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양 반도의 시장체계와 생업의 변화: 화성시 송산면 어섬과 우음도 사례를 중심으로

        오창현 ( Chang Hyun Oh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2 韓國文化人類學 Vol.45 No.2

        경기도 화성시에 속하는 남양 반도는 삼남지방에서 서울로 가는 해로를 끼고 있으며 경기 남부지방으로 들어가는 관문이기도 하다. 또한 세계적으로 대조차가 큰 경기만(京畿灣)에 속해 있고, 특히 어섬과 우음도가 속하는 송산면은 화성군 내에서도 갯벌이 가장 넓은 지역이다. 이러한 자연적·지리적 환경은 남양 반도 주민에게 다양한 생업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자연적·지리적 환경을 어떠한 방식으로 전유할 것인가는 특정 시기 국가정책이나 유통기술 등 외부 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 글은 우선 190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남양 반도에서 일어난 시장체계의 변동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친 외부 요인을 규명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변화와 함께 같은 시기송산면에 속한 두 섬지역에서 나타난 생업 및 마을조직(어촌계)의 변화를 설명하였다. The Namyang peninsula which belongs to Songsan-myeon, Hwaseong-si, Gyeonggi-do is located in an gateway of the sea road which leads to Seoul. This area is surrounded by the broad expanse of mud flat beach, which has been formed by the huge difference between ebb tide and high tide. These natural features have offered various potentialities to the inhabitants of Namyang peninsula. How the inhabitants of the peninsula appropriate the natural environment is bound up with the state`s policies and the techniques of circulation.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recent changes that have been wrought in the market system and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livelihoods on two islands. The changes of two islands near Namyang peninsula were closely examined to reveal important aspects of livelihoods and social structures.

      • KCI등재

        미국의 사회 통합 방식 변화와 공공 박물관의 역할 변화

        오창현(OH, Chang-Hyun)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이 논문의 목적은 1970년대 이후 미국 공공 박물관의 역할이 변화하는 사회 문화적 배경을 검토하고, 이러한 박물관 역할 변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스미소니언 민속 축제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먼저, 미국 사회의 변동과 그에 따른 사회 통합 방식의 변화를 간략히 검토한다. 신생국가이자 다양한 민족 출신의 이민자들이 세운 국가인 미국은 20세기에 다다라 비로소 영토 확장이 완료되었다. 곧이어 유럽의 민족주의와 제1, 2차 세계대전 참전은 미국이 국가 정체성을 고민하고 미국식 문화 민족주의의 필요성을 경험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 사회는 문화적 다양성을 미국식 민족주의의 가치로 놓는 과정에서 공민권 운동을 비롯한 주변부로부터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맞닥뜨리게 되었다. 1960년대 후반 이후 스미소니언 박물관(Smithsonian Institution) 정책 변화와 스미소니언 민속 축제(Smithonian Folklife Festival)의 기획은 이러한 당대 미국의 사회적 요구를 진지하게 탐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changes in cultural integration patterns of the United States in accordance with its social challenges. With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how roles of public museums in the US have changed focusing on the Smithsonian museums and its folk festival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 new country and a nation of immigrants, almost completed its territorial expansion in the end of 19th century. Rising nationalism in Europe and the outbreak of World WarⅠ, Ⅱ greatly impacted how Americans viewed their own country and furthermore lead to a further growth of American cultural nationalism. Since the 1960s, while aiming at American cultural nationalism, American society faced complex challenges such as Civil Rights Movement(1954~68) etc.. The changing role of the Smithsonian and its folk festivals in late 1960s should thus be understood as the result coping with those issues. This paper approaches shifting role of museums in the US in terms of social integration patterns‘ changes caused by the expansion of American society.

