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영향평가의 동·식물상 평가사항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하천사업을 중심으로

        양인숙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ifference among the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small sca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animal and plant items. The category of the study is 'the use and development of rivers' project already discussed with Ministry of Environment. The results of study about animal and plant items by stage of evaluation, the status survey was best applied in small sca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the influence prediction and mitigation plans were best applied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t is considered that the status survey, impact prediction and mitigation plan review for statutory protected species are carried out at all evaluation stages. However, the present status of ecological value areas and the impacts on wetland conservation areas are underestim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evaluation carried out in the development project is more detailed than the administrative plan. In addition, many items that require further review among the regulations, manuals, and guidelines are missing. Therefore, research on dissemination and development of casebooks should be continued, and on-site training and expert consultation should be actively utilized for the prediction of impacts and mitigation measures. In case of important items that are missing, it is necessary to fill in as a mandatory items.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has been evaluat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the development of detailed manuals applicable to the field is continuously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the experts of the animal and plant. 본 연구는 기존에 환경부와 협의된 ‘하천의 이용 및 개발’ 사업에 관한 전략환경영향평가, 소규모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서에서 동․식물상 항목 평가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평가단계별 동․식물상 항목의 평가사항 적용을 검토한 결과 현황조사는 소규모환경영향평가에서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은 환경영향평가에서 가장 잘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법정보호종에 대한 현황조사, 영향예측, 저감방안 검토는 모든 평가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으나 생태적 가치지역에 대한 현황조사나 습지보전지역에 대한 영향예측, 훼손수목 활용에 대한 저감방안 수립은 낮은 빈도로 평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행정계획보다는 개발사업에서 실시하는 평가가 보다 세부적으로 실시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규정, 매뉴얼, 지침별 적용사항 중 추가 검토가 필요한 항목들이 많이 누락되고 있었다. 따라서, 영향예측과 저감방안에 대한 사례집 작성 배포나 기법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며 연구결과에 대한 현장교육과 전문가 자문이 적극 활용될 필요성이 있으며 누락된 중요 항목에 대해서는 “환경영향평가서등 작성 등에 관한 규정”에 필수항목으로의 기재가 필요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환경영향평가서상 동․식물상 항목은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특성에 맞도록 평가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동․식물상 항목의 전문가를 통하여 현장에 적용 가능한 상세한 매뉴얼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 아름다운 秘密

        梁仁淑 광주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hysical training activities should be practiced for extending the individual ability of eah of the athletes without too much of their physical strength and skill. For the reasonable coaching we must grasp the situation in which the athletes are placed, such as the achievement motive, the enviornment, the psychological state, the consclousness of a dourse in life on their part, and the points at issue in the school sports. We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by making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abov poiints on 350 high school athletes(226 boys and 124 girls) in Chung buk province. 1) Most of the athletes began sports on their teacher's advice 2) The purpose of players' activities was for the most part to become an excellent player. 3) Their most insufficient adaptability to sports was shown in the aspects of skill and nutrition. 4) The mental burden on them when got beaten was shown in a large proportion as a guilty conscience for their coach or director through analysing the cause of defeat. 5) Their mental burden imposing on them before participation in the game was serious because the result of the game would affect the honor of their own school. 6) The trouble about their future life was about how to enter the society. 7) After Career as a player, they hope to be a teacher or a coach.

