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여대생의 통일인식에 관한 연구 - 다큐 ‘남북미생’을 중심으로 -

        엄현숙 ( Oum Hyun-suk ) 평화문제연구소 2021 統一問題硏究 Vol.3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연령대에 있는 두 집단 속 여대생을 대상으로 통일에 대한 인식 차이 및 사회적 범주에서 그들 자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세대, 또는 집단을 중심으로 한 정량적 평가에 집중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개인이 통일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정성적 평가에 초점을 맞춘다. 남북한 모두 20대의 통일인식은 장기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나, 다음의 경우 다름이 확인된다. 그것은 첫째로, 남한의 경우 20대의 통일인식은 40대-60대보다 항상 낮았다. 둘째로, 북한의 20대 통일인식은 40대-60대 보다 항상 낮은 것은 아니며 20대의 통일인식은 남한보다 북한이 36.2%p 높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은 우선, 두 여대생은 긍정적인 가치관을 확립하기 위해 스스로를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두 여대생과 부모의 관계는 남한은 갈등을, 북한은 공감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인식된 사회 정체성은 불안정성이 높을수록 통일에 대한 관심은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허선경을 통해 드러난 통일에 대한 무관심은 남한 내 20대의 인식과 무관하지 않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individuals from South and North Korea derived from social categories through documentary 'Two Voice from Korea'. This study focuses on qualitative assessments of how individuals perceive inter-Korean relations. Both Koreas have seen a long-term decline in the perception of unification in their 20s. In South Korea, the perception of unification in their 20s is always lower than those in their 40s and 60s. However, North Korea's perception of unification in its 20s is not always lower than those in their 40s and 60s. North Korea's unification awareness in its 20s is 36.2 percent higher than South Korea'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wo university students classified themselves into groups to establish positive value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the documentary shows conflict in the South and empathy in the North. Next, social identity showe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instability, the lower the interest in inter-Korean relations. As a result, the indifference to unification revealed through Heo Sun-kyung in her 20s is not irrelevant to the perception of the entire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북한의 12년제 의무교육 실시와 ‘무자격’ 교원 문제

        엄현숙(Hyun-Suk Ou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북한 교육의 경쟁력 하락은 교원 자질의 질적 저하라는 점에서 최근 이슈로 부상한 ‘무자격’ 교원을 주목하고 있다. 2012년 9월 북한은 ‘전반적 12년제의무교육’ 법령을 공포하였다. 12년제 의무교육은 김정은 정권이 등장하고 새롭게 시도된 교육 정책이다. 연구는 경로 의존성 이론에 기초하여 북한의 교원 부족 현상을 살펴보고 교육 기회의 확대와 더불어 ‘무자격’ 교원에 관한 이슈를 어떻게 대처하였으며, 무엇이 문제인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북한은, 교육기회의 양적 확대를 통해 제도의 우월성을 드러내는 데에는 성공하였을지라도 교육의 질적 성취는 이루지 못하고 있다. 북한은 과거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원양성체계를 갖고 있음에도 여전히 교원 수급의 미달을 겪고 있다. 빈번히 보충된 신인과 ‘무자격’ 교원 문제의 미해결, 계속되는 교원의 이탈이 그 원인이다. This study focuses on ‘nos-qualified’ teachers who have emerged as a recent issue. The decline in the competitiveness of North Korean education is a deterioration in the qualities of the teachers. In September 2012, North Korea promulgated the “12-Year Compulsory Education Act”. The 12-year compulsory education act is a new educational policy under the Kim Jong-un regime. The study examined the shortage of teachers in North Korea based on theory of path dependence. This study focused on what the problem was and how North Korea responded to the issue of ‘non-qualified’ teachers. As a result, North Korea has succeeded in revealing the superiority of the system through quantitative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but the quality of education has not been achieved. The unresolved problem of training, ‘non-qualified’ teachers showed the limitations of the North Korea’s education system.

