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교회로부터 배우는 오늘 비대면 시대를 위한 목회 원리

        양현표(Hyun Phyo Ya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1 갱신과 부흥 Vol.27 No.-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사회가 순식간에 찾아왔다. 비대면 사회는 무엇보다도 교회에 큰 충격과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비대면 사회의 모습을 “새로운 기준의 사회”라는 의미의 “뉴노멀”(New Normal)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그런데, 비대면 사회의 도래가 단순히 코로나19로 인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 이미 20세기 말부터 시작된 사회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비대면 사회의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히 공히 존재한다. 먼저 부정적인 측면은 ①비인간화와 ②새로운 계층화(차별화)이다. 반면, 긍정적인 측면은, ①제4차 산업혁명의 촉진, ②과잉 컨택트로 인한 부작용 해소, ③생태계 복원, ④교회의 본질 회복의 기회 등이다. 과연 이러한 특성의 비대면 시대가 종식되고 이전의 대면 사회로 돌아갈 수 있을까?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렇게는 되지는 않으리라 전망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비대면 사회에 적응해야만 한다. 교회는 이 비대면 사회 속에서도 살아남고 번성해야만 한다. 그렇다면 그 방법이 무엇인가? 그 방법은 1~3세기의 초기 교회들에서 찾아야 한다. 초기 교회들 역시 로마제국의 박해와 전염병 속에서 살아남았다. 그들은 살아남은 것을 넘어서 번성했다. 그렇다면 초기 교회들로부터 배우는 오늘날 비대면 시대를 위한 목회 원리는 무엇인가? ①공동체 삶을 강화하는 것이다. ②세상에 긍휼을 베푸는 것이다. ③교회의 공공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④역설적으로, 가능하고 필수적인 영역의 대면을 더욱 공고히 하는 것이다. ⑤가정과 소그룹 중심의 작은 목회를 조직화한다. ⑥이 시대에 통용되는 목회 매개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 시대의 매우 중요한 목회의 매개체는 다름 아닌 제4차 산업혁명의 결과물들이다. The noncontact society that COVID-19 brought feels like it has come in an instant, forcing churches to adapt to this reality. But in reality, the advent of social distancing cannot be attributed to COVID-19 alone; rather, this new society has been taking shape since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s with all things, there are both negative and positive consequences to this socially distanced era. On the negative side, it has led to greater dehumanization and amplified existing inequalities in society. On the positive side, it has led to the continued burgeoning of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itigation of ills due to excessive physical contact, the restoration of the ecosystem, and an opportunity to restore the essence of the Church. Given the difficulty of the adjustments that the world and the church has had to go through, it must be asked: will the “new normal” ever end? Most scholars are not optimistic. Thus, we must adapt more permanently to this “new normal” of noncontact society. This, of course, applies to the Church as well. The Church must not only survive but thrive in this era. What can we learn about pastoral ministry in today’s era from the model of those early churches? First, churches must strengthen and deepen their communal life. Second, churches must show mercy to those around them. Third, the public witness of the church must be restored. Fourth, paradoxically, churches must find creative ways to enhance social interaction where possible and where essential. Fifth, churches must decentralize to focus on families and small groups. Sixth, churches must innovate to effectively and actively use the methods and tools that are provided for this era.