      • 수도권 거주 직장인들의 환경교육 현황 및 환경의식 조사

        양인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환경교육은 모든 연령집단을 교육 대상으로, 지식보다는 가치 · 태도 함양에 중심을 두어 항상, 그리고 모든 생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환경교육의 대상이 학교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로 편중되어 있고, 사회환경교육에서도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은 활성화 되어 있지 않다. 1996년 중·고교 교육과정에 『환경』교과가 독립 설치된 이후 근 10년의 세월이 흘러 당시 환경교육을 받았던 학생들이 지금은 성인이 되었다. 성인의 대부분이 경제활동인구임을 감안하면 직장에서의 환경교육 또는 환경과 관련된 사회공헌활동은 성인환경교육에서 차지하는 중요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환경교육 및 환경관련 자원봉사 여부를 바탕으로, 그들이 갖고 있는 환경에 대한 의식과 여론을 파악하고 본 연구결과를 성인환경교육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직장인의 환경교육 및 환경관련 자원봉사 경험, 그리고 환경의식을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여 수도권 거주 직장인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환경의식의 측정을 위한 설문지 개발과 검증」(우형택 외, 1999)에서 개발된 설문 문항을 선택 사용하여 구성하였고, 설문 문항은 환경오염과 자연보호 두개의 범주로 나누었으며 각각 5개, 6개의 소범주로 구분하였다. 「환경의식의 측정을 위한 설문지 개발과 검증」에서 환경오염 영역은 총 23개 문항으로 ‘환경보호의 가치관을 반영한 환경오염문제에 대한 인식정도’, ‘환경보호를 위한 실천의지’, ‘환경보호를 위한 경제적 부담 여부’, ‘경제성장과 이득 추구 정도’, ‘환경오염에 대한 대책요구 정도’, ‘환경오염의 개선을 위한 노력 의지’ 등 6개 소범주로 나뉘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 20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연보호 영역 또한 총 23개 문항으로 ‘자연보호의 가치관을 반영한 자연환경 문제의 인식 정도’, ‘자연환경보호를 위한 실천의지’, ‘개발과 보호에 대한 선호 정도’, ‘자연환경보호를 위한 노력의지’, ‘생활의 편리성 추구 정도’ 등 5개 소범주로 나뉘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 18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환경의식 결과 분석에 앞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각 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사를 통하여 문항간의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환경의식 결과는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차이 검증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교차분석(p)을 실시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05, p<0.01, p<0.001 에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국내 환경교육은 활성화 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직장인들은 환경교육에 대한 호감을 갖고 있다. 둘째, 현재 기업이나 기관의 사원 재교육 프로그램, 또는 사회공헌활동 중 환경 부분에 참여한 직장인들은 그렇지 않은 직장인에 비해 환경의식이 높다. 특히,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직장인 집단은 환경의식 조사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5). 이 연구의 결과로 직장인들이 환경교육 및 관련 자원봉사 경험은 많지 않으나 그에 대한 호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이 그들의 환경의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특히, 환경관련 자원봉사 활동은 직장인의 환경의식을 높이는 주요인임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향후 각 기업이나 기관은 환경경영 및 사회적 의무의 일환으로 사원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성인환경교육의 주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기업이나 기관의 환경교육관련 사회공헌활동은 참여 사원들의 환경의식을 개선함은 물론 환경교육을 대중화 하는데 그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adults in company level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frastructure of companies such as re-education programs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ffects environmental awareness of the employee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ing 100 company employee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wo parts : 1) environmental pollution and 2) nature conserva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with a probability<0.05 level,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mployees in companies is insufficient. However, they think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necessary and the employees provid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by their company appeared to be highly satisfied(p<0.05). Of the respondents, 47.2% answer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companies encourages environmental awareness. Second, volunteer workers for participating in compan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nd events are rare. However,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volunteer efforts scored the highest in environmental awareness. Third, those that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nd did volunteer work were ranked the highest in 10 categories of questions. The group who with volunteer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no experience. They ranked the highest in 5 categories ; ‘Practical will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Willingness to pay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Efforts for the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Practical will for the protection of nature’, ‘Preference for the protection of natural habitats over continued development’. Based on the stud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volunteer work appeared to be effective tools in boosting environmental awareness. In conclusion, environment oriented volunteer work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adults' environmental awareness.