      • KCI등재

        간접 경험을 통한 대학생의 북한 인식 연구

        엄현숙 ( Hyunsuk Oum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1 통일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북한 사회를 간접적으로 경험한 대학생이 북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남북한 통일을 위해 무엇을 고민하고 있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통일교육 선도대학으로 지정되지 아니 한 서울 소재 K대학 북한 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제출한 결과물이다. 이 결과물은 다큐 ‘태양 아래’를 시청한 후 작성된 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시도된 정성적, 주관적 평가이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로부터 대학교육에 이르기까지 정규교육과 가정, 지역사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북한을 경험한 대학생의 인식을 보여준다. 북한에 대한 인식의 특징은 첫째, 북한이 아닌 남북한의 통일에 대해서만 배웠거나 둘째, 뻔한 이야기이거나 셋째,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이다. 결과 북한에 대한 온전한 이해는 적대국이거나 가난한 국가로 인식되는 순간 불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북한 사회에 대한 간접 접촉이 대학생의 북한 인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가를 관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study analyzes how college students who indirectly contacted North Korean society perceive North Korea and what they are thinking about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results submitted by students taking liberal arts courses related to North Korea at K University in Seoul, which is not designated as a leading unification education university. The results were produced after watching the documentary ‘Under the Sun’ and the study was based on qualita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 The study shows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North Korea indirectly through formal education, families and communities,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 are first, learning only about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not North Korea, or second, a predictable stories, or third, a negative story about North Korea. As a result, a complet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was confirmed to be impossible as soon as it was recognized as a hostile country or a poor countr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observed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indirect contact with North Korean society fo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North Korea despite its various limitations.

      • KCI등재
      • 김정은 시대 북한의 통일교육

        엄현숙(Oum, Hyun Suk)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1 평화통일연구 Vol.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 내 통일정책의 변화가 정치교육에 미칠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21년 1월 개정된 당 규약의 일부 개정된 내용을 중심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분석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북한의 기본 노선은 변하지 않았고, 그래서 북한이 추구할 통일교육의 내용도 크게 달라질 수 없다. 다만, 보다 광범위한 측면에서 북한 교육을 분석한다면, 북한의 교육은 변화할 뿐만 아니라 세계적 추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changes in unification policy in North Korea will affect political education. This study is a limited range of analyses centered on some amendments to the Party Convention as amended in January 2021. According to the report, North Korea’s basic route has not changed, so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at North Korea will pursue cannot be significantly changed. However, if we analyze North Korean educat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North Korean education not only changes but also responds sensitively trends.

      • KCI등재

        결핍에 대한 북한 주민의 마음의 변화 : 『조선신보』를 중심으로

        엄현숙 ( Oum Hyun-suk ) 평화문제연구소 2018 統一問題硏究 Vol.3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신보』 기사를 통해 노출되는 결핍의 층위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무엇을 욕망하고, 어떻게 채워나가는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 『조선신보』를 통해 결핍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조선신보』는 해외에 있는 제3자에게 북한의 결핍을 이야기하는 중요한 매체이다. 『조선신보』는 결핍이 북한 주민과 그들의 마음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의 징후적 읽기를 가능케 한다. 배급에서 비롯된 결핍은 경제적 결핍을 내포하게 되었고, 결핍의 문제는 북한으로 하여금 일부 사회주의 이론을 재정립하도록 만들었다. 결핍에서 시작된 가치관 변화는 북한 주민의 경제 의식을 변화시키고 외적 가치를 지향하게 하며 소비의 주체로 부상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 주민의 마음은 과거 숨기고자 했던 것에서 결핍을 인정하고 이야기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ook at the layers of lack exposed through the article 『The Choson Sinbo』. It is in analyzing what they desire and how they are filled. North Korea talks about lack through 『The Choson Sinbo』. North Korea talks about deficiency, talking to a third party abroad, and the important medium was 『The Choson Sinbo』. 『The Choson Sinbo』 shows how the experience of deprivation changes the North Korean people and their minds. As a result of the study, North Koreans admit and speak of lack in trying to hide. New thoughts and challenges emerging from deprivation emphasize personal inclination. Therefore, we can detect and analyze the change of North Korea.

      • KCI등재

        팬데믹 시대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에 관한 연구: 통일전담교육사와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엄현숙 ( Oum Hyunsuk ),김향춘 ( Kim Hangchoon ),윤철기 ( Yoon Cheol Gee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4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 문제를 통일전담교육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팬데믹으로 인한 충격은 모두가 받았으나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는 결코 평등하지 않았다. 팬데믹은 개인의 숙련과 돌봄, 관계의 차원에서 사회적 위험을 증가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학부모 역할의 한계, 열악한 가정 내 교육환경, 제3국 출생 자녀의 언어문제를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 해소에 현실적 도움을 제공하는 통일전담교육사의 중요성도 확인할 수 있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gap between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focusing on the role of exclusive educator for unification. Everyone was shocked by COVID-19, but the coronavirus was never equal.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gap between children from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focusing on the limitations of the role of parents,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in families, and language problems of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exclusive educator for unification who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bridging the educational gap between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COVID-19 era.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measures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between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 KCI등재