      • KCI등재

        20세기 전반기 서해 어민들의 의례와 해역 신앙

        오창현(Oh, Chang-Hyun) 한국민속학회 2014 韓國民俗學 Vol.59 No.-

        이 논문은 먼저 충남 서천군 서면의 세 어촌 주민들이 ‘아주 오래전부터’ 1970년대까지 20~30인승의 대형어선을 이용해 전남에서 평안도까지 어업과 운반업에 종사해 왔다는 점을 규명했다. 이어 세 마을의 당산제와 배고사의 구조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어민들이 모셔온 신체들을 해명했으며, 각 마을을 관장하는 영역신과는 별도로 주변 해역을 관장하는 ‘해역신’이 모셔져 왔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 논문은 세 마을의 어민들이 자기가 속한 해역을 벗어나 다른 해역에 들어서면 해당 해역의 신에게 고사를 올리던 관행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세 마을의 어민들이 서해를 하나의 해역이 아니라 여러 해역신이 각기 관장하고 있는 분할된 해역들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서해의 여타 지역에 대한 연구자의 현지연구와 보고서를 검토해, 특정 어종을 쫓아 장거리를 항해하며 여러 해역을 누벼온 서해의 다른 지역 어민들도 세 마을의 어민과 유사한 해역 신앙과 바다 관념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Firstly this study clarifies that the fishers in three adjacent villages of Seocheon county, Chungnam province had been engaged in long-distance fishery from Jeonnam to Pyeongan with large fishing boats since very olden time until 1960s. And this examines both structures of communal and fishing boats’ ritu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vinities in those rituals. Thus, it reveals that the sea-territorial god had been worshiped in common by each of three villages besides land-territorial gods of each village. And focusing on the fishers’ practices, that they worship the sea god of each water-territory every time fishers move to the other water-territories, it reveals that Korean fishers in western coast had, up to recently, perceived West Sea not as an water, but many separated waters.

      • 3.0 T MRI를 위한 Parallel-Transmission RF 코일 구조의 비교와 최적화

        오창현(Chang-Hyun Oh),이흥규(Heung K. Lee),류연철(Yeun-Chul Ryu),정호(Jung-Ho Hyun),최혁진(Hyuk-Jin Choi) 대한전기학회 2007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4

        In high field (> 3 T) MR imaging, the magnetic field inhomogeneity in the target object increases due to the nonuniform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and relatively high Larmor frequency. Especially in the body imaging, the effect causes more serious problems resulting in locally high SAR(Specific Absorption Ratio).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timized parallel-transmission RF coil element structure and show the utility of the coil by FDTD simulations to overcome the unwanted effects. Three types of TX coil elements are test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and their driving patterns(amplitude and phase) optimized to have adequate field homogeneity, proper SAR level, and sufficient field strength. For the proposed coil element of 25 ㎝ × 8 ㎝ loop structure with 12 channels for a 3.0 T body coil, the 73% field non-uniformity without optimization was reduced to about 26% after optimization of driving patterns. The experimental as well as simulation results show the utility of the proposed parallel driving scheme is clinically useful for (ultra) high field MRI.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물고기, 어업 기술, 민족 관습: 식민지기 어업 경제 구조에 대한 경제인류학적 연구

        오창현 ( Chang Hyun Oh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5 韓國文化人類學 Vol.48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우선 19세기 후반 문헌에서 한국과 일본의 어업기술상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러한 기술적 차이가 특정 어종 민족적 선호에 기반하고 있었음을 보이는 것이다. 이어 이러한 민족적 선호 차이가 역사적 과정을 통해 형성된 문화적 사실임을 보이고, 그것이 식민지 시기 조선 어업(과 기술)의 전개 과정에 미친 영향을 경제인류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특정 물고기에 대한 민족적 선호, 즉 민족 관습의 지역적 다양성과 역사적기원을 검토한다는 점에서 민속학적 연구에 속하며, 한국과 일본의 민족 관습을 비교·검토하고 있다는 점에서 민족학적 연구이다. 또 식민지 시기 어업 경제 구조를 문화적 층위를 중심으로 해석한다는 점에서 경제인류학적 연구이기도 하다. 한일 양국의 해산물 무역은 메이지 초기부터 조선해에‘진출’하기 시작한 일본 어민들에서 비롯되었고, 일본 제국주의의 팽창과 함께 빠른 속도로 확대되어 나갔다. 이 논문의 2장에서는 개항 이후 일본 어민이 조선 어민과 조우하며 인식하게 된 양국의 어업기술상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러한 양국의 어업기술적 차이가 선호의 어종의 차이에 근거하고 있었다는 점을 규명할 것이다. 그리고 3장에서는 특정 어종에 대한 양국의 상이한 선호가 양국 간의 자연환경과 경제 수준이 아니라 물고기에게 부여되는 상징적 의미와 그것의 역사적 형성 과정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참도미[일본어‘마타이(眞)’]를 사례로 설명할 것이다. 이를 통해 특정 어종에 대한 양국의 선호와 소비 관행이 장기적인 사회 변동 속에도 불구하고 전승되는 실천양식이자 해당 사회의 역사적 특수성을 드러내는‘문화적 사실’임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 4장에서는 특정 어종에 대한 민족적 선호라는 문화적 사실이 식민지 시기 어업 경제 행위와 구조를 규정하고 있었다는 점을 보여 줌으로써, 경제인류학적 관점에서 식민지 시기 어업 경제를 해석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firstly to reveal the differences between fishery technologies of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examine the extent to which such differences were based on customs and ethnic preferences for particular fishes. This article clarifies that such preferences and customs were historically built in the longterm and analyzes the impact of the differences upon the development progress of the Joseon fishery (and technology)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seafood trade between Joseon and Japan was triggered by Japanese fishermen who caught the fishes in Korean seas to smuggle to Japanese fish markets or to sell Korean on-board dealers. It eventually expanded in step with the expans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e second section of this article reveals that Japanese fishermen were able to detect the technological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fisheries, and clarifies that such dissimilarities originated in ethnic preferences for particular fishes. The third section demonstrates that examples such as pagrusmajor (‘cham-domi’in Korean, ‘matai’in Japanese), are indicative of the different preferences of two ethnic groups, related not to natural environments and economic development levels, but to symbolic meanings of fishes and each society’s historical formation. The customs and preferences for particular fishes were both the practices that have consistently been formed despite long-term social changes, and ‘cultural facts’that implies historical specificity of each country. The fourth section reinterpret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fishery during the colonial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 anthropology, by showing the fact that customs and ethnic preferences for particular fishes oriented economic behaviors and structures of each country.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 후기 서해 선인(船人)의 의례와 상징 그리고 계층적 전유: 20세기 서해 어민의 의례와 상징물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

