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촌중심지활성화 사업의 공정한 평가를 위한 계층구조 표준값의 필요성

        엄성준 ( Seongjun Eom ),김상범 ( Sangbum Kim ),김수연 ( Suyeon Kim ),안필균 ( Philgyun An ),조한솔 ( Hansol Cho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The project that can receive the largest project cost at the eup/myeon unit in rural areas is a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which raises the problem of supplementing the class structure analysis value, which is the standard for project selection. Since the number of facilities by eup/myeon varies,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analysis values even in the same first hierarchical. From this point of view, it may be controversial whether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efficiency of policy input to support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s that receive more than 15 billion won in project costs.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the need for a standard value or section of the centrality index by comparing the analysis values of the hierarchy of some five local governments among the local governments selected for the 21-year rural agre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five local governments planning to revitalize rural centers, the centrality index of city A was 524.7, the centrality index of city B was 1160.1, the centrality index of city C was 611.33, the centrality index of city D was 505.8, and the centrality index of city E was 3979. More standards should be introduced, but as policy project costs are supported high when limited to the centrality index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ways to support project costs differently through the setting of appropriate centrality indexes.

      • 노지 스마트농업사업을 연계한 스마트 농촌 조성 방안

        엄성준 ( Seongjun Eom ),김상범 ( Sangbum Kim ),조숙영 ( Sukyeong Cho ),안필균 ( Philgyun An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4차산업혁명은 세계 여러 나라의 이슈로 제기되고 있어, ICT, IoT, AI, Big-data, Cloud, Deep Learning 등의 산업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농업·농촌도 예외가 아니어서 EU나 일본, 말레이시아 등 해외의 여러 나라에서는 ICT를 접목한 스마트 빌리지 사업에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ICT기반 창조마을만들기, 스마트 빌리지 보급 및 확산사업, 스마트팜, 노지 스마트농업 등의 사업을 통해 농업·농촌의 4차산업화를 꾀하고 있지만 복합적인 농업환경에 대한 단편적 기술·장비 투입이나, 정주 및 생활공간의 개선사업 위주 이다. 이미 시행된 사업에 대한 효율성과 진행예정인 정책에 대한 실효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농촌은 국토공간의 측면에서 본다면 도시와 양분되는 중요한 공간이지만, 농촌은 도시와 다르게 명확한 정주공간과 농업활동공간의 구분이 어렵다는 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정책의 투입은 단편적 시설의 투입이나 서비스의 투입만으로 정책 만족도 제고가 힘들다. 농업에 대한 정책투입에도 농촌을 아우를 수 있는 정책이 동반되어야 하고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고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20년 시범사업으로 진행 예정인 노지 스마트농업의 전국 확산 추진에 앞서 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를 맞이해야 할 농촌을 노지 스마트농업 사업을 연계해 스마트한 농촌으로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 대상지 중 A군의 기본계획을 분석하고 현황을 파악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노지스마트농업의 예상되는 문제점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농촌 정주환경과 연계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 기본계획되고 있는 노지 스마트농업은 자동화장비의 설치, 시설의 스마트화, 기초기반의 조성 등의 농업생산환경을 개선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지역 농촌의 정주환경과 연계할 만한 항목은 부재하였다. 또한 스마트 농업환경을 구축하더라도 일부 농가의 농업생산만을 위한 기술·장비의 투입은 지역 내 갈등을 발생시킬수 있으며 기존의 스마트팜 사업과 마찬가지로 극히 일부 농가만을 위한 정책이 되거나, 지역내 관련 업체의 참여가 부족하여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농업을 위해 기술이나 장비의 도입은 필연적으로 유지관리비 문제와 연결될 수 있어 수익성 창출이 가능할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된다. 따라서 노지 스마트농업의 성공적인 확산과 스마트 농촌 조성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세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① 농촌마을 간 또는 마을 내부의 들판 단위의 공동이용공동체 구축하여 농가의 조직화 제고를 통해 수익성 구현 필요, ② 스마트농업 시설 도입시 정주공간과 연계한 네트워크기반 구축과 ICT 기반 생활서비스 기술 도입을 통한 농촌정보격차 축소 및 생활서비스 체감제고 ③ 농촌협약 및 농촌공간계획에 바탕한농업·농촌 공간의 효율적 분배와 재편 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 농촌협약과 생활권 설정 범위에 관한 연구

