기문화의 편년과 절대연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심발형토기, 대옹, 두형토기, 시루의 형식을 분류하고, 두만강중하류역권, 綏芬河流域圈, 동해안지역 등 각 지역별로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금까지 방사성탄소연대에 의해 실연대를 구하는 방법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주변지역과의 병행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두만강유역 초기철기문화의 상한연대는 청동기후기 柳庭洞類型의 하한연대, 長脚豆土形土器의 출현양상을 통해서 기원전 4세기 말~3세기 중엽 이전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두만강유역 초기철기문화의 중심시기를 무산 호곡동 6기 출토 철기와 오수전의 연대를 검토하여 기원전 2세기~1세기 중엽으로 보았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두만강유역 초기철기문화는 청동기후기의 재지문화(柳庭洞類型)에 중국 燕의 철기문화가 파급되어 성립한 문화임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arly Iron Age culture around the southeastern area if the northeastern China and the central and southern Primorsky Kray area as well as the nor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can be summarized as the baking of regional red(black0 plain pottery with the handle in the shape of a trunk of a tree, the accompaniment of earthenware steamers, the lack of the instrument for iron instrument production and the prevalence of polished stone instruments. This early Iron Age culture has recently come into spotlight since it is related with the issue of the system of iron instrument and ondol(jjoggeudeul, which means a partial heating ondol) and the issue of the connection with the culture of the Proto-three-kingdom culture of the central are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re are so much different opinions so far. Particularly, there is a maximum difference of 500 years in the oldest age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on the basin of the Duman river, so the controversy should be promptly solved. Taking these issues into consideration, I aimed at the dating and the calculation of the absolute age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on the Basin of the Duman river in this paper. First, I classified the forms of deep bawl, large jar, plain pottery with foot and earthenware steamer, and I reviewed the transgression of them by each region such as the middle and lower basin of the Duman river, the basin of Suifunhe[綏芬河], the east coast area and so on. In addition, I indicated the problem in the methodology with the peripheral area.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oldest age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on the basin of the Duman rover was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B.C to the latter half of the 3rd century B.C as I calculated by the comparison with the youngest age of the Yujeo-dong[柳庭洞] type in the late Bronze age and the aspect of the appearance of plain pottery with long foot, and I dated the most brilliant era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on the basin of the Duman river as from the 2nd century B.C to the middle of the 1st century(B.C.) as I reviewed the iron instrument and Wu-shu coin excavated from No.6 remains in Hogok-dong, Musan.

      • KCI등재

        두만강유역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의 변천과 확산양상

        유은식(Yoo Eunshik)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이 글은 한·중·러 국경지역의 두만강유역, 綏芬河流域, 러시아 연해주 남부지역에 분포하는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와 중부지방 중도유형문화의 관련성을 적극 수용하는 입장에서작성되었다. 먼저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의 출현지였던 두만강유역의 변화양상과 지역성을살펴보기 위해서 북한에서 발굴보고된 자료를 비롯하여 그동안 연구자들이 크게 주목하지않았던 북한학자의 지표조사 자료, 일제강점기의 수집·발굴 자료,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인 유리건판 자료 등을 새롭게 검토하였다. 두만강 중상류지역(내륙지역)은 청동기 후기 柳庭洞類型에서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로 변화하지만, 두만강 하류지역(동해안지역)은 얀콥스키 문화가 쇠퇴한 후에 단결-크로우노브카문화가 유입되었다. 이것은 자연지리 환경의 차이와 함께 두만강유역 초기철기문화의 지역성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는 내륙지역에서 동해안지역으로 확산된다. 중국과 연해주의 수분하 수로를 따라 동해안으로 확산되는 루트와 무산, 회령, 종성 일대에서 나진, 웅기 일대로확산되는 두만강루트가 상정된다. 또한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요소는 牧丹江 중류지역의東興文化와 河口遺存, 삼강평원지역의 鳳林文化에서 확인되며 그 확산 시기는 기원전 2세기후반~기원전후, 기원후 3세기로 각각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도유형문화 유적에서 확인되는 단결-크로우노브카 토기를 통해서 동해안루트, 철령 및 추가령루트, 내륙루트 등을 상정하였고, 이 경로를 따라 두만강유역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가 한반도 중부지방으로 유입되었을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ctively accepted the relevance of the Tuanjie-Kroynovka Culture, which existed in the Tumen River basin of the border area of Korea, China and Russia, the Suifunhe basin(綏 芬河流域) and the southern part of the Maritime Province of Russia, to the Jungdo Type Culture of the central region of Korea. First of all,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and locality of the Tumen River basin, which was the birthplace of the Tuanjie-Kroynovka Culture, this paper examined the ground survey data of North Korean scholars which had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researchers so far, as well as the data excavated and reported in North Korea, the collection and discovery data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dry glass plate data kept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etc. The upper-middle reaches of the Tumen River(inland areas) changed from the Yujeodong Type(柳庭洞類型) in the late Bronze Age to the Tuanjie-Kroynova Culture. but the lower reaches of the Tumen River(east coastal areas) received the Tuanjie-Kroynovka Culture after the Yankovskiy Culture declined. This beca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locality of the Tumen River basin along with the differences in the natural geographic environment. The Tuanjie-Kroynovka Culture spread from inland areas to coastal areas. This paper assumed the route which spread to east coastal areas along the Subunha waterway in China and the Maritime Province, and the Tumen River route which spread from Musan, Hoeryong and Jongseong to Najin and Unggi. In addition, the elements of Tuanjie-Kroynovka Cultures are identified in Dongheung Culture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Mǔdānjiāng River(牧丹江), Hékǒu Type (河口 遺存) and Fènglín Culture(鳳林文化) in the Sān Jiāng Píngyuán(三江平原) region, and it is estimated that they spread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2nd century B.C. to around A.D. and after the 3rd century A.D. respectively. Lastly, this paper assumed east coastal route, Cheolryeong and Chugaryeong route, and inland route, etc. through Tuanjie-Kroynovka earthenwares and tools, which are found in the remains of the Jungdo Type Culture. Along these routes, the Tuanjie-Kroynovka Culture of the Tumen River basin entered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동북아시아 초기철기문화의 병행관계와 교류양상

