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고자료로 본 3~6세기 고성지역 정치체의 성장과 변천

        여창현(Chang Hyun Yeo) 영남고고학회 2023 嶺南考古學 Vol.- No.96

        본고에서는 고고자료를 통해 3세기부터 6세기 중후반에 걸쳐 고성지역에서 기원하고 성장한 정치체의 공간적 영역의 변동에 따른 통시적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성 일대는 약 1,800년 전 이후 해수면이 다시 상승하면서 고성만을 통해 기항이 가능해졌고, 고성천 충적 평야 일대는 담수호가 형성되면서 가경지의 확보가 이루어졌다. 동외동 유적은 고성만에 연한 3~4세기 무렵에 형성된 거점 취락으로 서 당대인들이 환호를 중심으로 의례 공간, 주거지, 철 생산 시설, 패총 등 기능에 따라 공간을 분할하여 장기간 점유한 모 습을 볼 수 있다. 인근의 고성읍성지 유적에서 확인된 유물을 통해 볼 때, 동외동 유적을 형성한 삼한인들은 기원 전부터 형성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북방의 낙랑, 일본열도의 구주지역 집단 등과 활발한 대외 교역을 통해 고성 분지 일원을 통 합한 지배적인 집단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4세기가 되면 중국 군현의 축출, 금관가야의 성장 등 영남지역의 정치체들 간 원격적인 교역 체계는 다원화된 중심지들 사이에서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4세기 전반대의 고성 동외동 유적을 비롯한 남해 연안에 위치한 고지성 취락들의 지 정학적 위치와 성격을 볼 때 문헌에 기록된 포상팔국전쟁의 양상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후 고성지역 정치체는 영남 내륙의 고식도질토기 문화를 공유하고, 경남 서남부 지역과 남해안 거점 지역 사이에 형성된 토기 생산 체계에 속하 면서 정치체 상호 간에는 이해 관계에 따라 느슨한 결속을 유지하였다. 5세기가 되면 주변국과의 교역 체계가 다시 재편되고, 중심고분군의 등장과 함께 특정 정치체가 지배적인 위상을 점하 게 되는 수지적인 관계의 형성이 뚜렷해진다. 고성지역 내 송학동 고분군을 비롯하여 고총의 다곽식 고분은 특별한 계승 관계를 바탕으로 누세대적으로 형성된 지배층의 권위를 상징적으로 드러낸 물질문화이다. 고성지역 중심고분군에서 출 토된 외래계 유물은 주변 세력의 역학 관계 속에서 착장용 금공품과 마구를 중심으로 변화되며, 동시에 그들의 정체성과 지향점이 투영된 결과물이다. 특히 6세기 초 무렵에 축성된 만림산 토성은 소가야 지배층의 집권적 통제와 최고의 토목 기술이 반영된 구조물이자 제 가야의 왕성과 비견되는 소가야 정치체의 왕성으로 볼 수 있다. Through archaeological data,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process of transitional chang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patial domain of political bodies originating and growing in the Goseong area from the 3rd to the mid-to-late 6th century. Since about 1,800 years ago, the sea level in the Goseong area has risen again, making it possible to call port through Goseong Bay, and in the Goseongcheon alluvial plain area, freshwater lakes were formed, securing temporary land. Dongoe-dong Shell Mound is a central settlement formed around the 3rd and 4th centuries in Goseong Bay, and it can be seen that contemporary people divided the space according to functions such as squares, residences, steel facilities, and shell mounds. From the relics identified in the nearby Goseong-eup Fortress Site, the Samhan people who formed the Dongoe-dong Shell Mound were able to grow into a dominant group that integrated the Goseong Basin through active external trade with Nakrang in the north and Guju groups in the Japanese archipelago. In the 4th century, the remote trading system between politicians in the Yeongnam region, such as the expulsion of Chinese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the growth of Geumgwan Gaya, will face major changes among diversified centers. By the 5th century, the trading system with neighboring countries was reorganized again, and with the emergence of central tombs, the formation of a resinous relationship in which a specific political body took the dominant position became clear. Foreign relics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 group in the center of Goseong area are changed around the metalwork and harness for dressing in the dynamics of the surrounding forces, and at the same time, their identity and orientation are projected. In particular, Manlimsan Saturn, built around the early 6th century, can be seen as a structure that reflects the ruling control of Sogaya and the best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and as a robustness of Sogaya politics.