      • 물리치료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 장애요인, 의사소통 행위와의 관계

        양인숙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노인에 대한 인식, 노인과의 의사소통 장애요인, 노인과의 의사소통 행위를 파악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자들의 각 분야의 검사 문항을 기초로 하여 137명의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원광대학교 건강정보소통연구소에서 수정·보완한 문항들을 사용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물리치료사는 노인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치료사와 노인과의 의사소통 시 의사소통 장애요인으로 노인의 청각능력을 첫 번째로 꼽았으며, 물리치료사는 노인과 바람직한 의사소통 행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물리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 임상경력, 근무환경, 노인대면비율이 노인에 대한 인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의사소통 장애요인과 의사소통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물리치료사의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물리치료사는 노인을 보다 이해하고 공감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노인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적절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맞춤형 의사소통 매뉴얼 개발과 검증이 이루어져야 하며, 물리치료사의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 교육과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the communication barriers with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behaviors with the elderl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physical therapist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research tool was based on the test items of each field of the preceding researchers, and a questionnaire survey of 137 physical therapists was conducted using the corrected and supplemented by Wonkwang University Cure-Care-Edu Platform(CCEP). As a result of research, physical therapists were found to perceive the elderly negatively. When communicating between physical therapists and the elderly, the elderly's hearing ability was the first factor of communication barriers, and physical therapists were found to have desirable communication behaviors with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hysical therapists such as age, clinical experienc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elderly-facing rate have an important influence in determining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the communication barriers and communication behaviors.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elderly that the physical therapists have through this study and enable effective communication, they should try t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the elderly. In addition, customized communication manuals should be developed and verified to ensure proper communication based on accur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elderly,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systems should be prepared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bility.

      • 심장질환자의 개별화된 간호, 간호 만족도,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계

        양인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심장질환자가 지각하는 개별화된 간호와 간호 만족도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호현장에서 심장질환자의 개별화된 간호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연구 설계는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2개의 대학병원에 입원한 심장질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 중에서 입원기간이 3일 이상이고 퇴원 시 주진단명이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심부전인 자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총 7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별화된 간호는 Suhonen, Valimaki, 및 Katajisto(2000)에 의해 개발되어 2008년 수정·보완된 총 34문항의 개별화된 간호 측정도구(Individualized Care Scale, ICS)를 이용하였다. 간호 만족도는 Hinshaw와 Atwood(1982)가 개발한 환자 만족도 측정도구(Patient Satisfaction Instrument, PSI)를 사용하였으며 건강 관련 삶의 질은 EuroQol Group(1987)이 개발한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EuroQol-5 Dimensions, EQ-5D)를 이용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8년 4월 7일부터 5월 18일까지 이며 자료 수집 방법은 연구자와 연구보조원 1인이 대상자의 승인을 얻어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14.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각의 사항에 대해서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s coefficient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별화된 간호, 간호 만족도, 건강 관련 삶의 질 개별화된 간호 및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의 제공, 개별적 특성에 따른 요구의 이해는 중정도의 지각정도를 보였다. 간호 만족도는 중정도였으며, 현재 건강상태는 .76±.32점, 일반적 건강상태는 61.77±19.90점으로 중정도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개별화된 간호, 간호 만족도, 건강 관련 삶의 질 남성인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직업이 없는 경우 개별화된 간호에 대해 더 높은 지각정도를 보였고, 남성인 경우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 제공의 지각정도가 높았으며, 남성인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직업이 없는 경우 개별적 특성에 따른 요구가 이해되었다고 지각하였다. 