        유은식(Eunshik Yoo)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6 No.-

        이 글은 동북아시아 초기철기문화의 변천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지역간 병행관계와 교류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수계와 고고문화적인 차이에 따라 제2송화강 중상류지역, 제1송화강 중류지역, 삼강평원지역, 흑룡강 중하류지역, 목단강 중하류지역, 한•중•러 국경지역으로 크게 구분을 하고, 시간성에 민감한 토기의 기종구성과 형식변화를 기준으로 지역 고고문화의 편년체계를 구축 하였는데, 특히 러시아 영내에서 확인되는 초기철기문화에 대해서는 종래의 연구보다 세분하였다. 동북아시아 초기철기문화의 병행관계와 연대 비정에 유용한 두형토기, 角狀把手土器, 시루 등의 토기류와 철부, 철촉, 五銖錢 등의 금속기 유물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초기철기문화는 크게 4기로 구분된다. 조기에는 우릴 문화 1기, 교남문화 1기가 확인되는데 철기가 공반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Ⅰ기에는 東康類型 1기, 團結-크로우노브카 문화 1기, 얀콥스키 문화 2기가 병행한다. 초기철기 문화 Ⅱ기 전반에는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 2기, 泡子沿文化 2-1기, 동강유형 2기, 東興文化의 병행관계가 성립되며, 초기철기문화 Ⅱ기 후반에는 폴체 문화 2기와 滾兎嶺文化가 동시기로 판단된다. 그리고 초기철기문화 Ⅲ기에는 폴체 문화 3기, 鳳林文化 1~2기, 연해 주 폴체 문화 1~2기, 河口遺存 등이 시기적으로 병행된다. 특히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2세기의 초기철기문화 Ⅱ기에는 광역 교류망과 소지역간 교류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의 사례로는 제2송화강 중상류지역의 포자연문화 요소가 흑룡강 중하류지역, 목단강 중하류역, 한•중•러 국경지역까지 영향을 준 것이며, 후자의 사례는 목단강 중하류지역과 한•중•러 국경지역, 삼강평원지역과 흑룡강 중하류지역 간의 물질문화의 상호작용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transition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in Northeast Asia, through which to examine inter-regional parallel relations and ex¬change aspects. First, this paper roughly did regional division of Northeast Asia into the mid-downstream area of the 2nd Songhuajiang, mid-downstream area of the 1st Song¬huajiang, Sanjiang Plain area, mid-downstream area of Heilongjiang, mid-downstream area of Mudanjiang, and border areas between Korea, China and Russia. Also, this pa-per constructed the regional close chronology system on the basis of type composition and form change of earthenware which is sensitive to temporality, and particularly, this paper subdivided Yril culture into 3 phases and Primorie Poltse culture into 2 phases. As a result of do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arallel relations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in Northeast Asia, and earthenware artifacts such as high-footed earthenware, horn-shaped handle earthenware, and earthenware steamer, etc. which are useful for comparative estimation of the chronicle, and relics in the metal age like iron tool and weapon, ironhead and Wuzhueqian(a kind of coins), the first phase of the Dongkang type in the first phase of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the first phase of Tu¬anjie-Kroynovka culture, and the 2nd phase of Yankovski culture were found to form the parallel relations. It was found that in the first half of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phase II, Tuanjie-Kroynovka culture phase II, Paoziyan culture phase II-I, and the Dong¬kang type wer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lso, it is judged that in the second half of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phase II, Poltse culture phase II and Guntuling culture might belong to the same period. In addition, in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phase III, Poltse culture phase III, Fenglin culture phase I~II, Primorie Poltse culture phase I~II, and relict estuary, etc. are found to b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chronologically. Lastly, this paper found that during the culture of early iron age phase II which wit¬nessed the most active interchange aspects between regions, Paoziyan culture ele¬ ments in the mid-downstream area of the 1st Songhuajiang had an influence on the mid-downstream area of Heilongjiang, mid-downstream area of Mudanjiang, the bor¬der areas between Korea, China and Russia.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mid-down¬stream area of Mudanjiang, border areas between Korea, China and Russia, Sanjiang Plain area, and mid-downstream area of Heilongjiang were brisk in their interaction of material culture, especially between small areas.

