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표대기 미세먼지 정화를 위한 식물체 음이온 발생량 분석 및 음이온의 미세먼지 기대정화지수 평가

        오득균,주진희,Oh, Deuk-Kyun,Ju, Jin-Hee 한국환경과학회 2020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9 No.6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negative air ions on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nd evaluates the expected purification efficiency of open spaces for particulate matter by investigating the amount of negative air ions generated by plants. This study establishes a negative air ion generation treatment environment, plant environment, and control environment to measur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particulate matter under the conditions of each, analyzing the expected purification efficiency by designing a particulate matter purification model. Results show that the amount of generated negative air ion according to environment was negative air ion generation treatment environment > plant environment > control environment; this order also applies to the particulate matter purification efficiency. Moreover, it took 65 min for the negative ion generation treatment environment, 90 min for the plant environment, and 240 min for the control environment to reach the standard expected purification efficiency of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of 960 mg/㎥ for PM<sub>10</sub>. For PM<sub>2.5</sub>, with the designated maximum concentration of 700 mg/㎥, it took 60 min for the negative ion generation treatment environment, 80 min for the plant environment, and more than 240 min for the control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expected purifica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control environment was quadrupled in the negative ion generation treatment environment and tripled in the plant environment on average.

      • KCI등재

        녹지 내부 바람통로가 기상요소와 음이온 발생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오득균,윤용한,Oh, Deuk-Kyun,Yoon, Yong-Han 한국환경과학회 2020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internal wind paths of open space and its effect on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 generation of negative air ions. Various types of internal wind paths of open space were formed. Subsequently, changes in meteorological factors in each type were measured and the generated negative air ions were analyzed. The four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wind speed formed inside the open space was analyzed such that the difference in wind speed was dependent on the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the wind path. Second, the negative air ion generation was observed to have the same trend as the average wind speed difference. Third, changes to the meteorological factors were more evident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wind path formation patterns. Solar radiation was expected to be highly affected by the physical structure (direction) of the target site. The relative humidity was found to show larg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t wind path type; however,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reduced when converting to absolute humidit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wind path formation type of open space affects meteorological factors through path analysis, and the changed meteorological factors affect the amount of generated negative air ions. Two conclusions can be obtained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the changes in internal wind speed formation of open space directly reduced the amount of generated negative air ions. Second, the changes in wind speed affect meteorological factors as well as the amount of generated negative air ions.