      • KCI등재

        소가야양식 토기의 분포정형과 집단의 추이

        여창현(Yeo, Chang Hyun) 영남고고학회 2021 嶺南考古學 Vol.- No.90

        본고는 경남 서부지역의 남강 수계와 남해안의 만을 거점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분군 중 같은 양식의 토기를 공유한집단을 소가야 세력으로 인식하고, 영남 각지에서 후기가야의 소국들이 출현하는 5세기 전반 무렵부터 가야가 멸망하는 562년까지의 시간적 범위에서 소가야양식 토기를 편년하고 단계별 토기의 분포정형을 통해 중심고분군의 변천을살펴보고자 하였다. 소가야양식 토기의 편년은 10기종을 대상으로, 발생순서배열법(Occurrence seriation)에 따른 ‘속성-형식-형식조열(일괄관계)-분기’의 분석 과정을 통해 Ⅰ~Ⅴ단계로 구분하였다. 편년은 400년 이후로 상정되는 일본 열도 초기 스에키 연대와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소가야계 토기의 하한(475년)을 근거로, 이후 TK208~TK10형식까지 스에키와 공반된소가야양식 토기의 연대를 비정하고 영남지역의 주요 고분군의 병행 관계 유물을 검증하여 도출하였다. 소가야양식 토기의 형식변화와 단계별 분포정형을 통해 출현기-성립기-성행기1-성행기2-쇠퇴·소멸기로 구분하고, 토기양식 분포정형의 변화를 소가야 중심고분군의 변천으로 이해하였다. 5세기 전반 무렵 함안지역의 말이산 고분군축조 집단의 영향으로 형성된 소가야 세력은 5세기 중후반 중심고분군의 축조와 함께 다자간 결합된 비정형적인 토기양식의 분포를 보인다. 6세기 초에는 남강 수계의 내륙 집단은 중촌리 집단과 삼가 집단의 결합으로 재편되며, 남해안의 고성만을 중심으로 송학동 집단이 새로운 중심 세력으로 대두된다. 이후 소가야 세력의 쇠퇴와 점적인 영역의 변동과 축소 과정은 대가야의 남진, 530년을 전후한 신라의 가야 남부 제국의 병합, 562년에 이르러 최종적으로 가야 전역이 복속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Among the many ancient tombs form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sangnam-do and the bay on the south coast, recognized the groups that shared the same type of stoneware as a group of Sogaya, and wan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ancient tomb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stoneware from the first half of the fifth century to 562 when Gaya collapsed in various parts of Yeongnam. The type of stoneware of the Sogaya style was divided into I-V stages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of Property-Form-Formation-Formation under the Occurrence Sequence Act. Based on the lower limit (475) of the Sogaya-style stoneware excavated in the early Japanese archipelago and Pungnaptoseong, which is assumed to be from 400 years later, the date of the Sogaya-style stoneware, which was then found in the TK208 to TK10 types, was irregularly dated and the parallel relationship relics of major ancient tombs in the Yeongnam region, was verified. The distribution of stoneware forms was understood as the trend of the Sogaya group by dividing the variation in the construction groups of the major ancient tombs in the Sogaya region into the emergence period, the formation period, the sex period1, the sexual period, the decline, and the extinction period. The Sogaya group formed around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lisan Ancient Tombs in Haman area shows an unformal distribution of stoneware, which is a multilateral combina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central ancient tombs in the mid- to late 5th century.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inland group of the Namgang River was reorganized into a combination of the Jungchonri group and Samga groups, and a new central force emerged around Goseong Bay on the southern coast. Later, the decline of the Sogaya group and the process of the change and reduction of the viscous area were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merging the Southern and Southern Gaya empires around 530 years ago, and finally the entire Gaya territory in 562.

