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嘯齋 卞鍾運의「角저少年傳」에 관한 文藝的 考察

        유권석(Yu Kwon-Sek) 우리문학회 2006 우리文學硏究 Vol.0 No.19

        This study investigated its qualities as biographical literature, based on the text of "The life of Gakjeo" written by Jongwoon Byeon with the pen name of Sojae, who is one of representative novelists of civil litera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Most of preceding researches on The life of Gakjeo has discussed the point of view that it is a novel rather than a documentary literature. The life of Gakjeo certainly shows some difference from other biographies in terms of its content and form, and yet it has a typical aspect of biography in terms of its motive and descriptive structure. That means, it is easily found everywhere in the life of Gakjeo that the story has several characteristic qualities as biography, with respect to 1) its motive, 2) realization of the didactic by a storyteller, and 3) biographic elements embedded in the descriptive structure. Thes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e life of Gakjeo result from the manner of writer's explaining a story told by many other people about a single happening occurred over a short time, which is an aspect of documentary literature in the 19th century. Externally, it is like a simple novel in the way of solving conflicts between main figures, but internally, the story well recontextualized a happening arose between heroic characters with physically strong power. In this sense, Sojae achieved success in showing more authenticity than that of real story. In conclusion, The life of Gakjeo has biographic qualities in that it represented the heroic deeds in a narrative way that a boy, named Gakjeo, having an excellent power solves citizen's difficulties through Korean wrestling and realizes their communal good.

      • KCI등재

        <져부인젼>의 스토리텔링 양상 연구

        유권석 ( Yu Kwon Se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3 동양문화연구 Vol.38 No.-

        이 논문은 「져부인젼」을 텍스트로 삼아 스토리텔링의 양상을 분석해 보고 서사를 흥미롭게 이끌어가는 특징적인 요소를 파악해 보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져부인젼」은 주인공인 져부인이 가난과 불학의 난관을 극복하고 부귀영화를 이루어 가는 과정을 묘사한 가사체 고소설 작품이다. 남성 중심적인 가부장제 사회에서 부녀자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도 이례적인 경우지만 저승체험을 통한 시공의 초월은 이 작품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소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선시대 차별과 희생의 상징이었던 여성을 주인공으로 삼아 기존의 통념을 극복한 「져부인젼」의 이야기는 콘텐츠의 확산과 재생산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져부인젼」의 서사 구조를 분석해 보면 연속된 반전을 통한 사건의 전개와 경외의 공간인 저승을 체험하는 초월을 통해 부귀영화의 삶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에 대한 무한한 헌신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인공의 탁월한 능력과 부덕의 실천에 따른 조상의 보상이라는 논리가 더해져 복선화음이라는 주제를 더욱 선명하게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져부인의 성공은 어디까지나 내조적인 차원에 머물고 있으며, 조건없이 헌신한 여성에게 가해진 제도의 폐해와 차별을 드러내는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져부인젼」의 서사에서 발견되는 반전과 초월은 우연히 등장한 것이 아니라 유교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장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져부인의 가족에 대한 절대적인 헌신과 조상의 보상 또한 부귀영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을 뿐 아름다운 사랑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간애가 결여되어 있다고 하겠다. 이것은 이 작품이 여성의 성공담을 활용하여 유교이념의 가치를 구현하고자 하는 정략적인 의도에서 창작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aspects shown in storytelling using < Jeobuin-jeon > as text and to identify important characteristics that interestingly lead the narrative. The work, < Jeobuin-Jeon >, playsthe pivotal role of a woman leading her family in a male-centered patriarchal society and reveals the importance of Confucian ideas by experiencing the underworld. In this respect, the story of < Jeobuin-jeon > is very meaningful in terms of content diffusion and reproduction as overcame the existing conventional wisdom by using a woman, a symbol of discrimination and sacrifice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a main character,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 Jeobuin-Jeon >, we can find that the development of events through a series of twists and the transcendence of experiencing the underworld, a space of awe, results in a life of wealth and honor. Also, the main character’s outstanding ability in the process of infinite dedication to the family and the logic of compensation of ancestors according to the practice or virtue added to make the theme of double-track harmony clear. However, the reversal and transcendence found in the narrative of < Jeobuin-Jeon > can be said that they were essential ways to incarnate Confucian ideology, not a coincidence. In addition,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narrative is lack humanity as the absolute devotion or the rewards of the ancestors are also focused on wealth and honor, not showing beautiful love etc. Therefore, this can be said to mean that < Jeobuin-jeon > was created with the intention of incarnating the value of Confucian ideology by utilizing a woman’s moving tales.