      • KCI등재

        한국 교회 개혁을 위한 대안: 이머징(Emerging)교회 운동

        양현표 ( Yang Hyun Phyo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3 No.-

        20세기 말엽, 미국 기독교 안에 “이머징교회”란 말이 등장했다. 이 말이 등장한 이후 폭넓은 논쟁과 더불어 20여년이 흘렀다. 그런데 한국 교회에 유입된 이머징교회 운동은 여러 면에서 왜곡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이머징교회운동의 좌측 진영인 이머전트 그룹을 이머징교회 전체로 여기는 오해로 인한 왜곡이다. 이머징교회 운동은 20세기 말엽부터 시작된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련된다. 프리모던 시대에 중세교회가 출현했고, 모던 시대에 오늘날의 전통적 교회와 구도자 중심의 교회가 발생했다고 한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과 더불어 이머징교회 운동이 발생했다. 이머징교회는 모던 세상에서 전성기를 누렸던 전통적인 교회나 구도자중심 교회가 포스트모던 세상 속에서는 더이상 살아남을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한 “젊은 복음주의자”들의 몸부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포스트모던이라는 시대 속에서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는 모든 교회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거대한 우산이 이머징교회 운동이다. 한국사회도 포스트모더니즘을 피할 수 없다. 한국교회도 이러한 상황을 직시하고 인정해야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을 적으로 대할 것이 아니라 복음전파의 도구로 사용해야만 한다. 문화는 항상 복음과 적대적이자 동시에 복음 전파의 토양이었다. 교회는 문화를 사용하고 그 안에서 살아남아야 한다. 따라서 이머징교회가 되어야 한다. 오늘날 교회가 권위를 잃어버리고 신뢰를 잃어버린 중요한 이유는 교회가 이 시대를 읽지 못하기 때문임을 명심하고 포스트모던 사람들을 복음화하기 위해 이머징교회가 되어야 한다. 물론 이머전트그룹은 받아들일 수 없다. 결국 오늘날 한국 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고 회복할 수 있는 대안은 이머징교회 운동의 중도 그룹에 위치한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 운동이다.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여전히 스스로의 아성과 만족에 빠져 있으며, 다음 세대를 이해하지 못하고 세속화에 빠져 있는 한국 교회는 진정한 개혁을 필요로 한다. 한국적 종교개혁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머징교회 운동은 그 개혁을 위한 한 방편이 될 수 있다. Late in the 20th century, the term “the emerging church” appeared in American Christianity. Since then, for over 20 years, it has been a topic of wide debate. This debate has carried over to the Korean church, where the characterization of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has been distorted in many ways. This distortion has been caused by the conflation of the Emergent Group (the far left camp of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with the whole of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In reality, emerging church movements came out of postmodernity in the late 20th century. It is analogous to the medieval church, which came out of the pre-modern era, and the traditional and seeker-centered churches that came out of the modern era. It came as a response to the struggle of “younger evangelicals” who found that the traditional and seeker-centered churches were no longer able to address the concerns of a postmodern world. Thus,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is a wide umbrella that covers all churches that are trying to find new ways to adapt and survive in the postmodern era. Korean society is not immune to this postmodern era and its influences - a reality that the Korean Church needs to face and acknowledge. History has shown that while culture can often be hostile to the gospel, it is also the soil in which the gospel can be preached. Thus, the Church must use culture to its advantage and for its survival. Korean churches in particular must not regard postmodernity as an enemy of Christianity but as a means of evangelization. In short, the Korean church must become an emerging church. This will address a primary cause of the loss of authority and trust that today’s Korean church has suffered: it’s inability to “read” and adapt to the contemporary postmodern culture. Of course, all Emergent Group positions are unacceptable. An alternative emerging church movement that Korean churches should embrace to overcome this crisis is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a movement that occupies a middle space in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The Korean church is in need of true reform: it is unable to adapt to the changes in culture, stuck in its own desires and self-satisfaction, and susceptible to secularization without an understanding of the next generation. It is time for the re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gives a model for this reform.

      • KCI등재

        두 직업 목사(Bi-vocational Pastor)의 합당성 연구

        양현표 ( Yang Hyun Phyo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9 성경과신학 Vol.92 No.-

        목사의 생존의 문제는 한국 교회 생태계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많은 목사들이 생존의 문제로 인해 목회 현장에서 물러나고, 또한 교회가 문을 닫는다. 목사의 생존을 위한 대안 중의 하나가 바로 두 직업 목회이다. 한국교회의 현 상황을 보건데, 두 직업 목사의 필요성이 매우 높고, 또한 합당하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두 직업 목사를 정의하고, 두 직업 목사가 단지 생존만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목사가 다양한 이유로 선택할 수 있는 목회형태임을 논한다. 계속해서 오늘날 두 직업 목회가 어느 정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지 미국교회와 한국교회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필자는 논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두 직업 목사의 합당성을 논한다. 필자는 두 직업 목사의 합당성을 위해 구약성경의 인물들을, 서기관 전통을, 사도 바울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회역사를 살펴본다. 필자는 한국교회의 현실 속에서 두 직업 목사의 합당성과 그 대안을 제시한다. 결국 필자는 두 직업 목사 형태는 성경적으로 신학적으로 그리고 교회사적으로 문제가 없는 바, 목사가 자신의 목회현장에서 자신의 신학적 확신과 목회적 소신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목회형태임을 제안하고, 지금까지의 한국 교회에서 두 직업 목사를 경시했던 편견이 재고되어 오히려 한국교회의 위기를 타개하는 방법으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The issue surrounding a pastor’s survival is a serious problem in the Korean church. Many pastors retreat from ministry as a result of survival, and thus, churches are closed. A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he bi-vocational pastor. Give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the need for bi-vocational pastors is high and reasonable. In this paper, the author defines the bi-voca-tional pastor and makes a case for them by arguing that it is not merely a means for a pastor’s survivor. Rather, the author states that it is a form of ministry in which pastors can participate in.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bi-vocational ministry is used, with a focus on the American and Korean churches; discusses the worthiness of bi-vocational pastors by examining Old Testament figures, the scribe tradition, the Apostle Paul, and church history; and argues that pastors who engage in bi-vocational ministry are not wrong biblically, theologically, and historically. Rather, the author sees that this form of ministry can be chosen according to a pastor’s theological and ministerial convictions. The author urges the Korean church to rethink the prejudices that have neglected bi-vocational pastors and to view them as a way to overcome the Korean church crisis.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신사도개혁운동