      • KCI등재

        부장유물로 본 4~6세기 합천 삼가고분군 축조집단의 특징과 변천

        여창현(Yeo, Chang Hyun) 영남고고학회 2020 嶺南考古學 Vol.- No.87

        본고는 합천 삼가고분군의 부장유물을 분석하여 모두 Ⅸ단계로 구분하고 특징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4세기 대의 고식도질토기문화는 내륙양식인 함안양식의 생산ㆍ유통 체계에 포함되며 그 기종 구성과 변화상도 유사하다. 4세 기 전엽의 Ⅰ-1호 이혈 주부곽식 목곽묘의 축조를 기점으로 이전의 삼한시대의 무덤 규모와 부장유물의 위계 차이가 뚜렷하다. Ⅰ-1호 목곽묘는 변진한의 중심지를 벗어난 합천 삼가지역에서 소국의 출현을 상정할 수 있는 수장층의 무 덤으로 이 시기 삼가고분군 축조 집단의 사회적ㆍ경제적 배경을 가늠할 수 있다. 5세기 초가 되면 영남지역 전역에서 일시적으로 유사한 토기양식이 성립되는데 삼가고분군에서도 후기가야토기 양 식이 성립되기 전까지 고배류를 중심으로 특징적인 전환기의 토기문화 양상이 나타난다. 후기가야토기 양식이 성립되 기 전인 5세기 초 무렵에 삼가고분군 내 전면에 할석이 깔린 대형의 목곽묘가 나타나는데, 압도적인 목곽의 규모와 부 장유물의 위계를 볼 때 삼가지역 뿐만 아니라 경남 서부 일대에서 최상위 수장층으로 볼 수 있다. 5세기 후반 무렵이 되면 삼가고분군 축조집단은 소가야 지역 내 계층화된 중심고분군-주변고분군 체계와 다곽식 묘 제 출현과 그 궤를 같이 한다. 세부적으로는 토기양식을 중심으로 동일한 유물복합체의 출현과 형식의 변화과정을 거 치며, 철모와 대도를 중심으로 한 무장체계가 성립된다. 이 시기 구릉상에 축조된 다곽식 구조의 고총고분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주변의 제 가야 세력의 교류 양상과 세력 확장을 보여주는 외래계 문물의 확산과 유입이 확인된다. 6세기 초 무렵이 되면 아라가야계, 특히 대가야계 문물이 본격적으로 수장묘를 중심으로 유입되지만 무덤의 양식은 재지에서 고안된 봉토의 구축 방식으로 완성된 다곽식 묘제가 6세기 전반까지 유지된다. Ⅰ지구의 M-2ㆍ3ㆍ4호분에서 출토된 조 형장철판의기를 비롯한 삼엽문환두대도, 마구류 등의 부장유물은 소가야 중심고분군로서 삼가고분군의 위상과 대내외 적인 역량을 가늠할 수 있다. The ancient tombs in Samga, Hapcheon, are proof of an ancient unglazed stoneware culture that follow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of the inland Haman style. The stoneware excavated from Samga’s ancient tombs share similar compositions and change patterns with Haman-style stoneware. Tombs built after the early 4th century’s type I-1 separate-pit wooden chamber tombs were striking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tombs of Samhan Period in terms of size and the artifacts buried therein. The type I-1 wooden chamber tombs belonged to the local rulers of the Samga area in Hapcheon. This discovery suggests the emergence of a small state in the area, away from the center of Byeonhan and Jinhan, and a glimpse of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of the builders of the Samga’s ancient tombs of that period. The early 5th century saw a temporary emergence of similar stoneware types across the Yeongnam region. The ancient tombs in Samga also held a type of stoneware culture centered on mounted cups that characterized the transitional period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post-Gaya stoneware style.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post-Gaya stoneware style in the early 5th century, the ancient tombs in Samga already featured large wooden chamber tombs with crushed stones covering their entire lengths. The overwhelming size of the chamber and the quality of the funerary artifacts indicate that the tombs belonged to the highest rulers of western Gyeongsangnam-do as well as Samga area. The emergence of the builders of the ancient tombs in Samga in the late 5th century represents the establishment of the stratified central-tomb-peripheral-tomb system and the emergence of multi-chamber tombs in the Sogaya region. Specifically, the same assemblage and stylistic changes centered on stoneware styles appeared, with the establishment of a weaponry system focused on iron helmets and war swords. The artifacts from gigantic multichamber tombs built on hills in this period confirm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foreign culture. These artifacts also show the pattern of exchange among Gaya factions in the area and their expansion. The cultures of Aragaya and, in particular, Daegaya began in the early 6th century, as can be seen from the tombs of local rulers. However, the style of the tombs implies that the multi-chamber tombs built with methods unique to the area continu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e funerary artifacts found in the M-2, 3, and 4 tombs in Zone I—which include iron-plate ritual utensils with bird decorations, round-pommel swords with three-leaf patterns, and horse harnesses—show that the ancient tombs in Samga are the central tombs of Sogaya, which is further supported by the internal and external capabilities of the area.