      • KCI등재
      • KCI등재

        『의암집(毅菴集)』 소재(所在) 인물전(人物傳) 연구

        유권석 ( Yu Kwon Sek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퇴계학논총 Vol.28 No.-

        이 논문은 『의암집』에 수록되어 있는 14편의 인물전을 대상으로 구성방식과 유형적 특성, 예의 회복과 현실인식, 문학사적 의미 등을 고찰해 보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14편의 인물전을 분석해 보면 충 · 효 · 열 · 의라는 4가지 관점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 작품들의 구성방식을 살펴보면 대체로 인물전이 추구하는 도입부-서두부-전개부-결말부-논찬부의 5단 구성을 충실히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4편의 작품을 내용에 따라 분류해 보면 烈行에 관한 작품이 6편이며 충과 관련된 작품이 3편이다. 또한 효행이 2편이며 의와 관련된 작품이 1편이다. 아울러 효와 열이 함께 나타나 있는 작품이 2편인데, 이러한 경우 열행에 관한 작품이 최대 8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성별로 구분해 보면 여성은 9명이며 남성이 5명으로 여성이 더 많이 등장한다. 신분으로 보면 지체 높은 명문거족보다는 노비와 평민, 평범한 반가의 부녀자를 주 대상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죽음의 형태를 보면 순절과 총살, 책형 등 비극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작품 중에는 「소숭자전」과 「열녀사비연덕전」과 같이 길게는 200년 이상 짧게는 50년 전의 인물을 입전한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의암이 활동할 당시 유교적 가치관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약해진 상황에서 이를 부각시키기 위해 부득이하게 차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14편의 작품에 빠짐없이 실려 있는 논찬을 보면 풍속에 대한 경계와 교육을 등한시 하는 세태를 지적한 경우, 외세의 악행을 예를 통해 극복하고자 한 경우, 열녀의 죽음에 대한 유학자로서의 소회를 밝힌 경우 등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의암이 남긴 14편의 인물전을 문학사적 관점에서 그 의미를 유추해 보면 첫째, 여성들과 힘없고 가난한 민초들을 입전하여 인물전의 지평을 확대하고 있으며 둘째, 논찬을 활용하여 당면한 현실 문제를 피력하는 차별화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유교적 가치관에 입각한 인륜의 회복과 인간다운 세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교화에 대한 의지를 담아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 study considers a format, characteristics of type, recovery of the propriety, awareness of reality and the meaning in history of literature based on 14 biography sequels in 『Wuiamjip』. It maintains loyalty, filial piety, manners and justice until the end in analysis of 14 biography sequels in 『Wuiamjip』. The sequels are composed 5 steps [introduction-beginning-development-end-comment] which follow an typical type of biography. There are six sequels for manners, three sequels for loyalty, two sequels for filial piety and the rest one for justice by classifying it. In particular, two sequels have both filial piety and manners in which two manners comprise 8 sequels the most in 『Wuiamjip』. Male appears five and female appears nine that male appears 4 people more than female by sexual distinction. It is found that the main characters are mostly servants, commoners and normal women than the nobility and the forms of death are mainly followed to be such as dying for chastity, execute by firing squad or crucifixion. There are few cases like 『Sosungjajeon』 and 『Yeolnyesabiyeonduckjeon』 related to people who lived before minimum 50 years or maximum 200 years that it is used unavoidably to enhance the weaken awareness of the value for Confucianism at the time of Wuiam. In every comment of 14 sequels, it includes the case of precaution against richness, the trend of less concern for education, overcoming evil conduct from foreign influence through the manners and Confucian scholar`s impression about the death of a virtuous woman. In the view of history of literature, 14 biographies of 『Wuiamjip』 has three significance. First, it expands the range of the biography by choosing female and poor people. Secondly, it shows distinguished composition through the comments expressing faced actual issues. Thirdy, it has the will to reform and realize the human-centered society based on the Confucian Values.