      • 녹지 배치형태 차이에 따른 음이온 발생 평가 모델

        오득균 ( Deuk-kyun Oh ),최원준 ( Won-jun Choi ),허혜 ( Hui Xu ),김원태 ( Won-tae Kim ),김정호 ( Jeong-ho Kim ),윤용한 ( Yong-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도시에서의 환경은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상황에 녹지의 확보는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인간의 건강에 이로운 피톤치드, 음이온 등을 생성한다. 특히 음이온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인간의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안정된 반응을 나타내는 등의 효과가 1960년대에서부터 꾸준히증명되어왔다. 현재에는 이러한 음이온의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음이온 발생기 등의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으로 상용화된 상황이다. 현재까지 음이온발생량 측정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수행되었으나, 음이온과 기상요소관계에 있어 연구자에 따라 그 결과가 각기 상이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음이온과 기상요소관계를 규명하고 음이온 발생의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녹지의 배치구조에 따른 음이온 발생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무궁화(Hibiscus syriacus)를 활용하여 녹지의 배치모형을 정방형으로 외부 테두리에녹지가 1m폭으로 조성된 유형(Type A), Type A에서 내부 1m2의 녹지가 조성되어있는 유형(Type B)으로 조성하였다. 측정시기는 2015년 06월부터 08월까지 약 3개월간 진행하였으며, 강우 등 연구의 목적에 맞지 않는 날의 경우 제외하였다. 측정시간은 식물의 광합성이 활발한 시간을 고려하여 오전 11시부터 16시까지 측정을 진행하였다. 음이온 측정의 경우, 컴퓨터를 활용한 자동측정 방식을 활용하였다. 기상요소의 경우 기온,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을 자동기상관측기기(AWS)를 활용하여 2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분석에 있어 기상요소의 차이에 따른 음이온 발생량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일한 기상상황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녹지배치유형의 차이에 따른 기상요소의 차이는 일평균기온은 녹지배치형태의 차이에 따라 그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기온은 Type A에서, 상대습도의 경우 Type B에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사량의 경우 녹지의 배치형태가 내부에 수목이 식재된 Type B에서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사량이 높은 유형에서 기온이 높았으며, 고온역에서는 저습역이 저온역에서는 고습역이 형성된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유형별 음이온 측정결과 Type A> Type B 의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측정시간에 따라 각기 상이한 결과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사가 높은 시간인 11~13시의 경우 Type A > Type B 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온이 높은 시간대인 13~15시의 경우, Type A > Type B의 순으로, 15~16시의 경우Type B > Type A의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각의 녹지배치 형태에 따른 기상요소와 상관성 분석결과 Type A와Type B는 각각의 기상요소가 음이온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이 각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였다. 이러한 결과는 변수들에 대한 특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변수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경우 각기 상이한 결과가 일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녹지의 배치유형에 따라 음이온 발생량에 차이가 있으며, 배치형태 뿐만 아니라 시간의 차이에 따라서도 유형별 발생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음이온발생량 측정 연구에 있어 사용하는 변수에 대한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공원 및 도시녹지 조성에 있어 녹지의 배치뿐만 아닌 도시민의 이용시간 등을 고려한 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제2분과 : 도시생태 ; 도심지 대규모 공원이 주변 음이온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오득균 ( Deuk Kyun Oh ),양성철 ( Sung Chel Yang ),이창우 ( Chang Woo Lee ),김정호 ( Jeong Ho Kim ),윤용한 ( Yong 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무분별한 도시개발과 인구집중으로 인해 현재의 도시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도심지내 녹지면적 확충, 바람길 형성, 도심 하천의 복원 등 많은 노력이이루어지고 있다. 도시계획시설로서의 녹지는 실외 레크레이션장으로 이용됨은 물론, 도시 내에서 절대적으로 부족한자연과의 공감대 형성에도 크게 기여하며,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저감, 소음완화, 미기후 조절 등 공익적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녹지의 다양한 효과 중 식물의 광합성에 의해 발생하는 음이온은 일찍이 인간의 건강 증진에 대한 효과뿐만 아니라, 음이온의 전기적 특성에 의한 공기정화 효과가 제기되어 왔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었다. 음이온의 전기적 특성에 의한 공기정화의 경우, 내연기관과난방 시 화석연료가 연소할 때 발생되는 양이온성인 질소산화물(NOx)이 발생하고, 항원물질, 곰팡이, 포자, 박테리아, 세균 , 다이옥신류, 미세먼지 등이 섞여 있는데 이들은 모두양이온인 중이온으로 대전되어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에 음이온이 작용하여 중화시켜 무겁게 하여 지표로 가라앉게 되어 공기가 정화된다. 도시녹지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는 도시수목의 증산량 및 토지피목재료의 알베도를 측정하고 도시녹지에 의한 도시 미기후개선의 기능을 규명한 연구, 도시수목의 대기 CO2, SO4 및 NO4 흡수량을 계량화 하고 녹지면적과 여름철 온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대기환경개선에 기여하는 효과를 구명한 연구(조현길 등 2003), 도시공원에서 여름철 기온분포를 관측하고 녹지 내의 피복상태 및 수림형태와 온도저감간 관련성을 회귀분석을 통해 해석한 연구 등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도심지의 음이온 분포 측정 및 분석연구로는 녹지 및 비오톱 유형에 따른 음이온분포를 측정하고 도시생태인자와 기상의 음이온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연구, 도심지 생태복원 하천에서 하천의 내부와 주변부의 음이온을 측정하고 기상, 거리 와 음이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생태복원 하천이 도심지에 미치는 영향에 분석한 연구(김정호 등; )에 의하 진행 되었으나, 실제음이온이 미치는 영향범위를 파악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연구는 도심지 대규모 공원에서 토지피복에 따른 음이온을 측정하고, 거리에 따른 음이온을 측정하여, 공원 내 토지피복상태와 음이온간의 관련성을 회귀분석을 통해, 도심지 대규모 공원이 주변 음이온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로 선정한 인천광역시의 경우, 우리나라 5개의 광역시 중 약 3년간 순 전입인구가 가장 많으면서 꾸준한 인구증가로 도시 인구밀집에 따른 도시화가 가장 우려되는 도시이다. 이에 녹지의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개선이 가장시급한 도시로 판단되어 남동구 일원의 중앙공원 중 5지구와 7지구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측정지점의 경우 공원내 토지피복에 따라 구분하여 총 60지점을 측정지점으로 선정하였으며, 공원 외부의 경우 20m, 50m, 100m, 150m, 200m간격으로 선정하였다. 음이온 측정의 경우 Nico사의 Com 3200pro를 사용하여 측정지점에서 1분간 측정하였으며, 기온, 습도, 풍향, 풍속을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값에서 공원이 공원외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풍향은 서풍, 풍속은 1.5m/s이하의 값을 사용하였다. 측정결과 5지구 토지피복의 경우 녹지면적은 80.7%, 불투수 포장면적은 19.3%로 녹지면적이 공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7지구의 토지피복의 경우 불투수 포장면적62.2%, 녹지면적 37.8%로 5지구에 비하여 불투수 포장면적이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공원 내부 음이온 측정결과 5지구의 평균 음이온은 743ea/cm3로 측정되었으며 7지구의 경우 681ea/cm3로 측정되어 토지피복 특성 중 녹지면적비율이 높은 공원에서 음이온 측정값이 높았다. 거리에 따른 음이온 측정값의 경우 5지구의 풍상쪽 전체평균 음이온은 500ea/cm3로 측정되었으며, 공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음이온 측정값의 경우 50m = 100m > 20m > 150m > 200m 지점 순으로 측정되어, 거리에 따른 음이온평균값이 뚜렷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풍하쪽의 경우전체 평균음이온 661ea/cm3으로 측정되었으며, 20m > 50m = 100m > 150m > 200m 순으로 측정되어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음이온 평균값이 감소하였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편차는 크게 나타났으나, 약 100m 지점까지 녹지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7지구의 풍상쪽의 전체 평균음이온의 경우 623ea/cm3로 측정되었으며, 거리에 따른 음이온 측정값의 경우 50m > 100m > 200m > 150m > 20m순으로 측정되어 5지구 풍상쪽과 마찬가지로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풍하쪽의 경우 전체 평균 673ea/cm3로 거리에 따른 평균값은 20m > 50m = 100m > 150m > 200m순으로 측정되어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음이온 평균값이 감소하는 수준이었으나 전체 평균값에서 큰 차이가 나지않아 공원의 영향이 크게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추후 다양한 기상조건을 고려한다면 더 뚜렷한 경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현장발생토 활용 식재기반 조성유형별 소나무 생육 특성 평가

