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블리오드라마가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직업인성에 미치는 효과

        오대연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group counseling on bibliodrama has positive effects on career barriers and professional personality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even students who have career concerns among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J city. The group counseling for the bibliodrama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0 sessions. The first session was held on July 5, 2020 at 18:00, and after the program was introduced, and the movie “Son of God” was screened, which is necessary for the conduct of the bibliodrama. Each member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as subjected to a career barrier test and an occupational personality test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However, during the course of the program, one student was absent one day and was excluded from the post-test. Therefore, the post-test was conducted for only 6 subjects,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programs using bibliodrama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overcoming career barriers for college students. Second, group programs using bibliodrama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professional personality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effects of bibliodrama were discusse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비블리오드라마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장벽 극복과 직업인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은 J시에 위치한 대학교 학생 중 진로 고민이 있는 학생 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비블리오드라마 집단상담은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1회기는 2020년 7월 7일(화) 18시에 실시하여 라포 형성, 프로그램 소개와 비블리오드라마 진행에 필요한 영화 ‘선 어브 갓(Son of God)’을 시청하였다. 2회기∼10회기는 7월 10일(금)부터 7월 12일(일)까지 매일 3회기씩 각 회기 90분씩 진행되었다. 실험에 참여한 각 구성원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 진로탐색장애검사와 직업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학생 1명이 하루 불참하여 사후검사에서는 제외되었다. 따라서 사후검사는 6명만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블리오드라마를 활용한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진로장벽 극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 어려움,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나이 문제, 신체적 열등감, 미래 불안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둘째, 비블리오드라마를 활용한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직업인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적 덕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블리오드라마의 효과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심리극명상을 활용한 레인메이커 리더십의 효과와 영향 요인 분석: 교사의 학교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오대연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sychodramatic meditation model that can complement the strengths of the two treatment techniques by integrating psychodrama and meditation.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ainmaker-leadership program using psychodramatic medi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d the change. For the experiment, six experimental groups and six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located in J City. The program has a total of ten sessions and was conducted for 100 minutes each Monday and Wednesday for five weeks from October 25, 2021 to November 24, 2021.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ubjected to pre-post tests and analyzed through the Mann-Witney U Test. After the program was over,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changed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s that the rainmaker-leadership program using psychodrama medit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were summarized as six factors as the cause of the effectiveness of the rainmaker-leadership progra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effects and new directions of psychodramatic medit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심리극과 명상을 통합하여 두 치료기법의 장점이 상호보완될 수 있는 심리극명상 모델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심리극명상을 활용한 레인메이커 리더십(Rainmaker-Leadership) 프로그램이 교사의 학교조직효과성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변화를 일으킨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J시에 소재한 초등 및 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6명과 대조집단 6명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2021년 10월 25일부터 2021년 11월 24일까지 5주간 매주 월요일과 수요일 각 100분 실시되었다.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고 Mann-Witney U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이 끝난 후 교사들의 학교조직효과성 변화 요인을 탐색하고자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2021년 12월 1일부터 12월 21일까지 개별 심층면담 1회와 그룹면담 1회를 통해 수집되었다. 양적분석 결과에서는 심리극명상을 활용한 레인메이커 리더십 프로그램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직무만족과 조직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질적분석 결과에서는 레인메이커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 원인은 6가지 요인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리극명상의 효과와 새로운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폭력피해 외상경험과 스트레스반응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변인으로 -