        오창현 ( Chang Hyun Oh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4 韓國文化人類學 Vol.47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먼저 19세기 (20세기 전반기까지 서해에서 광범위하게 관찰되던) 선인들이 올리던 선상 의례의 사회문화적 특질과 정치경제적 조건 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나아가 어민 의례에 사용되는 상징물을 검토하고 당대 지배층과 피지배층이 이 상징 물을 매개로 상호작용하면서 동시에 계층적으로 전유해 가는 방식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1895년 오횡묵이 서울 마포에서 전남 지도까지 향해하며 기록한 일기 속의 선인의 의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흔히 조직되지 않는 민간신앙이 나 지역 내 ‘소전통’ 수준에서 다루어져 왔던 선인들의 의례와 상징이 조선 후기의 행 정 군사 지역 설화 등과 복잡하게 얽혀 있는 총체적인 문화현상이었음을 보인다. 이어서 본 논문은 각종 민속 보고서와 유물자료 들을 검토해, 선인의 의례에 사용되던 의례기의 상징적 의미들이 지배승과 피지배승을 매개하면서 전유되던 방식을 검토한다. 먼저 선인들이 사용하는 의례기 중 가장 높은 신격을 표상하는 상자기가 지배층인 국가와 피지배층인 선인들에 의해 각기 전유되는 빙식을 살펴본다. 나아가 선인들이 사용하던 여러 의례기를 분석해 선인들의 세계관이 중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보여 줄 것이다. 상자기 외에도 조선 후기 공간 관념을 표상하는 오색기의 상징적 의미를 지배층과 피지배층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그리고 본 논문의 끝에서는 상징물의 변화 과정을 추적해 근대기 세계관의 변형과 그 의미에 대해서도 언급할 것이다. The first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of fishermen``s shipboard rites in the 19th century, which have been widely observed continuing until the present. The second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ymbols which have been used in fishers`` rites, and to clarify how each of the upper and lower classes appropriates the symbols in particular ways, while at the same tim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the symbols.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analysis of the sailors`` rites that Oh Hoeng Muk (1834-1906) described in his diary while sailing from Seoul 10 Jeonnam Ji-do in 1895. This analysis reveals the sailors`` rites, which have been treated as ``local traditions" or folk beliefs, were culturally holistic phenomena intermingled with the administrative, military, and local mythological beliefs prevalen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article continues by examining the various documents of folkloric research, and demonstrates how the symbolic meaning of the ‘above’ flag [上字旗] among several ritual flags were appropriated by each of the upper and lower classes. Furthermore,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symbolic structure and meaning of several ritual flags were representative of the sailors`` universe which was multi-concentri-cally constructed. In additio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five-colored flags were also appropriated by each of both upper and lower classe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five-colored flags represents the universal spatial cognition encompassing all classes including fishers, officers, and royal courts in the ancient times. Finally, by tracing the changes of symbols, this study explains the transformation of the symbolic structure and its meaning during the moder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