남성인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대학 이상의 학력 집단에서 간호 만족도가 높았으며, 남성인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대학 이상의 학력인 경우 현재 건강상태와 일반적 건강상태가 높게 나타났다. 3. 질병 및 치료 관련 특성에 따른 개별화된 간호, 간호 만족도, 건강 관련 삶의 질 진단명, 이전 입원횟수, 재원일수, 입원경로에 따른 개별화된 간호와 개별적 특성에 따른 요구의 이해에 대한 지각정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부정맥환자인 경우, 이전 입원횟수가 많을수록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 제공의 지각정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허혈성심질환자인 경우, 재원일수가 짧을수록 간호 만족도가 높았으며, 허혈성심질환자인 경우, 이전 입원횟수가 적을수록, 재원일수가 짧을수록 현재 건강상태가 높았고, 허혈성심질환자와 부정맥환자인 경우, 이전 입원횟수가 적을수록, 재원일수가 짧을수록, 외래를 통해 입원한 환자가 일반적 건강상태가 높게 나타났다. 4. 개별화된 간호와 간호 만족도,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개별화된 간호 및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 제공, 개별적 특성에 따른 요구의 이해와 간호 만족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개별화된 간호,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 제공과 현재 건강상태 및 일반적 건강상태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개별적 특성에 따른 요구의 이해와 일반적 건강상태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개별화된 간호 및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 제공, 개별적 특성에 따른 요구의 이해는 성별, 연령, 직업, 진단명, 이전 입원횟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개별화된 간호 및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 제공, 개별적 특성에 따른 요구의 이해에 대한 지각정도가 높을수록 간호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심장질환자를 대상으로 개별화된 간호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들의 개별적 요구와 특성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근거로 임상 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하고, 개별적 요구와 특성을 고려하여 간호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별화된 간호 중재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of individualized care from heart diseases patients' point of view and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individualized care,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95 cardiovascular disease including ischemic heart disease, arrhythmia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patients from 2 general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Individualized Care Scale(ICS), Patient Satisfaction Instrument(PSI) and EuroQol-5 Dimensions(EQ-5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4.0 program. The actual number, percentil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dividualized care,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1) The average score of individualized care was 99.55±19.05, which demonstrated the median level. 2) The average score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was 78.99±10.38, which demonstrated the median level. 3) The average score of current health status and general health status were .76±.32 and 61.77±19.90, which demonstrated the median level. 2. In differences of individualized care,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y general characteristics. 1) In individualized care, the male group, the younger and the unoccupied showed the higher score than the other groups. 2) In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the male group, the younger and the educated beyond university grade showed the higher score than the other groups. 3) In current health status and general health status, the male group, the younger and the educated beyond university graduate showed the higher score than the other groups. 3. In differences of individualized care,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y disease and treatment related characteristics. 1) There was no difference of individualized care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the number of readmission, the length of stay and the route of hospitalization. 2) In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the ischemic heart disease group and the shorter length of stay was higher score than the other groups. 3) In current health status, the ischemic heart disease group, the smaller number of readmission and the shorter length of stay was higher score than the other groups. In general health status, the ischemic heart disease and arrhythmia group, the smaller number of readmission, the shorter length of stay and the admission through the out-patient department was higher score than the other groups. 4.