      • KCI등재

        「져부인젼」과 「복선화음가」의 대비적(對比的) 고찰

        유권석 ( Yu Kwon Sek ) 온지학회 2019 溫知論叢 Vol.0 No.60

        이 논문은 가사체 고소설 「져부인젼」이 계녀가류 규방가사인 「복선화음가」 계열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두 작품을 서사의 전개와 확대라는 측면에서 비교해 보고 장르의 변용에 담긴 의미를 고찰해 본 것이다. 「져부인젼」은 주인공인 져부인과 악행을 일삼는 뽈똥어미가 중심이 되어 이야기가 펼쳐진다. 반면에 「복선화음가」는 이 한림의 증손녀인 이씨 부인과 괴똥어미가 등장한다. 작중 인물의 호칭에는 차이가 있지만 善惡에 따른 역할과 인물유형에는 큰 차이가 없다. 또한 시점과 구성을 살펴보면 「복선화음가」는 1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을 활용한 단편에 해당하는데, 「져부인젼」은 1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은 물론 액자식 구성을 통해 장편화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복선화음가」는 발단-전개-결말의 3단 구성에 해당하는 반면 「져부인젼」은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의 5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져부인젼」과 「복선화음가」의 서사 구조를 살펴보면 출생→결연→시련→시련극복→행복한 결말로 귀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두 작품이 표면적으로 보면 유사한 전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면적으로 보면 성장과정과 결연의 조건, 부덕의 가르침, 부귀의 완성 과정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덕을 실천하지 않은 부정적인 인물을 설명함에 있어서도 「복선화음가」는 괴똥어미 이야기를 간단하게 들려주는 형식인 반면에 「져부인젼」은 뽈똥어미의 최후가 져부인의 삶과 얽히게 되면서 초현실적인 저승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계녀서사의 전개 양상을 존재 가치의 재인식과 변주라는 측면에서 비교해 보면 「져부인젼」은 「복선화음가」와 달리 여성이 남성들과 다르게 불합리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지적하면서 출가한 여성들이 가난을 타개하기 위해 글을 배우고 일에 힘쓰는 고단한 삶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부덕을 확대시켜 가난함에도 불구하고 당연히 실천해야 함을 저승을 통해 역설적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복선화음의 논리가 저승을 통해 변주되면서 자기희생에 대한 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여성이 가정에서 행하는 일들이 얼마나 중요하고 가치 있는 것인가를 강조함으로써 여성의 존재 가치를 재인식시키고 동시에 유교적 가치관을 고수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계녀서사의 소설적 변용에 담긴 의미를 추론해 보면 첫째, 허구적 공간인 저승을 대두시켜 여성들의 희생을 정당화하고자 하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으며 둘째, 여성에게 주어진 불평등한 현실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끝으로 여성의 역할에 따른 존재감을 부각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 study focuses on the story development, structures and comparison as Jeobuin-jeon belongs to a kindof Bokseonhwaeumga in Kyubanggasa so that it considers the message for transformation of Gyenyeseosa. Jeobuin-jeon and Bokseonhwaeumga have the same concept of story development from birth, marriage, hardship, recovery to a happy end. It means the two stories basically show similaraspects. On the other hand, they have a difference about a condition of growth process, marriage and a lesson for virtue. In addition, Jeobuin-jeon shows the expansion to the surreal underworld by crossing the end of Bbulddongami and the life of Jeobuin whereas Bokseonhwaeumga has a simple frame telling a story of Gueddongami. From a perspective of re-recognition and changes of story development, Jeobuin-jeon points out the sexual discrimination with showing female makes an effort to learn language and works for overcomingpoverty. Furthermore, the story strongly pursues keeping a virtue despite the poor through the underworld that it brings compensation of sacrifice. In conclusion, the story emphasizes the role of female in family so that it tries people re-consider the value of female and to keep the Confucianism. In terms of the dramatic transformation of Gyenyeseosa, firstly, it tries to justify the death of female by raising the underworld. Secondly, it make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sexual unfairness. In the last, it highlights the existence of female with role in society.

