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애니메이션산업 진흥정책의 배경과 특징

        오태헌 ( Tae Heon Oh ) 현대일본학회 2012 日本硏究論叢 Vol.36 No.-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늘어나고 있는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정책의 배경을 규명하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애니메이션으로 성장하기까지 이렇다 할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없었기 때문에 지원정책의 구체적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 이 사실이지만 본 논문에서 주목하는 것은 그 배경이다. 정책적 배려가 시작된다는 것은 해당 산업의 내재적 문제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산업진흥 정책이 이루어지고 있는 배경을 규명하기 위해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의 당 면 과제를 분석한 결과, 사업 구조적 문제와 더불어 사업 환경적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구조적 문제는 기획·제작(외부자금 활용, 작품의 균일화 및 고정화, 제작 기반 약화)과 더불어 유통(관행적 거래, 하청구조, 인터넷 사용 확대)과정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사업 환경적 문제는 내부 요인(인구감소, 회계기준 부재, TV 역할 변화)과 외부 요인(한국·중국 부상, 해외전개의 어려움, 신기술 등장) 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정부 및 지자체가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산업진흥 정책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본 결과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이 안고 있는 이 같은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기는 어렵 다는 지적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basis or the background for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ing the ever-growing Japanese animation industry. Since the ani mation industry hadn`t received any strategic support from its government until its internation al recognition, more attention has been placed on the content of the strategic support. Howe ver, the present study has put more focus on the basis or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policy. Such a strategic attention to an industry might be based on its high potential for interior problems. While analyzing various tasks the industry is facing today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foundation for the government`s concer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ssues regardi g the structure of the industry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industry. The structural problem presented itself over planning, producing( aided by external funds, leveling and fixation of the products, flimsy production base) and distribution process(custom ary trade, outsourcing structure, expansion of the internet use). The environmental problem may be classified as interior factors(decreasing population, non-existing accounting standards, change in the role of TV) and external factors(emergence of south Korea and China, difficulties of overseas development, introduction of new technolo gy). In the meantime, having examined the details of the various development strategies that are being pushed forwar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a number of municipal governments, it seems unlikely that they would be sufficient to resolve the problems mention ed above.

      • KCI등재

        일본 캐릭터 비즈니스에 관한 연구 -성장요인을 중심으로-

        오태헌 ( Tae Heon Oh ) 현대일본학회 2010 日本硏究論叢 Vol.32 No.-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에서 캐릭터 비즈니스가 성장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일본 사회 곳곳에서 캐릭터가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현상을 보면 캐릭터는 아동과 같은 특정 세대의 전유물이 아님을 쉽게 알 수 있다. 만화와 애니메이션 등을 통해 만들어지는 캐릭터는 각종 제품과 홍보에 활용되면서 그 시장을 비약적으로 확대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한국에서 역시 캐릭터 비즈니스 확산을 위해 다양한 정책들이 모색되고 있으며 관련된 기존의 연구 결과도 결코 적지 않다. 그러나 많은 연구가 일본과 미국에서 등장한 특정 캐릭터의 성공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일본의 캐릭터 비즈니스가 어떠한 문화적 토양과 경제적 동력에 의해 만들어지고 성장하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일본 캐릭터 비즈니스의 생성과 성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여러 요인들은 문화적 그리고 경제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먼저 문화적 요인으로는 만화를 자연스럽게 수용하는 특성, 여성스러우면서도 귀엽고 천진한 특성, 의인화에 익숙한 특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일본의 문화적 특성들의 공통분모가 캐릭터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며, 다른 나라에서는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일본 특유의 문화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경제적 요인으로는 리스크 분담 효과를 볼 수 있는 분업화된 생산체제, 적극적인 소비자 그리고 다양한 유통 채널 등이 캐릭터 비즈니스의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iscover the cause for the growth of the character industry in Japan. It is evident that the appeal of the character industry is not limited to a certain generation such as the juvenile as demonstrated in various parts of the Japanese society where characters are used actively in association with numerous goods and services. The characters that are created through cartoons and animations have the special qualities of rapidly expanding the market by being used to advertise various products. Following such an example, Korea is looking for ways to boost its character industry and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 However, most of the studies have been focused the success of popular characters that have been created in Japan and the U.S. Thus the present study, founded on the above explained circumstances, will analyse the cultural foundation and economical force that have achieved the Japanese character industry of today. The primary elements of the birth and growth of the Japanese character industry were found to belong to either cultural or economical categories. First, examples for cultural factors include Japanese people`s tendency to readily accept cartoons, feminine and child-like tendency, and tendency to familiarize with personification. Such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apan are unique to the country and that is why Japan may be more likely to cater to character industry.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economical factor, specialization in manufacture and distribution, aggressive consumer and strict protection of copyrights that ensures profits were noted to be one of the influential elements in 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 industry.