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ized care,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1) The more individualized patients regarded their care, the higher the level of reported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2) Th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ized care and general health status, between individualized care and current health status were fairly low. In conclusion, patients with heart diseases patients indicated the median level of perception of the individualized care. In addition, individualized care may produce positive outcomes, such as patient satisfaction. Individualized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pursued to be applied to a clinical practice in full consideration of individuality and needs of patien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individualized care in relation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불쾌 증상 이론에 근거한 심부전 환자의 자가 관리에 관한 구조모형

        양인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의 질병 중증도,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불쾌 증상, 자기효능감, 자가 관리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불쾌 증상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자가 관리 이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설계는 모델 검증 연구이며, 심부전을 진단받고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순환기 내과 외래에서 추적 관찰 중인 심부전 환자 209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1년 10월부터 2012년 8월까지였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불쾌 증상 이론(Lenz, Pugh, Milligan, Gift, & Suppe, 1997)을 확장하여 질병 중증도,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불쾌 증상, 자기효능감 및 자가 관리, 총 7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program과 LISREL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모형의 적합도는 카이제곱 통계량(χ²), Normed χ², RMSEA, IFI, CFI, GFI, AGFI와 같은 전반적인 적합지수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7.71±12.83세였으며, 대상자의 절반 이상(60.3%)이 NYHA 기능적 분류 II 단계에 해당하였다. 좌심실 구출률은 평균 47.27±16.66%, NT pro-BNP는 평균 4,092.10±7,125.53pg/mL이었다. 불안, 우울의 평균점수는 각각 6.09±4.68점, 8.00±4.76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직접적 정보제공은 33.77±16.27점, 정서적 지지는 14.20±6.34점, 물질적 지지는 28.91±11.86점, 사회적 상호작용은 13.80±6.21점이었다. 불쾌 증상의 빈도, 강도, 불편감 각각의 평균점수는 1.07±0.95점, 0.84±0.86점, 0.95±0.89점이었다. 자가 관리 자기효능감의 평균점수는 67.07±15.63점, 운동 자기효능감은 2.42±0.93점, 식이 자기효능감은 3.12±0.95점으로 나타났다. 자가 관리 유지의 평균점수는 61.88±12.92점, 자가 관리 조절의 평균점수는 57.22±15.87점이었다. 2. 본 연구 최종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² 통계량은 163.473 (df=91, p=.000), Normed χ²은 1.796, RMSEA는 0.054, IFI는 .986 CFI는 .986, GFI는 .915, AGFI는 .873이였으며, 최종 모형과 실제 자료 간의 모델 적합도가 전반적으로 적합하였다. 3. 질병 중증도가 높을수록(γ=.794, p=.000), 불안이 심할수록(γ=.220, p=.003) 불쾌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쾌 증상에 대한 질병 중증도와 불안의 설명력은 82.6%였다. 4. 우울이 낮을수록(γ=-.312, p=.001),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γ=.320, p=.001) 자기효능감이 높았으며, 자기효능감에 대한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은 29.5%였다. 5. 질병 중증도(γ=-.277, p=.000)와 불안(γ=-.077, p=.003)이 불쾌 증상을 매개로, 우울(γ=-.200, p=.001)과 사회적 지지(γ=.205, p=.001)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자가 관리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불쾌 증상이 심할수록(β=-.349, p=.000) 자가 관리 이행 정도가 낮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β=.639, p=.000) 자가 관리 이행 정도가 높았다. 자가 관리에 대한 질병 중증도,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불쾌 증상과 자기효능감의 설명력은 61.9%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심부전 환자의 자가 관리를 설명하는데 있어 불쾌 증상과 자기효능감이 주요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질병 중증도와 불안을 감소시켜 불쾌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우울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여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심부전 환자의 불쾌 증상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자가 관리 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s among disease severity,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unpleasant symptoms, self-efficacy, and self-care based on the Modified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F), using a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approach. Subjects from two hospitals in Korea,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interview using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disease severity,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Inventory of Social Supportive Behaviors, Memorial Symptom Assessment Scale-Heart Failure, Cardiac Diet and Exercise Self-Efficacy Instrument, and Self-Care of Heart Failure Index.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11 to August, 2012. Fitness of the model was verified with LISREL program based on overall goodness of fit index such as χ², Normed χ², RMSEA, IFI, CFI, GFI, and AGFI.