        양현표 ( Hyun Phyo Yang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0 No.-

        신사도개혁운동은 1990년대 이후 일어나고 있는 성령운동 혹은 은사운동으로서, 와그너가(Peter Wagner)가 1997년에 정의한 교회 성장과 관련된 이론이다. 단순히 와그너의 창작물이 아니라 20세기 초반 이후 비성경적이라고 규정된 여러 성령운동들의 복합체라 하겠다. 신사도개혁운동의 핵심은 초대교회의 사도가 아직도 승계되어 현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사도 역시 초대교회 당시의 사도와 동일한 은사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으로서 성경의 권위보다 우월한 계시를 지금도 받고 있으며 초대교회의 사도들보다도 탁월한 표적과 기사와 능력을 행한다는 것이다. 또한 성경적인 근거가 없는 여러 현상들을 성령의 역사로 간주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들은 개혁주의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허무맹랑한 이야기이다. 사도직분은 초대 교회 이후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신사도개혁운동 주창들은 성경에 기록된 사도의 자격과 용례를 오해하고 있으며, 사도와 관련된 성경구절(고전12:28; 엡4:11)을 잘못 해석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완성된 성경의 권위를 부정하는 부류라 하겠다. 진정한 사도는 열 두 제자와 바울뿐이다. 사도직 복원은 비성경적인 주장이다. 왜냐하면 그들은“오직 성경으로”를 거부하고“성경 외 계시”(“Scripture Plus Apostolic Tradition”)를 주장하고 있기때문이다. 성경의 권위를 전혀 인정하지 않고 성경 본문을 자가당착적으로 해석하고, 역사적이고 전통적 신학을 부인하는 자들이다. 사도는 오직 성경시대에만 존재했던 특별한 직무요 은사이다. 따라서 오늘날 사도직의 복원에 기초한 신사도개혁운동은 비성경적인 종교운동이라 할 것이다. 안타까운 현실은 한국의 많은 교회들이 양적 성장에만 매몰되어 신사도개혁운동을 성령운동이란 미명하에 무분별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In 1997, Peter Wagner coined the term “New Apostolic Reformation” to an up-and-rising Spiritual gifts movement that is related to the theory of church growth. Wagner, however, was not the creator of this movement. He simply combined many non-biblical Spiritual movements after the early 20th century and termed the collection of movements as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The purpose of the NAR movement is to encourage the faith of the Apostles of the early Church. This movement supports the idea that the same Spiritual gifts and powers the early Apostles had still exist today. Thus, supporters believe that Apostles exist in today’s Church. At its root, the NAR believes that today’s Apostles receive a Spiritual revelation that is far superior than those the Apostles of the early church received. Supporters of the NAR believe that they receive new insights and blessings that the early Church did not receive. They also believe today``s Apostles can perform signs and miracles that are superior to those the original apostles performed. Similarly, they regard many of the miraculous symptoms as true works of the Holy Spirit when they are not based on Biblical truth. The NAR Movement cannot be accepted by Reformed Theology because there is no Biblical basis to the movement. Contrary to the NAR, the Reformed Theology’s belief is that Apostles do not exist after Biblical times. Those who believe in the ideas of the NAR misunderstand the qualifications of an Apostle and misinterpret Bible verses related to the office of Apostles (1 Cor. 12:28; Ep. 4:11). Furthermore, the NAR denies the authority of the completed Bible, which includes the belief that the only Apostles are the 12 Disciples and Paul. The idea that Apostles still exist today is unbiblical because they deny “Sola Scriptura” and insists “Scripture Plus Apostolic Tradition.” Followers of the NAR do not realize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hey deny historical traditional theology. According to traditional theology, Apostles only existed during the Biblical era, in which the Twelve and Paul received special God-ordained gifts and powers. Therefore, the restoration of Apostles in today’s Church is unbiblical, making NAR an unbiblical religious movement. Unfortunately, many churches in Korea accept the ideas and beliefs of the NAR as a God-ordained spiritual movement because of its connection to church growth.