        오득균 ( Deuk-kyun Oh ),김필립 ( Phil-lip Kim ),윤용한 ( Yong-han Yoon ),김원태 ( Won-tae Kim ) 한국환경과학회 2019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8 No.8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horizon resources that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work. As such, the utility of A horizon resources was examined by establishing planting ground through a mixture of soil layers and by analyz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inus densiflora. The physico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 were as follows: the A horizon was sandy clay loam, B horizon was sandy loam, and the mixture of two layers appeared as sandy loam, which was identical to the B horizon. The experimental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hysical properties of porosity and degree of water-stable aggregates. With regards to chemical properties, the A horizon as well as the mixture of A and B horizon showed acidity while the B horizon showed alkalinity. The figures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and replaceable potassium were greater as the A horizon content increased, whereas the figures of replaceable calcium, replaceable magnesium, and conductivity increased as the A horizon content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inus densiflora in each planting ground, the final survival rates were all above 100%. However, the tree height and the rate of growth for the diameter of root were higher in the order of A horizon > A horizon + B horizon > B horizon,indicating that the increased A horizon content is related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inus densiflora. The treatment of soil with improvement agents, used to recover the functions of in-situ soil showing poor growth and development, did not have a clear impact on the soil texture and porosity. However, the degree of water-stable aggregate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using O horizon as the soil improvement agent among the types of in-situ soil. In contrast, all items related to the chemical proper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llowing the treatment by soil improvement agents. The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soil improvement agents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inus densiflora was higher in the order of organic horizon = no treatment > compound fertilizer > organic fertilizer + compound fertilizer > organic fertilizer;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marginal significance value of the log-rank test(p < 0.05).