      • KCI등재

        <져부인젼>에 수용된 부(富)의 관념과 여성의식(女性意識) 연구

        유권석 ( Yu Kwon Se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0 동양문화연구 Vol.33 No.-

        이 논문은 「져부인젼」을 텍스트로 삼아 부의 축적에 내재되어 있는 관념과 여성의식에 대해 고찰해 본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져부인젼」은 규방가사에서 고소설로 장르 전환이 이루어진 작품으로 열녀인 져부인과 악녀인 뽈똥어미를 등장시켜 복선화음이라는 주제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두 여성의 상반된 행위는 재물의 축적 여부에 따라 행복과 불행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부의 축적 여부는 이 작품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의 축적에 내재되어 있는 관념을 살펴보면 이상적인 열녀의 조건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점과 선행의 동기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찍이 열녀는 수절이나 순절, 절사를 통해 일부종사한 여성에게 부여되던 용어였다. 그러나 「져부인젼」은 이러한 전통과는 다른 새로운 열녀상을 제시하고 있다. 즉 단기간에 많은 부를 축적하여 적빈한 가문을 일으킨 져부인을 이상적인 열녀로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관념과는 다른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부의 축적은 유교에서 권장하는 선을 행하여 공덕을 쌓아야 가능하다는 점에서 나눔과 공존에 기초한 교화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부의 축적을 통해 져부인이 보여준 인간다운 삶의 실현은 가부장제사회에서 출가한 여성들에게 가해진 뿌리 깊은 차별을 극복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부녀자들은 재물을 모으고 자식과 남편을 뒷바라지하는 등 집안을 일으키는 실질적인 주체로 활약하고 있지만 제도적 모순으로 인해 단지 남성들을 위한 조력자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여성들은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노복보다도 못한 존재로 취급되고 있는데, 축첩제도로 인한 비참한 가정의 제시는 여성들에게 가해지는 차별의 시정을 주문하는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The study deeply considers what wealth means and female consciousness based on [Jeobuin-jeon]. Basically, the [Jeobuin-jeon] realizes Didacticism by casting two characters ‘Jeobuin’ who is a virtuous woman and ‘Bbulddong-ami’ who symbolizes evil. On the basis of that concept, the different results coming from how much they accumulate wealth represent outwardly virtues but also it is the point to fully understand the real message in this novel. From that point of view, [Jeobuin-jeon] presents conditions for being virtuous women and the way to approach goodness in Confucianism. On the other hand, [Jeobuin-jeon] shows a fact that women are denied because of Confucianism in the process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virtues in accordance with saving or wasting wealth. Shortly, women are granted limited role being a supporter for men on account of disadvantages in the social system even though they actually save wealth and lead men make a success as a main character in a family. These advantages reveal miserable life of women and also appeal paradigm shift toward the system so as to induce new recognition about status of women with criticizing the flawed social system.