        오대연,김경보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6 초등상담연구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의 폭력피해로 인한 외상경험이 정신건강과 관련한 스트레스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교사의 폭력피해로 인한 외상경험, 우울, 분노, 불안, 신체화 등의 스트레스반응, 인지적 정서조절 능력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피해 외상경험을 가지고 있는 교사집단이 폭력피해로 인한 외상경험을 가지고 있지 않은 교사집단보다 더 심한 우울, 분노 및 신체화와 같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폭력피해 외상경험과 인지적 정서조절 중 수용 및 반추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폭력피해 외상이 심한 초등교사일수록 수용이라는 적응적 조절전략을 사용하여 환경에 적응해 나가고 있는 반면, 반추라는 부적응적 조절전략을 사용함으로써 현재 생활에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과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조절전략은 신체화와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부적응적 조절전략은 우울, 불안, 분노, 신체화 등 스트레스반응 모두에 정적상관을 보였다. 넷째, 폭력피해를 경험한 초등교사의 외상경험과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인 인지적 정서조절 중 수용과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수용은 폭력피해로 인한 외상경험과 신체화를 부분매개하였고, 반추는 폭력피해로 인한 외상경험과 분노와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를 그리고 신체화와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를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raumatic experience by the elementary teacher’s violence victimization affected the stress response related to the mental health,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during that process. For thi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100 elementary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sking whether having the traumatic experience by the teacher’s violence victimization, stress response such as the depression, anger, anxiety, and somatization, and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e teacher group having the violence victimization traumatic experience underwent the stress such as the more serious depression, anger, and somatization than the teacher group not having the traumatic experience by the violence victimization. Second, it was revealed it had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acceptance and rumination between the violence victimization traumatic experience and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Third, while the adaptive regulation strategy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somatization in the relationship of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stress response, the maladaptive regulation strategy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to the stress response such as the depression, anxiety, anger, and somatization.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cceptance and rumination among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s which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of the traumatic experience of elementary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violence victimization and the stress response, the acceptance partially mediated the traumatic experience by the violence victimization and the somatization, and the rumination entir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of the traumatic experience by the violence victimization and anger, and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matiz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necessity of the follow-up study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에니어그램 ‘자아발견과정’ 중심 심리극이 초등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효과

        오대연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lf-discovery’ psychodrama model applying the ‘nine layers of the self-discovery process’ presented in Enneagram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rough application of case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sychodrama model for self-discovery,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f sev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 total of 10 psychodrama group counseling sessions were conducted for two groups of 2 sessions each day for 5 days from July 31, 2019 to August 6, 2019.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by using the burnout scale to confirm the positiv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post burnout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self-discovery’ psychodrama.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urnou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the ‘self-discovery’ psychodrama. 본 연구의 목적은 에니어그램에서 제시한 ‘자아발견과정의 아홉 개 층’을 적용한 ‘자아발견’ 심리극 모델을 제시하고 사례 적용을 통하여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에니어그램은 자아발견의 9가지 층을 1단계인 ‘습관적인 자아이미지’부터 9단계 ‘개인을 넘어 우주로 존재하기’로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성을 주로 다루는 8, 9단계를 제외한 1∼7단계의 과정을 심리극을 통해 행위화하는 과정을 제시하고 설명하였다. 자아발견을 위한 심리극 모델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초등교사 7명씩으로 구성된 실험군과 대조군을 선정하였다. 실험군을 대상으로 2019년 7월31 ∼ 2019년 8월6일 5일간 각 회기 120분간 매일 2회기씩 총 10회기 심리극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소진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하고 분석하였다. 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사후 결과 분석에 Ma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발견’ 심리극 실시 후 실험군 집단 내 사전-사후 소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아발견’ 심리극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 집단 간 소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심리극을 활용한 적극적 상상’이 성인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오대연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ctive imagination program using psychodrama and examine its effects.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the adult group and examined whether there were any positive changes in career maturity. For adults residing in the city of J, 6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6 people in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The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and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November 25, 2020 to January 27, 2021, for 120 minutes each Wednesday.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 career maturity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 career maturity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analysis, the Mann-Witney U Test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rior homogeneity analysis, the two groups were found to be homogeneous. Second, in the post-mortem analysis, the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h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ur sub-factors, interest, control, curiosity, and confide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new direction of psychodrama were discusse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심리극을 활용한 적극적 상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J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6명과 대조집단 6명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2020년 11월 25일부터 2021년 1월 27일까지 주 1회 매주 수요일 각 120분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의 동질성 확인을 위하여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두 집단의 차이 분석을 위해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Mann-Witney U Test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동질성 분석 결과 두 집단은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후 차이분석에서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는 대조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4개의 하위 요인인 관심, 통제, 호기심, 자신감에서도 실험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와 심리극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오대연,이병임 한국보육학회 2017 한국보육학회지 Vol.17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ompetency on career stress and the effect of career aspration as a mediay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mpetency and career stress. The survey based on self report questionnaires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200 students in child education and care college in Gyeonggido areas.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 First, the result which examined the cor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has found to b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hip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ompetency, career stress and career aspiration.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ompetency and career aspiration hav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ut career stress and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and career aspiration have found to have the negative correlationship. Second, the result which examined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aspi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mpetency and career stress has found that career aspiration has the complete mediated effects. Consequently,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spiration were confirm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in the study meanings. limitations and proposals for next studies in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의 보육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핵심역량과 진로스트레스 그리고 진로포부 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과 진로포부 그리고 진로스트레스의 상관관계는 핵심역량이 높을수록 진로포부는 높아지고 진로스트레스는 낮아졌다. 둘째, 핵심역량과 진로포부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핵심역량의 하위요인인 자질과 태도 및 능력역할과 진로포부는 진로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직접적인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진로포부를 매개로한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핵심역량은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부분에서는 연구에 대한 논의 및 제한 그리고 추후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교사리더십 및 교사효능감이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