      • KCI우수등재

        The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of College Students in Location Targeting Seonyudo Park in Autumn

        윤용한,오득균,김정호,Yoon, Yong-Han,Oh, Deuk-Kyun,Kim, Jeong-Ho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 재활용 환경공원이면서 경관감상과 주제체험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선유도공원 공원을 대상으로 내부 장소별 경관이 이용객의 기분상태 및 개선효과를 밝혀, 공원의 조성 그리고 주제공간이 건강에 미치는 정도를 조사하여, 향후 공원설계 및 조성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의미분별법(SD)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선유도 경관을 감상하였을 때 거의 모든 형용사 문구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각 공원의 내부 경관요소에 따라 피험자가 느끼는 감정 또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분상태검사(POMS) 결과, 긴장점수는 도심지(7.78) > 수질정화원(3.33) > 습생식물원(2.11) > 녹색기둥의 정원(2.00) > 시간의 정원(0.89)의 순, 우울점수는 도심지(4.94) > 수질정화원(3.50) > 녹색기둥의 정원(2.94) > 시간의 정원(1.61) > 습생식물원(1.38)의 순, 분노점수는 도심지(4.22) > 수질정화원(3.33) > 녹색기둥의 정원(2.22) > 시간의 정원(1.39) > 습생식물원(1.11)의 순, 피로점수는 도심지(6.5) > 수질정화원(3.39) > 녹색기둥의 정원(2.78) > 시간의 정원(2.28) > 습생식물원(2.06)의 순, 활력점수는 습생식물원(11.39) > 시간의 정원(11.00) > 녹색기둥의 정원(8.39) > 수질정화원 (7.77) > 도심지(5.28)의 순, 활력점수는 습생식물원(11.39) > 시간의 정원(11.00) > 녹색기둥의 정원(8.39) > 수질정화원 (7.77) > 도심지(5.28)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통계분석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경관유형의 차이에 따른 점수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종합정서장애(TMD) 분석 결과, 도심지(24.5) > 수질정화원(9.5) > 녹색기둥의 정원(4.67) > 시간의 정원(-1.39) > 습생식물원(-1.22)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The study discovers mood state and enhancement effect of users by scenery of location targeting Seonyudo Park; where is widely recognized as the representative recycling environmental park as well as theme experience space and scenery admiration in Korea. Also, the influence level of park and thematic space upon wellness was researched for future park design and its base data. As a result of semantic differential(SD), the most items showed low point in positive way when people admiring the scenery in Seonyudo. Also, a subject experienced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inside scenery element of the park. As a result of profile of mood states(POMS), a tension and anxiety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Urban (7.78) > Water Purification Basin(3.33) > Gardens of Water Plants(2.11) > Garden of Green Pillar(2.00) > Garden of Time (0.89). The depression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Urban(4.94) > Water Purification Basin(3.50) > Garden of Green Pillar(2.94) > Garden of Time(1.61) > Gardens of Water Plants(1.38). The anger and hostility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Urban(4.22) > Water Purification Basin(3.33) > Garden of Green Pillar(2.22) > Garden of Time(1.39) > Gardens of Water Plants(1.11). The fatigue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Urban(6.5) > Water Purification Basin(3.39) > Garden of Green Pillar(2.78) > Garden of Time(2.28) > Gardens of Water Plants (2.06). The vigor points were shown in order of Gardens of Water Plants(11.39) > Garden of Time(11.00) > Garden of Green Pillar(8.39) > Water Purification Basin(7.77) > Urban(5.28). Also, as a result of statistics analysis, difference value of scenery type is significant. The result of total emotional disturbance(TED) was analyzed in order of Urban(24.5) > Water Purification Basin(9.5) > Garden of Green Pillar(4.67) > Garden of Time(-1.39) > Gardens of Water Plants(-1.22).

      • KCI우수등재

        학교 숲 식재구조에 따른 음이온 발생량 비교 분석

        김정호,오득균,박용관,윤용한,Kim, Jeong-Ho,Oh, Deuk-Kyun,Park, Yong-Gwan,Yoon, Yong-Ha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5