        엄성준 ( Seongjun Eom ),김상범 ( Sangbum Kim ),김수연 ( Suyeon Kim ),안필균 ( Philgyun An ),조한솔 ( Hansol Cho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우리나라의 농촌 공간에 대한 종합적 계획과 사업간 연계성 없이 개별사업 위주의 산발적이고 단발적으로 투자가 반복되면서 농촌정책의 성과 목표 달성에 한계점을 노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사업간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는 ‘20년부터 농촌협약을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농촌협약은 20년의 장기 계획인 농촌공간전략계획과 5년 단위 단기계획인 농촌생활권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농림축산식품부 소관의 내역 사업을 대상 사업으로 시·군에 패키지로 지원하여 농촌의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사업이다. 생활권 단위로 최대 300억 원 수준의 패키지 사업이 투입되기 때문에 생활권 구분은 농촌공간전략계획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생활권 설정을 위해서는 농촌협약 가이드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리적 연접성·물리적 한계, 공동 생활권, 공공서비스 동질성, 기능적 연계협력 가능성, 생태네트워크 및 환경 관리권, 상위·관련 계획의 계획권역 등이 고려되어야 하고 이을 위해서 자연지리, 인문·사회, 산업·경제, 문화·관광, 사회간접자본, 지역공동체 및 인적 현황 등 일반 현황과 기능별 축, 거점 권역, 농촌 공간서비스 및 서비스 이용현황 분석, 토지이용 및 보존 자원, 난개발 요소 발굴 등의 농촌 공간구조 분석을 실행해야 하며, 대내·외적인 여건 변화, 상위 및 관련 계획 검토, 정책 수요조사 및 분석, 종합 분석 및 계획과제 도출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러나 생활권 설정에서 농촌 공간서비스 및 서비스 이용현황 분석은 한계가 있다. 시·군 단위 계획이다 보니 생활권의 범위가 시·군 경계를 초월할 수 없다는 것이다. 모바일 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OD 데이터 분석결과와 주민 설문조사 결과로 도출되는 주민들의 생활 SOC 시설 이용 형태와 생활권이 서로 불일치 하는 즉, 행정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저·중·고 서비스시설을 인접한 타 도의 대도시와 시·군 중심지를 이용하는 형태들이 발행하는 것이다. 생활 서비스시설의 접근성 분석에서 매우 열악한 마을이 주민 설문조사 결과 만족하게 나오고 실제 이동 1순위가 다른 지역으로 나오는 결과를 종합해 보면 결국 시·군지역에 한정된 생활권이라는 범위는 실제 주민들의 이동 형태에 따른 생활권과는 괴리되는 생활권으로 자칫 주민수요와 맞지 않는 정책들이 지역에 투입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현재의 생활권 구분 범위는 행정 경계를 초월하는 범위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고차 서비스시설에 대한 생활권을 전국 단위로 중앙에서 설정하고 행정 경계를 초월하는 정책이 관련 시군과 협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법·제도가 보완되어야 하고, 시·군에서는 저차 서비스시설에 대한 소생활권을 구분하여 농촌 주민의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시설의 확충과 전달체계가 구축되도록 하여야 한다.