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wo-thirds (60.3%) were II class of NYHA functional classification. The mean scores of disease severity were 47.27±16.66% for LVEF, 4,092.10±7,125.53pg/mL for NT pro-BNP. The anxiety and depression scored 6.09±4.68, 8.00±4.76. The directive guidance, emotional support, tangible support, and social interaction of social support scored 33.77±16.27, 14.20±6.34, 28.91±11.86, 13.80±6.21, respectively. The mean scores of unpleasant symptoms were 1.07±0.95 for frequency, 0.84±0.86 for intensity, 0.95±0.89 for distress. The mean scores of self-efficacy were 67.07±15.63 for self-care efficacy, 2.42±0.93 for exercise self-efficacy, 3.12±0.95 for diet self-efficacy. Self-care maintenance and self-care management scored 61.88±12.92 and 57.22±15.87. 2. The overall fitness of the final model was good in general. The model-fit indexes of the final model were χ² = 163.473 (df=91, p=.000), Normed χ² = 1.796, RMSEA = 0.054, IFI = .986, CFI = .986, GFI = .915, and AGFI = .873. 3. Greater disease severity (γ=.794, p=.000), and higher anxiety (γ=.220, p=.003)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unpleasant symptoms. These predictors explained 82.6% of variance in unpleasant symptoms. 4. Lower depression (γ=-.312, p=.001) greater social support (γ=.320, p=.001)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elf-efficacy. These predictors explained 29.5% of variance in self-efficacy. 5. Unpleasant symptoms mediated the relations of disease severity (γ=-.277, p=.000) and anxiety (γ=-.077, p=.003) with self-care. Self-efficacy mediated the associations of depression (γ=-.200, p=.001), and social support (γ=.205, p=.001) with self-care. Greater unpleasant symptoms (β=-.349, p=.000), and higher self- efficacy (β=.639, p=.000)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self-care. These predictors explained 61.9% of variance in self-care. The findings suggested unpleasant symptoms and self-efficacy were shown to be the mediators on self-care. Disease severity and anxiety had an indirect effect on self-care through unpleasant symptom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self-care through self-efficacy. Patients with lower disease severity, lower anxiety, lower depression, and greater social support might have lower unpleasant symptoms and greater self-efficacy.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guide nurse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in planning implementations to improve self-care in patients with HF.

      • 인권 개념과 초등학교 교사의 인권 의식

        양인숙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권에 대해 아는 것 자체가 인권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인권교육의 결정적 시기에 있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인권을 지도해야 할 초등학교 교사들이 알아야 할 인권의 개념과 인권 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교사들의 인권 의식을 점검하고 개선책을 찾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인권은 인간의 권리,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모든 권리를 말한다. 따라서 나이나 성별 등 어떤 조건에도 관계없이 모든 인간이 인권의 주체여야 하며, 생활 속에서 향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비록 인권이 추구하는 이상이나 목표에 도달하기는 어렵지만, 인권은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 평등, 생명의 존엄성 등의 가치를 내재하고 있으며, 기본적이고 필수적이며 보편적인 권리이면서 책임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인권에 대해 배우는 것 자체가 권리이며, 교육은 인권과 자유의 주춧돌이라고 한다. 인권 교육을 통해 인권이 가진 가치와 성격 등에 대해 가르치고 인권의 기본적 원리를 알리며 인간다운 생활을 위해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정당하고 인간적인 환경을 조성하며 인간존중을 내면화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인권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인권에 접근하는 내용을 찾아서 활용하고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한다. 그리고 도덕과나 사회과 등 한정된 과목에서만이 아니라 전 교과와 학급 운영, 특별활동과 재량활동 등의 시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 속에서 활동 중심으로 지도하여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우리나라의 인권 현실은 열악하다고 볼 수 있다. 사랑의 보금자리여야 할 가정에서 아동 학대와 사회에서의 갖가지 차별과 폭력과 무관심, 인간관계의 실종뿐만 아니라 인권을 가르쳐야할 학교마저도 인권의 사각지대라 불린다. 그 결과, 교사가 학부모 앞에서 무릎을 꿇고, 학생이 교사를 폭행하며, 교사끼리 주먹질을 하고, 행사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을 몽둥이로 체벌하여 물의를 빚는 등 교육계 내부의 문제가 실시간으로 터져 나와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학생 인권 교육의 담당인 교사도 사실상 교육상 자신에게 부여된 권리를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행사할 수도 없는 구조적인 모순과 한계에 있고, 학생들마저도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명시된 자신의 권리는 물론이고 헌법에 보장된 권리를 제대로 알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있다. 인권이 무엇인지, 자신이 누려야 할 인권의 내용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해 제대로 교육을 받은 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정해진 규율과 규칙의 준수만을 강요받고 적법한 절차에 의해 자신의 의사를 표명할 기회조차 잃고 살아온 이들에게 인권을 통해 사회 변화를 추구하고 인간답게 생활하기 위한 터전을 가꾸기란 요원한 일이다. 