      • KCI등재

        목가구조 고분으로 본 아라가야의 수장들

        여창현(Chang-hyun Yeo) 한국상고사학회 2024 한국상고사학보 Vol.123 No.123

        This article focused on the wooden structure tombs identified in the Ancient Tombs in Marisan Mountain, the central tomb of Aragaya, to understand the space occupancy method of the wooden structure tombs, the meaning of the material culture contained in the prestige, and the burial site, and to find out how the hierarchy of the subject appears. In addition, the newly identified wooden structure tombs around Aragaya were reviewe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eads of the Ancient Tombs in Marisan Mountain and the heads of each site was also examined. Wooden structural tombs can be classified into I and II types, and each type has a difference in hierarch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urial subject, the prestige, and the properties of the burial subject. It could be presumed that the hierarchy among the heads reflected not only the hierarchy assigned to each head, but also the functions and roles.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group to which each head belongs, a certain space occupation method within the tomb appears, and through this, the ‘showscape’ of the horse mountain tomb was completed. In particular, the heads and mausoleums involved in the wooden structure tombs in the Ancient Tombs in Marisan Mountain were able to assume interactions with the heads of the burial site who accepted the wooden structure tombs in the area around Hama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high-rise tombs such as high rock, embankment method, and partitioned stonework in the wooden structure tombs around Haman wa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the direct impa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struction groups beyond simple exchanges between the heads. 본 글은 그간 아라가야의 중심고분군인 말이산고분군에서 확인된 목가구조 고분에 주목하여 목 가구조 고분의 공간 점유방식과 위세품, 순장 등에 담긴 물질문화의 의미를 파악하고 피장자의 계 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아라가야 주변에서 새롭게 확인된 목가구 조 고분을 검토하여 말이산고분군의 수장들과 각 재지의 수장들 간의 상호작용도 살펴보았다. 목가구조 고분은 I·II유형으로 구분하여 내부 속성을 검토하였고, 부장된 위세품은 전마구 형, 개인무장형, 장식대도보유형, 일반형으로 분류하여 계서의 기준으로 삼았다. 각 유형은 매장주 체부의규모, 위세품, 순장 등의 속성에 따라 계서의 차이가 나타난다. 수장들 간의 계서는 각 수장에게 부여된 위계뿐만 아니라 직능과 역할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수장이 귀속된 가지능선별 그룹에 따라 고분군 내의 일정한 공간 점유방식이 나타나며 이를 통해 말이산고분군의 ‘보여주기 경관’이 완성된 것으로 보았다. 특히 말이산고분군 내 목가구조 고분에 관여된 수장들과 조묘자들은 함안 주변지역에서 목가구조 고분을 수용한 재지의 수장들과 상호작용을 상 정할 수 있었다. 함안 주변지역의 목가구조 고분에서 나타나는 고암반대, 반부 분할 성토방식, 구 획석축렬 등의 고총고분의 축조기술과 조형장철판의기의 공유는 수장들 간의 단순한 교류를 넘어 축조집단 간 상호작용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의 결과물로 이해하였다.