      • KCI등재

        일본중소기업의수출에관한연구

        오태헌(Oh Tae heon)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7 일본연구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일본중소기업의 해외시장 개척, 특히 수출과 관련한 사례 및 정부지원정책을 분석하여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본중소기업의 사업환경변화 및 해외진출지원정책을 분석한 결과, 점차 중소기업이 수출하기용이한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직접수출과 간접수출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수출현황을 살펴본결과, 일본중소기업의 직접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수출을 경험한 중소기업은 다양한 경영자원분야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수있었다. 주요 시사점으로는 간접수출이 가능할수 있도록 관련정책을 강화하는 한편소량의 수출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물류관련제도를 정비하는것 등을 들수있다. 더불어 수출을 경험한 중소기업이앞으로 해외직접 투자에 나설가능성에 대비하여 관련지원책을 선행적으로 마련하는것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by analyzing instances related to the exploration of foreign markets by Japanese SMEs, specifically in connection to exports and government-supported policies.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market environment for the SMEs and the current exports thereof reveal that there is a gradual formation of an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export. Second, the current situation regarding the exports of the SMEs was examin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direct and indirect exports. The results show an incremental tendency towards direct export. Third, it is apparent that SMEs which engaged in export went on to show positive changes that mainly result in an expansion of their management resources. Major implications of the study include the need to strengthen policies concerning potential indirect export and to improve logistics related policies that facilitate exports in small quantities. In addition, a vigorous assessment of a supporting policy is required in preparation for SMEs that have exported to embark on direct foreign investment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싱글이코노미 특성 비교

        오태헌(OH, Tae-heon),이준엽(Lee, June-yeuop)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8 일본연구 Vol.31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보다 빠르게 고령화 사회와 인구감소를 경험한 일본의 1인가구 구조와 한국의 현상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첫째 1인가구의 증가로 만들어지는 싱글이코노미의 주관적 정의를 내리는 것이다. 둘째는 싱글이코노미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 모형을 만드는 것이다. 셋 째는 이를 바탕으로 한일간 싱글이코노미의 특성을 상호 비교하여 차이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한 결과, 첫째 싱글이코노미의 분석모형에 따르면 한국은 싱글이코노미의 성장기에 해당하며, 일본은 성숙기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구체적인 구조적 특징으로는 싱글이코노미의 진행속도가 일본에 비해 한국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고, 한일 모두 유사한 시점에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1인가구 비중이 급증했으며, 연령별 구분(청년과 노년)에서는 한일간에 다소 차이가 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henomenon of oneperson household of Japan and that of Korea as the former has experienced an aging society and population decline faster than those of Korea. Specifically, the following three points should be clarified. The first is to create a subjective definition of a single economy created by an increase in one-person household. The second is to create an analytical model that can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 single economy. Third,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ingle economies of Korea and Japan are compared in order to deduce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the following were found. First, according to the analytical model of the single economy, Korea corresponds to the growth period of the single economy, and Japan appears to have reached a maturity stage. The second specific structural feature is that the speed at which Korean single economy is progressing is faster than that of Japan. The two countries’share of one person-household in all households showed a boost in increase at the same point in time. In terms of the age group (young adult and the elderly), there appeared some dispar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한국드라마의 일본유입에 관한 연구

        오태헌 ( Tae Heon Oh ) 현대일본학회 2011 日本硏究論叢 Vol.33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드라마가 일본으로 유입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아울러 한국드라마가 문화강국 일본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기존의 연구들에서 지적하듯이 드라마 자체의 상대적인 매력만으로 충분히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그러한 요인 고찰을 일본의 방송콘텐츠 산업의 환경 변화 측면에서 시도한 결과 일본 방송사들의 수익악화와 더불어 다양한 방송채널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주요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근본적인 사업모델의 변혁이 필요했던 일본의 방송사는 수익성이 비교적 좋은 한국드라마를 적극적으로 편성하기 시작했으며, 이 같은 현상은 채널이 보다 다양해지면서 확산되고 있다. 또한 일본드라마의 반 시장적 요소 때문에 일본드라마에서 시청자들이 멀어지면서 시청률 감소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반사적으로 한국드라마 수요로 이어졌다. 이 같은 일본드라마 이탈 현상은 관련자들과의 집중 인터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cover causes behind the increasing number of introduction of Korean TV dramas in Japan. The study is founded on the fact that it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the success of Korean dramas in Japan, a culturally strong country, by their mere attractiveness. Therefor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aspect of the change of environment of the media contents industries in Japa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jor factors were the decrease of the revenues of Japanese broadcasting companie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arious channels. Japanese broadcasting companies that were seeking a fundamental reform in their business model began to actively put on Korean dramas and this phenomenon is seen to have widespread followers as more channels are established. In addition, because of the anti-market factor of Japanese dramas that caused the viewers to shun them, the subsequent reduction in the viewer rate helped the Japanese TV watchers to be more immersed in Korean dramas. Such disinterest in Japanese dramas were also evident while interviewing the people working in the media business.