      • KCI등재

        팀 켈러의 목회론 : 『팀 켈러의 센터처치』를 중심으로

        양현표(Hyun Phyo Ya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29 No.-

        본 연구는 뉴욕의 리디머 장로교회의 설립자요 오랫동안 담임목사로 사역했으며, 현재는 “리디머시티투시티”(Redeemer City to City) 운동에 전념하고 있는 팀 켈러 목사의 목회론을 주제로 한다. 본 연구는 『팀 켈러의 센터처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의 다양한 저술 그리고 그가 주관한 다양한 세미나에서 사용된 자료들을 기초로 하였다. 켈러의 목회론은 크게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복음”, “도시(문화)”, “사역(교회개척)”이다. 이러한 세 개의 축 아래서 다음 몇 가지의 목회론적 주제들을 연구자는 찾을 수 있었다. ①복음 중심의 목회론, ②도시 중심의 목회론, ③문화(상황화) 중심의 목회론, ④사회정의(구제) 중심의 목회론, 그리고 ⑤교회개척 중심의 목회론 등이다. 물론 이 밖에도 가정 중심의 목회론, 일터 중심의 목회론, 기도 중심의 목회론, 변증 중심의 목회론, 선교적 교회 목회론 등을 그의 목회론 등도 발견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다섯 가지만을 켈러의 핵심 목회론으로 간주하였다. 켈러의 목회론을 평가하자면, 첫째, 켈러의 목회론은 복음에 대한 분명한 인식 위에 구축되었으며, 둘째, 개혁주의 신학 위에서 포용적이요 융통성 있게 구축되었고, 셋째, 탁상공론이 아닌 목회 현장 위에서 구축되었고, 넷째, 지성을 기초로 하여 변증적으로 구축되었다고 하겠다. 하지만 그의 목회론에도 조그마한 약점이 있는바, 그의 목회론이 인간의 판단을 지나치게 신뢰하는 이상주의적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켈러의 목회론을 한국교회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인가의 과제가 남는다. 켈러의 목회론은 품질이 뛰어난 씨이다. 그런데 아무리 고품질의 씨앗이라고 하더라도 토양이 그 씨앗을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열매를 맺을 수 없다. 켈러의 목회론이란 씨앗은 미국 뉴욕이라는 토양에서 개발되었고 그 토양에서 발화되어 열매를 맺었다. 과연 그 씨앗이 대한민국이란 토양에서 발화하고 열매를 맺게 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것이 오늘 팀 켈러를 공부하는 우리의 과제라고 믿는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astoral theology of Rev. Tim Keller, the founder and senior pastor of Redeemer Presbyterian Church in New York, who is currently focusing on the “Redeemer City to City” movement. This study was based on Tim Keller s Center Church, his various other writings, and seminars he has hosted. Keller s theory of pastoral ministry consists of three main pillars. They are “Gospel”, “City (Culture)”, and “Ministry (Church planting)”. This writer was able to find the following pastoral ministry themes based on these three pillars. ① Gospel-centered, ② City-centered, ③ Culture/contextualization-centered, ④ Social justice/mercy-centered, and ⑤Church planting-centered. In addition to these, other themes such as family-centered, vocation-centered, prayer-centered, apologetics-centered, and missional church-centered. In this study, however, only the earlier five major themes are considered as comprising Keller s core pastoral theology. In evaluating Keller’s pastoral theology, this study finds the following: first, it is built o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gospel; second, it is inclusive, flexible, and coherent with Reformed theology; third, it is based on pastoral experience, as opposed to mere theory; fourth, it is committed to apologetics based on rationality. However, there is a small weakness as well: an idealistic tendency to trust too readily in human judgment. There is relevance to Keller’s pastoral theology on the Korean church. While Keller’s pastoral theology is a high quality seed, it cannot bear fruit if the soil is not ready to receive them. Keller developed his theology in the soil of New York, NY, USA, where it bore fruit. What clues are there for us to bear fruit in the soil of Korea? This is the task of our study of Tim Keller today.

      • 이용도 목사의 신학과 그의 부흥회

        양현표(Hyun Phyo Yang) 신학지남사 2016 신학지남 Vol.83 No.3

        Despite a short life of 33 years, Yong-do Yi marked a mileston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He devoted himself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younger years of his life. However, after he experienced a mysterious healing of his own disease, he became a mystic evangelist. He was an evangelist who gave strength and hope by presenting the image of the suffering Jesus to those who suffere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During this time, he inexorably criticized the sleeping Church. As a hyper dualist, he insisted that the body was useless. Thus, he abused his own body. Additionally, he claimed undifferentiated love; thus, as a result, he accepted heresy. He was an evangelist of tears, a passionate preacher, and one who caused the repentance movement and prayer movement. He equated his suffering with Christ’s suffering, emphasized undifferentiated love due to his absence of theology, led unconventional styles of revivals due to a direct revelation from God, and completed his life in disgr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