이 모든 열악한 상황을 극복해나가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인권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인권 교육의 주체인 교사의 인권에 대한 무관심 혹은 무지와 인권 의식이다. 다행히도 설문조사 결과, 인권 일반에 관한 교사들의 의식은 우리 사회의 현실과 맞물려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인정 등에 관한 일정 부분 한계는 있다고 하나, 전반적으로 낙관적이라 볼 수 있으나 나이가 어릴수록 인권 자체에 대해 잘 모른다는 사실은 시급히 개선해야 사항이다. 아동인권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인권에 대해 모르듯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대해 잘 모르나, 학생을 차별하거나 의견을 무시하는 등의 반인권적인 행동은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무상 교육에 대한 의식의 변화가 필요하고, 학생의 동의 없는 소지품 검사나 일기 검사, 체벌 방법 등 교사 개개인의 인권 의식을 바탕으로 변화를 추구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자신의 인권에 대한 의식과 인권 교육에 대한 부분에서는 개개인의 자율성이 더 확보되도록 해야 하며, 학생과 학부모에 의한 인권 침해 현상이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교육계 차원의 대응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교에서 벌어지는 각종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체계적이거나 합리적이지 않고 인간관계에 의존하며, 교사의 생각을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의 부재가 소통을 가로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량활동의 영역과 교재 선택 등 교사와 학생의 의사 반영이 매우 중요한 부분에서 조차도 권리 행사를 하지 못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했다. 교사가 인권에 대해 연수할 기회가 없는 것이 인권 교육의 한계로 드러났으며 인권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의식도 선행 연구에 비해 다소 낮은 편이었다. 따라서 인권 교육을 정착해나가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의 관심을 드높이고 자료 개발과 보급 등 국가 차원이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교사가 인권 대한 인식을 확고히 하고 올바른 인권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다양한 종류의 연수 과목을 개설하여 인권과 인권 교육에 대해서도 연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교사 양성 기관에서 인권 과목을 개설하여 인권에 대한 지도를 해야 하며, 교사 임용 시험에도 인권과 관련된 내용을 출제하여 인권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정호원 (2002), 교사인권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셋째, 학교 운영이나 학급 운영에 있어서 교사와 학생의 의사를 반영하는 등 인권을 현실 속에 뿌리내릴 수 있는 시스템을 정착시켜야 한다. 넷째, 유엔아동권리협약의 내용을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가르칠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에서 일어나는 각종 반인권적인 관행을 극복하기 위해서 학생자치회를 현실화하고 학생들과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일에 그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제도가 정착되어야 하며, 그 내용은 반드시 당사자들에게 알려야 한다. 여섯째, 무상교육 전면적으로 실시하여 가정환경이나 기타의 이유로 인한 구조적인 차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일곱째, 체벌 문제 등과 학생 생활과 관련된 규정의 내용을 학생과 학부모, 교사의 의견을 수렴하여 제정하고, 모든 관계자들에게 알려야 한다. 여덟째, 교내에서 벌어지는 각종 현안과 문제를 체계적이며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교사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법으로 보장된 각종 권리를 보장하고 교무회의를 의결기구화해야 하며 현재의 승진 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 아홉째, 인권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교사와 학생의 관심을 드높이고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등의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세계 보편적 리더십 이론을 적용한 한국의 리더십 차원의 규명에 관한 연구 : 사회문화와 조직문화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양인숙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nationally endorsed leadership attributes and behaviors in Korea by adopting Culturally Endorsed Implicit Theories of Leadership(CLTs).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societal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CLTs are examined. between the leadership dimensions endorsed in Korea and societal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leadership dimensions endorsed in Korea are tested wheteher they are culture-specific or cross culturally generalizable implicit leadership theories. In research hypothesis 1, the attributes of charismatic/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also endorsed in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 who are endorsed by the members in Korea are related with the dimensions of visionary, performance-oriented, and integrity. And the attribute of 'humane' is analyzed as the etic aspect in culture specific dimension. Research hypothesis 2 is designed to test the influence of societal culture on the CLTs. The societal culture of human orientation are positively related with charismatic/value-based leadership. Self-protective leadership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power distance, and negatively influenced by future orientation and human orientation in culture dimensions. Research hypothesis 3 is examined of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CLTs. Charismatic/value-based