      • KCI등재

        한반도 북부지방 토기문화를 통해 본 중부지방 원삼국문화의 계통

        유은식(Yoo, Eun-shik) 중부고고학회 2014 고고학 Vol.13 No.3

        이 글은 중부지방 원삼국문화의 성립배경과 계통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재검토하고자 작성되었다. 국내 학계에서 서북한지역의 명사리형토기와 타날문토기 또는 세죽리-연화보유형의 토기문화가 중부지방으로 확산되어 원삼국문화가 성립되었다는 견해가 다수 연구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지만, 서북한지역의 토기문화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을 지적하고, 한반도 북부지방을 서북한지역, 압록강 중하류지역, 동북한지역으로 구분하고, 소지역별로 청동기후기~기원 전후까지의 토기문화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서북한지역 유적에서 기존의 이해와는 달리 점토대토기와 외반구연 무문토기가 공반하거나 화분 형토기와 무문토기가 함께 출토되는 양상이 확인되어 이 지역 토기문화가 단선적으로 변천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중부지방에서 화분형토기가 출토된 대성리 B지구 등의 유적군과 중도식무문토기와 낙랑(계)토기가 공반된 유적군을 비교검토하여 중도식무문토기의 서북한지역 기원설의 문제점을 재차 지적하였다. 최근 발굴보고된 함주 신하리유적에서 단결-끄로우노브까 토기와 서북한지역의 활석혼입계토기가 공반되는 양상을 통해 함흥 일대에서 양 지역의 토기문화가 혼합되어, 동해안 해안가와 추가령구조대를 따라 영동지역 및 영서지역으로 확산되어 소위‘중도유형문화’가 성립한 것으로 추론하였다. 또한 중도식 주거지의 형태, 쪽구들의 계통, 분묘 부재문제 등을 통해서 중부지방 원삼국문화의 기층문화는 동북한지역의 문화와 좀 더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was prepared to reexamine the existing opinion on the foundation background and the genealogy of the Proto Three Kingdoms culture in the central region. In the academic world, the opinion that the Myongsary type pottery in the west of North Korean region and the paddled pattern or the Sejukri-Yeonhwabo type pottery culture spreaded into the central region to establish the Proto Three Kingdoms culture is receiving the support from the majority of researchers, but close review had not be made on the pottery culture in the west of North Korearne g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nor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west of North Korean region, mid-downstream region of Amnokgang, and east of North Korean region,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pottery culture from the latter part of Bronze Age to the period of origin was examined for each smll aregions. On the southern region sites in west of North Korea, unlike the existing studies, the clay stripe pottery and the outward-lim pottery were associated and the flowerpot type pottery and the local plain pottery were confirmed to be excavated together, showing that the pottery culture in this region did not change in unilinear. Also, site group of Daeseong-ri B district excavated with the flowerpot type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site group associated with the Jungdo type pottery and the Lelang type pottery were reviewed comparatively to point out again the problem of the theory of the origin of the Jungdo type pottery in the west of North Korean region. As an alternative, through the aspect of the Duanjie-Grounovka pottery in the east of North Korean region in the Sinha-ri site of Hamju recently reported of excavation, and the talc-tempered pottery in the west of North Korean region associated, it was assumed that the pottery culture of both regions in Hamheung were mixed to be flowed into the Yeongdong region and the Yeongseo region through the Chugaryeong valley to establish the so-called ‘Jungdo type culture’. Also, through the types of the Jungdo type dwelling site, genealogy of the underfloor heating system, and the problems in the absence of graves, the basic culture of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central region was seen to have closer relation with the archaeological culture of the east of North Korean region.

