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교통에서의 성추행피해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오도경(Do Kyeong Oh),박철현(Cheol Hyun Park) 한국피해자학회 2016 被害者學硏究 Vol.24 No.2

        This study is on sexual–harassment victimizations in public transports of the woman students(N=501) of D university in Busan, S. Korea, through a victim survey. Sample was selected with quota sampling by the distribution of departments. This data was analyzed with logistic regression technique on binary response, using SAS and SPSS. All hypotheses were inferred from lifestyle theory and routine activity theory and these hypotheses were divided into the proximity and expose with criminals, target attractiveness, and the absence of guardianships. Analysis on this data shows that these three factors, related with rational choice perspective, have some significant effects on sexual harassment victimization in public transports, but their effects is very differential in their effect sizes. Some variables of the proximity and expose with criminals and some variables of the absence of guardianships have only a small effects on sexual harassment victimization. But mainly wearing a showy and sexy dress, which is a variable of target attractiveness in sexual–harassment victimization, has a strong effect on sexual harassment victimization. Also, mainly wearing a showy and sexy dress has a stronger effect on serious sexual harassment victimizations(such as a sexual contact or grouping) than mild sexual harassment victimizations(such as a verbal harassment, a leaning, a picturing a part of body, and etc..)

      • KCI등재

        취약성과 무질서가 20대 청년의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효과

        정태정 ( Jung Tae-jung ),오도경 ( Oh Do-kyeong ),박철현 ( Park Cheol-hyun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7 공공정책연구 Vol.33 No.2

        최근 범죄피해의 두려움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최근 지역주민의 범죄피해의 두려움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 경찰활동의 목표가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주로 다루어 왔던 직접피해모델, 간접피해모델, 취약성모델, 무질서모델, 비공식 사회통제모델, 그리고 공식 사회통제모델들을 통해 범죄피해의 두려움이 주로 어떤 요인에서 기인하는지를 살펴본다. 이 연구의 자료는 2015년 11월 약 한달 정도의 기간 동안 부산과 대구에 거주하는 20대를 학원생(N=363)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이다. 이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는 취약성과 지각된 무질서가 젊은이의 범죄피해의 두려움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서 여성일수록, 그리고 지각된 무질서가 클수록 더 많은 범죄피해의 두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접적인 범죄피해경험도 약간의 영향을 미쳤지만, 이것은 폭행이나 절도와 같이 자주 발생하는 범죄에 한해서 범죄의 두려움에 유의미한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접피해경험이나 경찰에 대한 신뢰도는 다변량모델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 결과는 지역주민의 범죄피해의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 보다 폭넓은 지역의 무질서를 제거하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20대의 청년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는 취약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다음으로 지각된 무질서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Recently, many researchers are paying attention to fear of crime, because reducing fear of crime among local inhabitants is gradually becoming to an important goal of polic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important causes on fear of crime among 20s young people - existing models explaining the cause of fear of crime is largely divided to three models(victimization model, vulnerability model, and social control model). This study used survey data(N=363) on young people(98.6% is 20s) living in Busan and Daegu. They were interviewed for a month(Nov. 2015). Analysis on this data shows that vulnerability and disorder have significant effects on fear of crime - vulnerability is most important and disorder is second. In other words, girls feel more fear of crime and people who is perceived more disorder feel more fear of crime, too. Also, variables of girl and disorder relatively have strong effects on fear of crime, regardless of the types of crime. And this analysis shows that a direct victimiz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ear of theft and assault crime, but no significant effects on robbery of sexual crime. This shows that a direct victimization has an effect on fear of only high-risk, but less serious, crimes, such as theft or assault. But an indirect victimization or a reliability on police and policing don`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fear of crime in our multi-variated model which controls some other theoretical variables. This result shows that community policing to reduce a disorder in local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