      • KCI등재

        전통문화에 나타난 女性 認識 樣相 硏究

        유권석(Yu, Kwon-Sek)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7

        고대에서부터 여성은 아이를 낳아 기르고 생산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대지로 비유되어 왔으며 풍요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여성에게 부여된 원초적 믿음은 전통놀이에서 여성들이 항상 승리하도록 설정되거나 마을을 수호하는 신격으로 숭배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줄다리기가 시작되기 전날에는 원초적인 믿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를 못 낳거나 남자아이를 원하는 여성이 줄을 넘으면 줄이 끊어지거나 경기에서 진다는 속설에 따라 금기의 대상으로 여겨져 왔다. 그리고 위도띠뱃놀이에서는 산고가 든 여성과 그 주변 사람들까지 금기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데, 이것은 여성이 겪는 특별한 몸 상태가 마을 굿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한편 하회별신굿탈놀이에서 할미는 시집 간지 삼일 만에 과부가 되어 험난한 세파를 살아 온 여성으로 자신의 삶에 드리워진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그리고 부네 또한 기녀라는 비정상적인 삶을 살아온 여성으로서 승려를 파계시키고 양반과 선비를 경쟁시킨다. 할미와 부네는 유교적 통치 이념의 희생자들로서 지배계층의 위선을 조롱하고 있다. 이에 반해 각시는 열일곱 살의 처녀로 마을의 수호신이다.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위해서는 각시를 결혼시키고 시집을 보내야한다는 강한 믿음으로 인해 형식적으로 혼례를 치루고 신방을 꾸며준다. 그리고 위도띠뱃놀이에서도 여성이 사람들의 소원을 잘 들어주는 당집의 신으로 받들어 지고 있다. 이와 같은 놀이에 나타난 여성들에 대한 인식은 세 가지 측면에서 그 의미를 유추해 볼 수 있다. 첫째, 여성들은 전통사회가 지향했던 근본적인 문제들을 회피하지 않고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굳은 의지와 원초적인 능력의 소유자였다. 둘째, 비정상적인 삶을 극복하고 인간적인 삶을 추구해 가는 존재였다. 셋째, 현실의 불평등한 삶에 때로는 좌절하면서도 끊임없이 이를 변혁시키려는 페미니즘의 선구자들이었다. woman has been considered a symbol of fertility and a land of production regarding to raising a baby since a very early age. The belief from these woman brought that woman always wins the traditional games or guard a village as god. But, in tug-of-war game is prohibited for woman because of the myth that players lose the game if woman, who cannot have a baby or wants to have a son, jumps the rope or the robe is cut in spite of there is still the relief. In addition, In ‘Wido island Boating plays’, a pregnant and people around her are also limited because people think woman’s certain condition would be effected negatively toward a ceremony. Meanwhile, in ‘Hahoibyulshingood Masque’, ‘Hilmi’ appealed stuffy ahead of her life as a female as she becomes widow after 3 days from the marriage. Besides, ‘Bune’ makes a competition between noblemen and scholars and violates the buddhist as a Korean Geisha with abnormal life. ‘Hilmi’ and ‘Bune’ are victims of confucian concept that they make a fool of the ruling class. On the contrary, ‘Gaksi’ is a 17 year old guardian of a village. People make a house with a wedding ceremony for her in order for the piece and fertility to them. In, ‘Wido island Boating plays’, people worship female as they believe that female realize their dreams as well. Those awareness of female are described in three aspects. First, female have a strong willpower and abilities to solve a fundamental problems of traditional society. Second, they continues overcoming abnormal lifes and pursuits humanism. Third, they are pioneers of feminism to achieve better treatment against unequal lifes in a society even though they are occasionally disappointed.