        In this study, negative air ions, which can increase comfort and positively influence human health, was set as an evaluative factor for school forests. The characteristics, location and microclimate of school forests were examined to determine an effective school forest model for maximum negative air ion generation. It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green fields. The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green types. The order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was: single-layer structure($934ea/cm^3$) > multi-layer structure($794ea/cm^3$) > grass($553ea/cm^3$) > bare ground($529ea/cm^3$). As for the correlation with microclimate,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The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lanting type. The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 was higher at single-layer structure sites than at multi-layer structure sites, which appears to indicate that the temperature is higher when the vegetation structure was single-layer compared to multi-layer. Wind speed was higher at the single-layer planted site than at the multi-layer planted site. The vegetation wind shielding effect was lower at single-layer planted sites than at multi-layer planted sites. The single-layer planted site provided mor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generation and dispersion of negative air ions. 본 연구는 쾌적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인간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음이온을 평가인자로 설정하고, 학교별 녹지특성 및 배치, 기상요소를 구분하여 음이온 발생에 효과적인 학교숲 조성모델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도시녹지 조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음이온의 경우 식재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단층구조($934ea/cm^3$) > 다층구조($794ea/cm^3$) > 잔디($553ea/cm^3$) > 나지($529ea/cm^3$)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상요소와의 상관성의 경우, 기온과 부의 상관관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산분석 및 사후분석 결과, 식재구조의 차이에 따른 음이온발생량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녹지구조에 따른 음이온농도의 차이는 다층구조보다 단층구조에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다층구조에서 단층구조보다 기온이 더 높게 측정되었는데, 선행연구 고찰결과, 음이온 발생원에서 일정거리 이내에서는 기온이 높을수록 음이온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풍속이 다층구조 식재구조보다 단층구조 식재구조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는데, 음이온의 확산에 있어 단층구조 식재구조가 다층구조 식재구조에 비하여 수목에 의한 바람의 차폐가 상대적으로 덜 이루어져 음이온의 발생과 확산이 더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KCI등재

        옥상 도시농업에서 방울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와 바질(Ocimum basilicum)간의 공영식재가 생육, 생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주진희,송희연,오득균,박선영,윤용한,Ju, Jin-Hee,Song, Hee-Yeon,Oh, Deuk-Kyun,Park, Sun-Yeong,Yoon, Yong-Han 한국환경과학회 202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30 No.9

        This study evaluated the growth, physiological responses and productivity based on the intercropping ratio of cherry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L.) with basil (Ocimum basilicum L.). on the rooftops to determine out the efficient ratio in urban agriculture. From April to September 2019,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rooftop of Konkuk University Glocal Campus. Cherry tomato and basil were selected as companion plants for eco-friendly urban agriculture on the rooftops. Each plot was created with a width of 100 cm, length of 100 cm, and height of 25 cm. After installing drainage and waterproof layers from bottom to top, substrate was laid out with a height of 20 cm. Intercropping ratio was consisted of a single tomato plant (TC), 2:1 tomato to basil (T<sub>2</sub>B<sub>1</sub>), 1:1 tomato to basil (T<sub>1</sub>B<sub>1</sub>), 1:2 tomato to basil 2 (T<sub>1</sub>B<sub>2</sub>), and a single basil plant (BC), were conducted using a randomized complete plot design with five treatments and three replication (a total 15 plots). Measurements were divided into growth, physiological responses, and productivity parameters, and detailed item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ves, root length, root collar caliper, chlorophyll contents, fresh weight, dry weight, number of fruit, fruit caliper, fruit weight, and sugar content. Comparative analyses of cherry tomato with basil plants by intercropping ratio, growth, physiological, and productivity responses are determined to be efficient when the ratio of cherry tomato to basil ratio is 2:1 or 1:1.

      • KCI등재

        도로변 완충녹지 구조에 따른 소음저감효과 평가

        김정호 ( Jeong Ho Kim ),오득균 ( Deuk Kyun Oh ),윤용한 ( Yong Han Yoon ) 한국환경과학회 2015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4 No.5

        In this study, to targeting Songpa of Seoul, were analyzed the effect on the noise mitigation in roadside buffer green spaces. Noise of Songpa Street buffer green space was determined to be higher during the day than at night. In addition, it was most of 60 db or more. However, the noise reduction function of the buffer green was not greatly affected by time. In the case of noise reduction rate, during the day time it was the order of the mounding type (18.14%)> plain type (5.73%)> slope type (4.08%), And, in the case of night time, it was the order of the mounding type (11.29%)> slope type (10.22%)> plain type (4.42%). Noise reduction rate, all of the daytime, was the highest in the mounding type. As a result of the factors on the amount of reduction of noise, More physical structure is mounding type, green structure is the stratification of green space,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is large, the higher the tree planting density,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reduction effect is high. Also, factors affecting the noise reduction effect of the day and night were diffe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