        북한 유치원 교육의 정치사회화에 관한 연구

        엄현숙 ( Hyun Suk Oum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4 통일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북한의 아동이 유치원 교육을 통하여 북한 인민의특성을 획득된다는 데 주목한다. 연구는 교육 관련 정기간행물과북한의 유치원 교육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정치사상교양은 수령 숭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면서도 전통 교육의 도덕과 조화를 이루어 냄으로써 자연스럽게 어린이들의 생활에 스며들도록 추구하고 있다. 또한 유치원의 어린시절 교양실은 국가가 추구하는 교육 교양 목적에 의해 의도적으로 꾸며진 공간이며 이 공간을 이용함에 있어서 허락된 행위만이 요구되는 매커니즘이 작동되는 곳이다. 이곳에서 진행되는 ‘백두산 3대장군’ 어린 시절 교양은 우리말, 셈세기 등 타 수업과는 달리 교양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보고, 듣고, 말하기에 충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허락된 행위를 숙지할 때 내려지는 칭찬과 이를벗어나려는 자아의 통제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어린이들은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해서는 안 되는 것에 대한분명한 태도를 갖게 되며 북한 사회에서 공유되는 가치를 배운다. 이 글에서 유치원 교육은 유치원 ‘높은 반’을 의미하며 만 5세의 어린이들이 포함된다. This article noted that the North Korean children acquire theproperties of North Korean people through preschool education. Astudy analyzed education-related periodical publication and NorthKorean preschool education. The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inpreschool focus on the warship of suryong or the great leader but italso integrates the ethics of traditional education, which naturallyblends into the everyday lives of the children. The childhoodeducation room is a space created especially for the purpose ofcultivating the state goal of education and edification. The operatingmechanism in this space is to only allow permitted acts. Thechildhood education of the “Three Commanders of Mt. Paektu” isdifferent from other classes such as Korean language or arithmeticclasses, where it requires students to commit to seeing, hearing, andspeaking skills where it comprises the structure of intellectual andideological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a system of praise formastering the permitted acts and control of self for deviating fromsuch acts. This cultivates the children to form a specific attitude andunderstanding of what should be done and what cannot and shouldnot be done, and learn the shared value system of the North Koreansociety. In this article, preschool education means the “higher class” of preschool with children over five-years old.

      • KCI등재

        교원의 역할에 대한 북한의 인식 변화 연구

        엄현숙 ( Hyun Suk Oum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7 통일연구 Vol.21 No.2

        북한에서 교원은 ‘직업적 혁명가’이며 학생들을 혁명의 계승자로 키우는 것을 사명으로 한다. 북한의 경우 교원의 역할은 시기별 국가의 교육정책에 따라 규정되었다. 교원의 역할은 ‘어머니’, ‘원예사’였으며 이후 교수의 ‘조정자’, ‘조직자’로 2014년 교수의 ‘연출가’ 등으로 변화되었다. ‘어머니’론과 ‘원예사’론은 ‘직업적 혁명가’로서 사회를 발전시켜 나갈 후속세대를 양성하는 교원의 역할 수행을 강조한 것이다. 반면에 ‘조정자’, ‘조직자’ 나아가서 ‘연출가’론은 수업 자체를 중시하거나 수업의 질 향상을 주된 목적으로 교원의 역할을 강조한다. 2015년 새롭게 채택된 ‘교원법’은 북한에서 교원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학생들의 학습능력, 지적능력 개발에 따른 교원의 책임성과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Teachers in North Korea are ‘professional revolutionists’ and their missions are to help students to become successors of revolution. The representative role of teachers is ‘mother’ and ‘gardener’ and it has been assigned to new roles of ‘coordinator’, ‘organizer’ and ‘producer’ of teaching in 21st century. With theory of ‘mother’, ‘gardener’ is to emphasize its basic role of ideological functions in education. This helps teachers to give a blood relative love, honor and pride on their profession and responsibilities. There are features that newly imposed ‘Producer’ theory of teaching is offered as an alternative of traditional role of North Korean teachers. It is meaningful that ‘Producer’ theory of teacher is focusing on acceptance attitude of learner in North Korea and is trying to deviate from existing teachers’ oriented thoughts. Through the newly adopted ‘teacher law’ in 2015, we can see that North Korea is interested in the role of teachers.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teachers i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intellectual ability have become more importa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