      • KCI등재

        뿌리산업육성을위한 일본모노즈쿠리연수성과분석과 발전방안

        오태헌(Oh, Tae-heon),이준엽(Lee, Jun-youb)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6 일본연구 Vol.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뿌리산업(Root Manufacturing Industry) 경쟁력 제고를 위해 시행되는 일본 모노즈쿠리 연수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가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의 가설을 설정했다 첫째 모노즈쿠리를 학습한 성과가 업무적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모노즈쿠리의 업무 적용이 경영효율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경영 효율성 개선이 경쟁력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해당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21.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형검증은 AMOS18.0을 활용하여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모노즈쿠리 연수참가자의 학습성과가 높을수록 모노즈쿠리의 업무 적용정도가 높아진다. 둘째, 모노즈쿠리 연수참가자의 역량 향상이 기업의 경영 효율성 향상으로 연결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셋째, 기업의 경영 효율성 개선은 생산성이나 경쟁력 향상으로 연결 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ssess the results of the Japanese Monozukuri training program that is implemente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root manufacturing industry and determine future strategies for development. For the said goal, the following three hypotheses are posited. First, the results acquired from the training of the Monozukuri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pplication of the acquired knowledge in business operations. Second, the application of Monozukuri in business operation will facilitate an increase in management efficiency. Third, the subsequent improvements in the management efficiency will lead to advancement in competitiveness. A survey targeting the concerned corporations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 primary factor, and reliability. AMOS18.0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of structure. The analyses of the data resulted in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First, the higher the achievement of the participant, the higher the level of the application of Monozukuri in business operation.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trained participants and their management efficiency increase was shown to be insufficient. Third, the advancement in the management efficiency led to gains in productivity or competitiveness.

      • KCI등재

        일본 퇴직기술자에 의한 기술이전에 관한 연구

        오태헌 ( Oh Tae-heon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日本硏究 Vol.- No.87

        日本の退職技術者を誘致した韓国の中小企業の事例分析を通じて、技術移転の成果を明らかにするのか'、この論文の目的である。日韓における製造業の技術格差を見計ってみる様々な觀点から関連する研究の蓄積が必要であるという問題意識から始まった研究である。分析によって得られたマクロ的な示唆点は次の通りである。 まず、韓国において製造業を営む中小企業に限っていえば、日韓における技術格差は縮小が進む一方、現存する解決か'必要な問題であるという点である。特に、事例分 析を通じて明らかになってように、製品の設計技術、金型の製造技術、素材の製造技術などの特定分野においては日本に対する依存が確認されたからである。 次に、技術者による機能的な技術の移転は製造業の作業現場において進められる点を考えると、‘技術移転’という用語が大雑把に使われている傾向がある点を指摘せざる得ない。なぜなら製造業に属する企業の製造活動と関連して考えると、技術は作業技術、保全技術、現場管理技術、生産技術、設計技術、硏究開発技術などに区分され、これらの技術は並べた順序通り製造工場において時間の経過とともに進化する過程を経験するからである。こららの技術の進化過程を考えると、本研究において分析した事例企業の技術移転の成果も時間が進むに連れ、どの方向かに向かって進化することが予想される。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hievements of transfer of domain-specific technology and expertise through case studies of Korean SMEs that have employed Japanese retired skilled workers. The need for the study stems from the necessity to accumulate research findings that gauge technological ga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anufacturing industries in various aspects.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in Korea, while the technological gap between Korea and Japan is narrowing, it does still exist.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case analyses, technical dependence on Japan was confirmed in several fields such as product design technology, mold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material manufacturing technology. Second, given that the actual transfer of functional technology by humans takes place on-the job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term technology transfer is being used rather vaguely. This is because the six manufacturing technologies - work technology, maintenance technology, site management technology, production technology, design technology,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technology - evolve in time as they undergo the corresponding six manufacturing processes.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se technologies, the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that have been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is sure to continue experiencing future advance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