      • KCI등재

        映像資料를 활용한 多文化家庭의 傳統文化 교육 방안 연구

        유권석(Yu, Kwon-Sek)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우리나라는 급격한 산업의 재편으로 인한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유학생, 국제결혼, 중도입국청소년 등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이 우리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우리보다 먼저 다문화를 먼저 경험했던 여러 나라들의 선례에 비추어 볼 때 영상자료를 활용한 전통문화 교육이 매우 유익한 방법임을 제시해 보았다. 주지하다시피 우리에게는 1960년대부터 국립무형유산원과 KBS, 아리랑TV 등에서 제작한 전통문화 관련 영상들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공동체문화, 연희문화, 의식주문화, 한의 문화로 범위를 획정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영상들을 제시해 보았다. 공동체문화와 관련된 영상으로는 농악, 달집태우기, 줄다리기, 불천위제사, 전통혼례 등을 중심으로 제시해 보았다. 다음으로 의식주문화와 관련해서는 누비장과 조선왕조궁중음식, 대목장, 제와장 등의 영상 작품들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셋째, 연희문화와 관련된 영상은 남사당놀이와 줄타기, 아리랑, 하회별신굿탈놀이, 북청사자놀음 등을 중심으로 제시해 보았는데, 이 영상들은 우리 조상들이 놀이와 극을 통해 삶의 활력을 찾았다는 점에서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이 우리의 한류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넷째는 한의 문화인데 한과 관련된 영상은 씻김굿과 판소리, 위도띠뱃놀이 등을 중심으로 제시해 보았다. 이와 같이 우리의 전통문화를 교육함에 있어 영상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이 문화적 충격을 극복하고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안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orea has been rapidly heading to a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increase of foreign workers, international students. international marriage and immigrated children causing from the industry reorganization. However, there was no depth discussion about an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even if it is the most important pa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being adapted to a Korean society. Therefore, a study offers several methods for effective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by using video materials based many cases of experienced countries about multi-culture before Korea. As everyone knows, Korea has many video materials produced by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KBS and Arirang TV since 1960’s. The study extends Korea’s traditional culture to community culture, a play, food, clothing, shelter and bitter memories called Han with resonable video materials. Related to community culture, a study provides videos of traditional Korean farmer music ‘Nong-ak’, sheaf burning, tug-of-war, ancestral rites and traditional marriage. Regarding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a study covers Nubijang, Royal cuisine, Daemokjang and Jewajang(Roof Tile Making). The study presents ‘Namsadang Nori’, tightrope, Arirang, Hahoe Pyolshingut Mask Dance and Bukcheong Saja noreum dance which would be effective for multi-cultural familie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Lastly, the study consists of ‘Han’ with video materials such as a shaman ritual for cleaning dead person’s soul, Pansori and a ceremony before boating. If Korea makes the best use of these video materials for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t would be deeply supportive for multi-cultural families to be accustomed with Korean society beyond the cultural differences.

      • KCI등재

        「져부인젼」의 인물 형상화(形象化) 방식과 작가의식 연구

        유권석 ( Yu Kwon Se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8 동양문화연구 Vol.29 No.-

        최근에 소개된 「져부인젼」은 작자 미상의 장편 가사체 작품으로 형식은 가사의 특징을 유지하고 있으나 내용은 져부인의 일대기를 서사화한 소설에 해당한다. 이러한 「져부인젼」에 대해서는 그 동안 서지사항과 내용의 특징, 작품에 등장하는 저승체험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져부인젼」이 최근에 소개된 관계로 인물의 형상화 방식과 작가의식 등에 대해서는 논의가 진행되지 못했다. 주인공인 져부인은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남부러울 것 없는 생활을 한다. 그러나 여자라는 이유로 글을 가르치지 않았으며 가난한 집으로 출가한다. 가난으로 죽을 고비를 맞기도 했던 져부인은 자신에게 닥친 고난을 극복하고 마침내 재물을 모아 성공한다. 그리고 혼기에 찬 딸에게 부덕을 가르치는 과정에서 뽈똥어미가 등장하는데, 뽈똥어미는 져부인의 삶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는 악녀로 설정되어 있다. 져부인과 뽈똥어미의 삶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형상화 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배움을 통해 고난을 극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져부인이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었던 것은 여성이지만 스스로 글과 일을 배워 단기간에 많은 재물을 모으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둘째, 부덕의 실천을 통한 유교 이념의 구현이다. 져부인은 극심한 가난 속에서도 결코 부덕을 져버린 적이 없다. 그러므로 부덕을 고수한 져부인은 부귀영화를 누리게 되었고 악행을 일삼은 뽈똥어미는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되면서 복선화음이 구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져부인젼」에는 이 작품이 창작된 것으로 판단되는 개화기를 전후한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면서 여성도 주체적인 삶을 살아야한다는 일정한 작가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Updated < Jeobuin-jeon > is a kind of a lyrics novel by anonymous author which belongs to a narrating style novel telling the life of ‘Jeobuin’ even though it keeps lyrics novel form. The study has been developed focusing on its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the experience of the underworld. However, < Jeobuin-jeon > method of Character visualization and author consciousness could not make a progress as it is updated. The main character Jeobuin is born rich. But she does not learn letters and is sent to a poor family because she is a woman. She was managed to make a success life by economizing money and time even though she was almost died in needy circumstances in many times. After that, a wicked woman Bbulddong-ami who would influences Jeobuin’s life appears when she teaches her daughter about virtue. The successful story of Jeobuin from an angle of a lady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consciousness of author who wishes to visualize a didactic contents. The contents are described through the views of Jeobuin and Bbulddong-ami. First, Jeobuin overcomes hardships by learning. She could enjoy a rich life as she learns work and letters very hard to make a fortune in short period. Secondly, she realizes ‘Confucianism’ by putting virtue into practice. She never throw out virtue despite of a severe poverty. Therefore, Jeobuin lives in riches and honors. But Bbulddong-ami meets a tragic end. In a novel < Jeobuin-jeon > which is considered being written in a time of enlightenment, it reflects a periodical circumstances of the time and author consciousness that women should live independent life.