        오대연,이병임 한국인격교육학회 2019 인격교육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with three objectives in mind: (1) to examine the relation of core competency, leadership and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2) to determine whether teachers’ leadership skills influenced their core competency; (3) and to determine whether teachers’ efficacy influenced their core competenc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eachers’ leadership and 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core competency; (2) teachers’ leadership explained about 51.6% of the variance in teachers’ core competency. (3) teachers’ leadership and efficacy explained about 59.4% of the variance in their core competenc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grams for teachers’ leadership and efficacy must be further develop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이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J시 소재 초등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교사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수역량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 SPSS 18.0을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여교사가 남교사 보다 많았고 교사경력은 5년 이상 10년 미만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교사리더십과 교사효능감 그리고 교수역량의 상관은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리더십의 하위요인에 대한 교수역량의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는 목표지향성과 공동체성이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에 대한 교사역량의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교수전략과 수업관리가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역량에는 교사리더십과 교사효능감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수역량 강화를 위해 교사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을 고취시키기 위한 교사 스스로의 노력과 국가, 시 도 교육청 단위의 프로그램 개발, 적용, 검증 및 이론적 고찰 그리고 제도적 장치마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심리극 집단상담의 대학생 외상 치유 효과

        오대연(Oh Dae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극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외상 치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실험에서는 심리극에 참여하여 주인공 경험을 하는 주인공 집단과 참관하는 참관자 집단으로 두 개의 실험군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J시 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28일부터 2019년 5월 30일까지 10주 동안, 주 1회 각 90분씩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실시 후 주인공 실험군 10명과 참관자 실험군 10명으로 구분되었으며, 실험 결과를 실험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심리극 진행 전과 후 ‘외상 후 진단검사’를 실시하여 외상의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집단 간 사전 및 사후 결과 분석을 위해 Ma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극 실시 후 ‘주인공’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외상 증상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극은 주인공으로 참여한 집단의 외상 치유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참관자’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외상 증상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심리극은 참관만 하는 참여자 집단의 외상 치유에는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주인공’ 실험군은 ‘참관자’ 실험군에 비교하여 외상 증상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리극의 외상 치유 효과를 Bessel(2014)이 제시한 외상 3단계 과정에 따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sychodrama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healing trauma of university students. In this experiment, w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the ‘main character’ group who participated in psychological play and experienced the main character and the ‘observer’ group. To this e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90 weeks, from March 28, 2019 to May 30, 2019, for 24 college students in J City. Aft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t was divided into 10 main experimental groups and 10 observer experimental group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Before and after psychological drama, the degree of trauma was measured by diagnostic diagnosis test and Ma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re and post result between group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psychological play, the main character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trauma symptom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rauma symptoms in the observer experimental group. Third, the main character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trauma symptoms than the observer experimental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rauma healing effects of psychodrama we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trauma three-step process presented by Bessel (2014).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학교 폭력 피해자 위한 심리극 만남 모델 개발과 사례 연구