      • 전통온돌의 고래 형태에 따른 열효율 차이

        엄성준 ( Seongjun Eom ),리신호 ( Shinho Rhee ),김명환 ( Myeonghwan Kim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온돌은 수세기동안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독특한 난방방식이다. 급격한 도시화와 에너지원의 다양화로 인해 전통 온돌은 온수온돌(보일러)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이 과정에서 전통온돌은 상당수 그 원형과 효과를 검증하지 못하였다. 일부 현장 전문가들에 의해 전통온돌의 보존과 효과에 대한 개인 연구들은 진행되고 있지만 전통온돌의 특성상 동일한 조건하에서 두 가지 이상의 온돌에 대한 비교 연구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 온돌 중 가장 보편적인 줄고래온돌과 열효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되돈고래 온돌을 제작하여 같은 양의 연료를 투입했을 경우에 실제로 되돈고래의 열효율이 더 좋은지 비교 실험해 보았다. 실험 당시 온도는 평균 32.36℃이었으며 습도는 72.18%였다. 실험결과 10Kg의 함수율 평균 21.66%의 목재를 두 고래에 투입하여 불을 피웠을 때 온돌바닥의 온도는 줄고래가 되돈고래보다 최고온도가 높았으나 굴뚝으로 배출되는 온도는 줄고래가 최고 38.75℃, 되돈고래는 29.45℃로 8.6℃가 차이가 났으며 굴뚝연기의 평균 온도도 줄고래가 29.35℃, 되돈고래가 25.41℃ 로 나타나 되돈고래가 고래안에서 구들장과 고래둑 등에 충분히 열기를 저장한 후에 배출되어 줄고래보다 열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연구에서는 온돌방을 축소 제작하였으며, 열화상카메라 촬영과 데이터로거의 동시 측정을 위해 벽체를 설치하지 않아 외기에 의한 영향은 고려하지 않았다.

      • 농촌 공동주거공간의 헬스케어 디자인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안필균 ( Philgyun An ),엄성준 ( Seongjun Eom ),김상범 ( Sangbum Kim ),조숙영 ( Sukyeong Cho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우리나라는 2000년을 기점으로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7%를 넘어섰고 고령화의 속도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공동시설과 주거시설의 이용에 대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령친화형기준, UD(Universal Design)기준, BF(Barrier free)기준 등이 수립되어 공동공간과 공동주거시설에 적용되고 있으나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설의 규모와 수가 적은 농촌에 고령자를 위한 시설기준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의 공동생활공간 중, 고령자의 이용빈도가 높은 마을회관을 중심으로 공간별 헬스케어 기반의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수는 총 780만여 명으로 연령대별 비율은 65∼70세 사이가 32%로 가장 많았고 75∼80세 사이가 20%로 가장 적었다. 이 중, 읍과 면 단위의 농촌에 거주하는 고령자 수는 210만여 명이였고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 고령자가 28%로 가장 많았다. 전국 연령대별 비율과 다르게 농촌은 80대 이상이 가장 높은 것은 인구구조의 역삼각형 현상이 도시보다 심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연령대별 장애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80세 이상이 22%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80대 이상 고령자가 많은 농촌에는 BF 기준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제 모든 공동생활공간에 BF기준을 적용하기에는 공간활용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공간구성이 될 우려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충남 홍성군 장곡면에 거주하는 80세 이상 고령자의 비율은 38%로 연령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65∼70세의 비율도 21%로 두번째로 높았다. 이는 농촌 고령자 연령비율 결과와 대비되는 결과로 지역별 고령자의 현황을 고려하여 공동생활공간의 헬스케어 디자인을 선택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거공간을 크게 주호공간과 공용공간으로 구분하고 공간의 종류를 방, 현관, 거실, 주방, 화장실, 진입로, 휴게시설, 운동시설로 분류한 후, 공간의 주요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헬스케어 기반 디자인 모듈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기준을 도출하기 위해 고령자 시설기준, BF기준, UD기준을 조사하여 종합하였으며, 디자인이 필요한 요소를 선별하여 선택 가능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화장실의 경우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위험요소를 방지하는 BF 기준을, 휴게시설은 전 연령대의 편의성 확보, 편안한 휴식 보조, 불편함이 없는 이동성 확보하는 고령자 친화형 기준을, 거실은 이용객들이 주로 머무는 공간임을 감안하여 자유로운 이동과 휴식이 가능하고 생활하는데 불편함을 최소화한 UD 기준을 적용하는 등 공간별로 디자인 기준을 모듈화 시켜 도입한다면 지역별 연령대와 이용객의 요구에 적합한 공동생활공간을 조성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농촌체험이 농촌인식의 변화와 이주정착에 미치는 영향분석