      • KCI등재

        <져부인젼>에 수용된 사상의 양상과 기능 연구

        유권석(Yu, Kwon-Sek)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0

        『져부인젼』은 가사체고소설 작품으로 주인공인 져부인이 이룬 부귀영화의 삶을 열행과 연관지어 유교사상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작품이다. 서사의 흐름이 주인공인 져부인의 행적에 따라 현실→초현실→현실로 순환되는 구성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데, 져부인이 출가 후 가난을 극복하고 부귀영화를 이루는 현실세계에서는 주로 유교적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다. 그리고 초현실세계인 저승체험의 과정에는 불교와 도교를 중심으로 유교와 민간신앙이 습합의 형태로 나타나 있는데, 초현실세계 역시 유교적 가치관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접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져부인은 서사의 시작부터 열녀로 제시되어 있지만 수절이나 순절을 행했던 열녀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즉 가난을 극복하고 재물을 축적한 후 부귀영화를 이룬 경우를 열녀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열녀상의 변화에는 유교에서 내세우는 입신양명과 정명사상의 논리가 투영되어 있으며 나눔을 통해 선한 사회를 이룩하고자 했던 이상사회에 대한 염원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져부인이 보여준 저승체험에는 이승과 저승이 공존한다는 민간신앙의 관념을 바탕으로 공덕에 따라 천당과 지옥이 결정된다는 불교적 관념, 도교의 신선관과 심판론 등이 습합되면서 복선화음이라는 유교적 가치의 구현에 기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져부인젼』에 수용되어 있는 제 사상을 통해 열녀서사에 변화가 초래되고 있다는 점에서 사상의 기능을 유추해 보면 주인공인 져부인을 유일무이한 위대한 열녀로 형상화시키고 있으며, 작품의 배경이 이승과 저승을 넘나들게 되면서 공간의 확대를 가져오고 있다. 또한 제 사상에서 내세우는 논리를 통해 복선화음에 입각한 주제에 당위성을 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Jeobuinjeon is a classic lyric novel conveying the importance of Confucian values through the successful life of the main character, Jeo Buin, showing the changes on her way to succeed against difficulties and suffering, and ultimately describing her as a symbol of the faithful woman. The novel portrays “real world and the netherworld”. Real world is based on Confucian values such as patience and courage toward adversity. In Contrast, there are combination between Teoism and Shamanism grounded on Buddhism in the netherworld. Thus, the novel reflects Confucian desires for an ideal society centered on success and right attitude. Through Jeo Buin’s experience in the netherworld, the novel acknowledges the Confucian values of bokseonhwa’eum by harmonizing the path of hermit and justice in Taoism and Buddhism, which determine one’s afterlife in heaven or hell based on one’s moral standing in life. Passages in Jeobuinjeon expand the scale of the novel into the netherworld and emphasize the right things to do in the life on bokseonhwa’e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