leadership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gender egalitarian, future orientation, power distance, and performance orientation. while there are positive relations between self-protective, and power distance and human orientation, self-protective are negatively related with uncertainty avoidance and gender egalitarian. Research hypothesis 3 is assum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CLTs exist. However, any influences of culture on the CLTs are not foun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helpful to understand the universal leadrship dimensions and to expand the theories of implicit leadership. Second, this study offers the frame of concept on the leadership dimensions culturally endorsed through the analy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al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Finally, the culture dimensions, which are divided in to 'what should be' and 'what is now' are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These results can enable managers in companies to understand the gap of them and to manage the difference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conferred in February 2001.

      • 농촌지역 노인을 위한 IMB모델기반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

        양인숙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본 연구는 농촌지역 읍·면 단위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IMB 모델에 기반을 둔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소재한 보건지료소를 방문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IMB 모델에 기반을 둔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기간은 2020년 7월 22일∼9월 4일로 6주간이었으며 대상자는 중재군 45명, 대조군 47명이었다. 중재군에게는 총 6주간의 이론강의, 실습, 집단토의, 개별 전화상담 등으로 구성된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자료수집을 마친 후 중재군에게 적용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두 군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에 호흡기 감염예방 지식, 건강태도, 호흡기 감염에 대한 지각된 위험, 호흡기 감염예방 자기효능감, 손씻기 및 호흡기위생 수행정도, 구강위생 수행정도에 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 중재 후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호흡기 감염예방 지식(z=-2.32, p=.020), 건강태도(z=-2.65, p=.008), 호흡기 감염에 대한 지각된 위험(t=2.56, p=.012), 호흡기 감염예방 자기효능감(t=4.14, p=<.001), 손씻기 및 호흡기위생 수행정도(t=4.66, p=<.001), 구강위생 수행정도(t=2.97, p=.004)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읍·면 단위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IMB 모델에 기반을 둔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호흡기 감염예방 지식, 건강태도, 호흡기 감염에 대한 지각된 위험, 호흡기 감염예방 자기효능감 및 호흡기 감염 예방활동(손씻기 및 호흡기위생, 구강위생)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s of an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based on an IMB model for the older adults residing in rural areas of South Korea. Methods: I recruited participants from two public health care centers in rural towns for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IMB model, this study adopted a pre and post-quasi-experimental design.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47 participants, and the intervention group did 45 participants.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based on the IMB model for six weeks. The program included theoretical lectures, group discussions, and individual counseling by pho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measur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on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health attitudes, perceived threat on respiratory infection, self-efficacy on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performance on hand washing and respiratory hygiene, and performance on oral hygien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z=-2.32, p=.020), health attitude (z=-2.65, p=.008), less perceived threat on the respiratory infection (t=2.56, p=.012), self-efficacy on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t=4.14, p=<.001), degree of performance on hand washing and respiratory hygiene (t=4.66, p=<.001), and degree of performance on oral hygiene (t=2.97, p=.004)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tested the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effects on older adults in rural areas. The result demonstrated its effects in increasing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health attitude, perceived threat on respiratory infection, self-efficacy on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performance on hand washing and respiratory hygiene, and performance on oral hygiene. Keywords : rural areas, respiratory infection, education program,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