        오대연(Oh Dae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폭력 피해자 치유를 위한 심리극 모델을 제시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은 만남 중심의 심리극 모델이다. 이는 기존의 모델들을 분석하여 사건 중심의 심리극 모델에서 인물들과의 만남을 중심 으로 보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만남 중심 모델을 사건, 상황설정, 타인만남, 자기만남, 마무리 5단계로 제시하였으며, 각 단계별 주요 활동을 제시하였다. 또한, 모델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대학생 세 명의 사례 연구 를 2019년 3월 14일 실시하였다. 모델을 토대로 심리극 진행자가 심리극을 진행하였고, 모델에 따른 심리극 진행이 어떠한 치유적 변화를 일으켰는지 ‘외상 후 진단검사(PDS)’를 실시하여 단기 효과와 장기 효과를 분석하였다. 만남 모델을 적용한 심리 극 진행 결과, 세 명의 참여자들 모두 심리극 진행 전에 있었던 학교폭력 피해 트라우마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인물중심, 만남중심의 심리극적 접근의 효과성을 입증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만남모 델을 활용하여 학교폭력 피해 치유뿐 아니라 다양한 문제 영역에 적용, 검증 및 이론적 고찰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psychodrama model of a victim of school violenc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The new model is encounter-model that focuses on being out of other’s negative influence by encountering not incidents but humans. This model consists of 5 steps (Incident, Situation setting, Meet other people, Meet yourself, Wrap-up). This model was applied to 3 victims of school violenc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much less trauma symptoms both of them, (2) they said that they could more positively meet themselv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a need for a magnified encouter-model that could be applied to many problem situations.

      • KCI등재

        정보처리이론에 근거한 인강(인터넷 강의) 학습법의 효과 분석 :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수업참여도를 중심으로

        오대연(Oh Dae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인터넷 강의(인강) 학습을 위하여 정보처리이론에 근거한 인강 학습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정보처리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인강 학습법을 대학생들에게 교육하여 학습전략과 수업참여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집단은 J시 소재 대학교 재학 중인 대학생 7인으로 구성되었다. 집단프로그램은 2020년 11월 11일부터 12월 9일까지 매주 2회씩 총 10회기 진행되었다. 각 회기는 60분씩 구성되었다. 집단 프로그램 진행 전과 후 학습전략과 수업참여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결과 분석을 위해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강 학습법 집단프로그램은 학습전략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전략 중 도움구하기를 제외한 하위전략들의 점수는 실험 전에 비해 p<.05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인강 학습법 집단프로그램은 수업참여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전략 중 수업확장하기를 제외한 하위전략들의 점수는 실험 전에 비해 p<.05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처리이론에 근거한 인강 학습법의 효과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Internet Lecture’ learning method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examine its effects.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positive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and class participation by educating college students with the ‘Internet Lecture’ learning method developed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he experimental group of this study consisted of 7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university located in J city. The group program was held twice a week from November 11 to December 9, 2020, for a total of 10 sessions. Each session consisted of 60 minutes. Before and after the group program, learning strategy and class participation were tested,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ing the learning strategies excluding seeking help. Second, the group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ing class participation excluding class exten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ffect of the ‘Internet Lecture’ learning method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