        조성걸 ( Jo Seonggeol ),엄성준 ( Eom Seongjun ),황성기 ( Hwang Sung-ki ),리재웅 ( Rhee Zaewoong ) 한국농공학회 2021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3 No.1

        This paper analyze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ural experience and settle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the combination of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can explain causal relation between factors. Rural perception factor has conceptualized positive sector (attitude, values) and negative sector (perceived risk, senti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ity results are as follows. People think about migration into rural when they have high level of attitude about rural but fear of rural life make avoid migration into rural. When people have fear of rural life, they also have bad feeling about rural infrastructure and facility. Attitude of rural, values of rural and low fear of rural life gives positive influence to satisfaction. Satisfaction gives positive influence to migration into rural.

      • 농촌마을에서의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공간구성

        리신호 ( Sinho Rhee ),엄성준 ( Seongjun Eom ),정다영 ( Dayeong Jeong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의 지역성과 역사성을 기초하여 마을의 형태 및 공간구조, 공간요소 등을 파악하고, 공동공간을 분석 및 재구성하여 공동체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농촌마을의 공간구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농촌마을의 개념 및 공간구조와 농촌마을의 공동공간의 개념 및 변화를 알아보고 실제 공동공간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였다. 충북권내 농촌마을종합개발 사업을 하는 체험마을 중 3개 마을에 대해 1950년 이후 현재까지 그 마을을 대표할 수 있는 완결된 공간에 대해 회고적으로 접근하여 고찰해보고 대상지에 대한 공간구조를 분석하였다. 대상지에 대한 공간구조를 분석한 결과 대상지의 공간구조와 공동공간의 변화요인은 생활양식, 농촌정책, 사회·정치적 제도 및 경제적 원리의 변화로 볼 수 있다. 공간구조와 공동공간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므로 공간구조의 원리를 파악하여 계승하며 마을의 공동공간으로 개선시켜야 한다. 공간구조의 원리는 입구성과 중심성이 공동체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공동공간으로 조사되었으며, 소실되거나 과거에 비해 약화된 중심성의 대안을 마련하였다. 대안은 마을회관이 중심성을 잃지 않도록 마을별 개선점을 도출하였고 운영관리 효율성 제고를 위해 기능의 복합화를 제안하였으며, 마을 중심 마당의 역할과 기능을 확충시키고 재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대상지별 공간구조 및 특징에 따른 계획특성과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부분별 공간계획 안을 제시하였다.

      •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투수계수 평가

        김명환 ( Myeonghwan Kim ),송철민 ( Chulmin Song ),엄성준 ( Seongjun Eo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본 논문에서는 단위중량, 간극비, #4, #10, #40, #200, 2μ체의 통과중량 백분율을 투수계수와 연관시키는 신경망예측 모델을 제시합니다. 농업용 저수지에서 채취된 샘플 168개의 삼축 투수시험 결과를 데이터 세트에 포함하였습니다. 7개의 매개변수에 대한 각 요인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spearman 분석을 수행하였습니다. 훈련 데이터 세트와 검증 데이터 세트는 매개변수의 적용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또한, 데이터는 epoch가 증가함에 따라 0에 가깝게 수렴하고, 과적합이 발생하지 않아 모델의 훈련과 일반화가 충분히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데이터는 MAD, MSE, RMSE, MAPE를 활용하여 검증하였습니다. 신경망에 의한 투수계수는 매개변수의 적용유무에 따라 error가 차이를 보였습니다. 단위중량과 간극비만을 적용한 경우 오히려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하지만, 단위중량과 간극비, 각 체의 통과중량 백분율을 적용하는 경우 0.77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투수계수에서 단위중량과 간극비는 중요한 매개변수지만 2개의 매개변수만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경우 직접적인 관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분석된 매개변수를 이용한 DNN 모델은 간극비, 단위중량, 각 체의 통과중량 백분율을 적용하는 경우 신뢰할 수 있는 투수계수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