      • KCI등재

        고고학자료로 본 沃沮와 挹婁

        유은식(Eunshik Yoo) 한국상고사학회 2018 한국상고사학보 Vol.100 No.-

        이 글의 목적은 고고학자료를 통해서 沃沮와 挹婁의 문화성격을 살펴보는데 있다. 고고학자료를 이용하여 지역집단의 실체와 문화성격을 검토하는 것은 아무리 정치한 분석과정을 거쳤다 하더라도 왜곡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에 문헌기록에 보이는 역사적 맥락과 고고학자료의 시공간적 범위를 세밀히 비교검토하면서 옥저와 읍루를 살펴보았다. 옥저는 남옥저와 북옥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함흥 일대의 남옥저는 세형동검문화와 낙랑계문화단계로 구분하였다. 이 지역은 위만의 복속과 한군현 설치 이후 서북한지역의 물질문화로 바뀌지만 재지계토기는 이전 시기의 토기 전통이 유지되었다. 북옥저는 두만강 중하류지역, 중국 수분하유역, 연해주 남부에서 확인되고 있는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로 비정하였다. 특히 북옥저는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 무렵에 단결-크로우노브카문화가 주변지역으로 확대되면서 문헌기록에 등장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읍루에 대해서는 夫餘에 臣屬한 정세, 문화사 관련 기록, 고고학자료의 시·공간성 등을체계적으로 검토하여, 漢代 挹婁는 흑룡강 중하류지역의 폴체 문화 2기와 三江平原 七星河 流域의 滾土嶺文化로 비정하였고, 魏晋代 읍루는 흑룡강 중하류지역의 폴체 문화 3기와 연해주 폴체 문화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look into the cultural character of Okjeo(沃沮) and Eupru(挹婁) through archeological data. It’s necessary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review of the true nature and cultural character of the ancient political body using archeological data because of the high possibility of being distorted whatever elaborate, detailed analysis process it may go through. Hereupon, this writing looked into Okjeo and Eupru while closely comparing and weighing the historical context shown in literature records, and the spatio-temporal scope of archeological data. First, this writing looked into Okjeo by dividing it into Southern okjeo(南沃沮) and Northern okjeo(北沃沮). Also, this writing divided the culture of Southern okjeo of the area of Hamheung into the periods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nd Nakrang-line culture. Although these cultures changed to the material culture of the northwestern Han area after Wiman’s subjugation to QiánHàn, and establishment of Four Commanderies of Han, this writing confirmed that the native-lineage earthenware maintained the earthenware tradition of the preceding periods. In addition, this writing characterized Bukokjeo culture as Tuanjie-Kroynovka Culture through comparison, which is identified at the mid-downstream area of Túménjiāng(豆滿江), Suífēnhé liúyù(綏芬河流域) and the southern area of Primorie(沿海州), as Tuanjie-Kroynovka Culture. Particularly, this writing understood that Northern okjeo appeared in literature records with Tuanjie-Kroynovka culture expanding towards its surroundings from the 1st century B.C. to the beginning of Christian time. As respects Eupru this writing characterized Eupru during the Han period as Guntuling Culture of SānJiāngPíngyuán(三江平原), and the secondary stage of Poltse Culture of the mid-downstream area of by examining the records related to the situation where vassalage became subordinate to Buyeo(夫餘), and cultural history, etc. while looking upon Eupru during the Wei and Jin Dynasties as the tertiary stage of Poltse Culture at the mid-downstream area of Hēilóngjiāng, and Primorie Poltse Culture. The earthenware culture of Eupru is characterized by diverse-pattern earthenware, and a small number of earthenware with the hand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