      • KCI등재

        함안 말이산고분군 목가구 설치분묘 재검토 -용어 및 분묘구조를 중심으로-

        서영민(Seo Young Min),여창현(Yeo Chang Hyun) 부산고고학회 2012 고고광장 Vol.- No.10

        본고에서는 함안 말이산고분군에서 발굴조사된 목가구 설치분묘의 구조를 살펴보고,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용어인 감실, 등감, 벽감이라는 용어의 사전적 의미와 구조를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감실 등의 용어는 분묘 내에 설치된 구조와 사용 의미가 다르므로, 전통건축 용어를 차용하여 보공과, 도리공이라 명명하였다. 목가구 설치분묘는 함안 중심부에서만 나타나고 있으며, 주변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독특한 분묘 구조이다. 이 분묘는 안라국 지배계층의 무덤으로 생각되며, 5세기 중반에서 6세기 전반까지 축조되었다. 석곽 내부는 세 공간으로 나누어지는데 중앙에 피장자가 안치되고, 나머지 두 공간에 순장자와 유물이 안치되며, 중·대형분에서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함안지역 지층은 셰일계 점판암으로 이러한 석재를 사용하여 분묘 축조 시 석재의 강도가 약해 봉분의 규모가 클 경우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개석과 벽석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강도가 약한 개석을 보강하기 위해 석곽 내에 목가구를 설치하여 개석의 반절 및 벽석의 붕괴를 방지한 것으로 생각된다. 목가구 구조가 석곽 내에 설치되면서 장법에도 변화가 나타나는데 보공에 보를 설치하고 목관과 유물, 순장자를 안치한 후, 마지막으로 도리공에 도리를 설치하고 개석을 덮었다. 이러한 분묘내 목가구 설치는 분묘의 붕괴를 막기 위해 고안해 낸 독특한 구조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plored wooden framed structure installed graves excavated and investigated at Haman Malisan Ancient tomb Group, in which the lexical meaning and structure of terms called a niche, a lamp stand, and an alcove used sat existing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 term like an alcove was labelled as a beam hole or a purline hole borrowing traditional architectural terms as they are different in the structure and use purpose installed at the grave. The wooden framed structure installed graves are a unique type of grave only coming into being at the center of Haman, not confirmed around the area. This grave is assumed as that of a ruling class, Anra Country, which shows itself from the mid-term of the 5th century and the early term of the 6th century. The inside stone carving is divided to three parts, characterized by the buried person being placed at the center, burials with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remains placed at te remaining both sides, and comes into exist as a same form at middle and large graves. The wooden framed structure uses such materials as the argillite of shale type composing Haman Region’s stratum, whose strength is weak, so if the scale of a tomb is build large, dissection and wall stone are ruined as it does not stand the load. So to reinforce the weak strength dissection, it is thought to prevent the collapse of dissection cutting half and wall stone collapse by installation of wooden framed structure in the stone carving. As wooden framed structure is set up in the stone carving, so burial method enters into change, that is, before installing a beam at the beam hole, a wooden coffin, remains and the burials with the living with the dead are interred. Then, a wall stone was piled up to phototropic line, a purlin was set up at the purline hole, and dissection was covered.Installation of wooden framed structure in this kind of grave is thought to be a structure designed to prevent the collapse of grave by internal line.

      • 구리 이온을 도입한 PAN과 A-PAN의 도전성에 관한 연구

        백중,송해영,손원근,여창 忠南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0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5 No.2

        The PAN-Cu(Ⅱ) and A-PAN-Cu(Ⅱ) complexes were the most stable in the pH 11. The morphology of CuxS-induced PAN, A-PAN had changed into compact form. The Cu(Ⅱ) complex exhibited surface resistivity around 10Ω㎝ when modified iodine in acetone. The resistivi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mounts of added cupric chloride, iodine and results were satisfactorily obtained by adding more than 20wt% of cupric chloride and about 3wt% iodine. The optimum conduction for the introducing of CuxS was at the CuSO₄concentration of 30g/ℓand the reaction time of 3hr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CuxS-induced PAN and A-PAN was higher by order of 10-⁴than of the Cu(Ⅱ)compl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