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컨설팅 측면에서 본 중등방과후학교의 질 제고 : 부산지역 관내 중학교를 중심으로

        양애경(Yang, Ae-Kyeong),김주섭(Kim, juseob)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0 방과후학교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질 제고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방과후 학교 운영현황과 부산지역 방과후학교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컨설팅을 실시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교육청 관내 중학교 174개교를 방과후학교 참여율이 높은 학교와 참여율이 낮은 학교 30개교를 유층무선표집 하였고 컨설팅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첫째, 학교에서 개설 운영할 프로그램의 조건은 학생과 학부모 즉 교육수요자의 기대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학교만의 힘으로는 부족하고 다양한 인적·물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학교는 자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학교 안 밖의 지역사회의 유관 기관과 적극적으로 연계·협력해서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내실 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학교 운영자들은 학생, 학부모, 교사가 만족하는 창의적 활동 토요프로그램의 성공적 모델을 개발하고, 각급 학교 현장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지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센터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교과프로그램보다는 학생들의 특기를 신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설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육공동체가 요구라면 인원이 적더라도 프로그램이 개설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방과후 학교의 성공열쇠는 방과후학교 질 제고가 강권이다. 일곱째, 지역연합 방과후학교 운영도 고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활동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자체-지역사회 유관기관-학교가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상설협의체를 구성하여 학교가 중심역할을 해야 함과 특성화된 다양한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전제 조건인 질 제고를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했다.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promotion of After-School education. Based on analyzing the operation status of After-School nationwide and the operation status of After-School in Busan, consulting was conducted to find implications and establish countermeasures. Major research suggests that, first of all, there should be various programs that meet the expectations of students and parents in addition to programs operated by schools. However, these efforts are not enough for schools alone and should be supported by variou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erefore, schools should make the most of their own resources and actively link and cooperate with relevant institutions in and outside the school so that they can operate their curriculum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a substantial manner. Second, school operators should develop a successful model of creative activity Saturday programs , which is satisfied by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nd operate programs suitable for school sites at all levels in a stable manner. Third, the role of support centers should be strengthened to utiliz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efficiently from commun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run various programs that can enhance students talents rather than the curriculum. Fifth, if required by the educational community, the program should be allowed to be run even if there are fewer people. Sixth, in the case of the curriculum program, the teaching materials used at the end of the school year should be planned and operated so that instruction can be completed. Lastly, the combined After-School oper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Through these results, local governments,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and schools will have to play a central role by operating a permanent cooperative body to revitalize After-School,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various specialized programs and suggesting practical alternatives for enhancing better quality.

      • KCI등재

        지역사회 연계 방과후학교의 운영 사례 분석

        양애경 ( Yang¸ Ae Kyeong ),정현용 ( Jung¸ Hyun Y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방과후학교는 학생 수 감소와 담당 교원의 업무 과중으로 인해 단위학교 중심 방과후학교 운영에서 지역사회와 연계를 기반으로 한 방과후학교 운영체제로 전환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 방과후학교의 운영 사례를 통해 지역사회 방과후학교의 운영 유형과 활성화 요인, 운영 프로그램, 운영 성과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연계 방과후학교 관련 연구보고서와 논문, 우수사례집 등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지역사회 연계 방과후학교의 운영 유형은 운영의 주체에 따라 지자체 중심형, 사회적기업 참여형, 단위학교 운영형으로 분류하였다. 활성화 요인은 지자체와 단위학교 장들의 방과후학교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사전 준비, 예산 확보, 교육공동체의 협력 체제 구축, 강사역량 강화와 강사 활동 여건 개선 등이 있었다. 프로그램은 기초학력 향상 프로그램, 특기ㆍ적성계발 특화 프로그램, 진로지도, 방학 특성화, 지역의 특성과 학교 특색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였다. 운영 성과는 지역사회 교육공동체의 실현, 사교육비 경감, 지역 특성에 맞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확대ㆍ운영, 농어촌지역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제공과 교육여건 개선, 교원의 행정업무 경감, 방과후학교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제 학교는 지역사회로 방과후학교를 확장하는 것은 물론이고, 학교로 지역사회를 참여시키는 방법에 대해 준비해야 한다. After-school activities which are school-oriented are shifting to programs based on local communiti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heavy workload of the teachers in charge.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the types of operation, factors of revitalization, operation programs, operational performance in after-school activities in the community through the case study. For this purpose, research reports, thesis, and case studies on after-school activities related to local communiti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operator, after-school activities linked to local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local government, social enterprises, and unit school-oriented. The factors in revitalization include a strong will of school principals and heads of local governments, preparation, secured budgets,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of education communities, strengthening instructor competitiveness, and improving activity conditions for them. The various programs were operated for enhancing primary academic achievement, developing specialties and aptitude, career guidance, vacation characterizati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eir performances were high in realizing the community education, reducing private education costs, expanding and operating after-school activities suitable for local characteristics, providing activities in rural areas, improving educational conditions, reducing teachers’ administrative workload, and satisfying schools with after-school programs. Now, schools should expand their after-school activities into communities and prepare for measures to make communities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 KCI등재후보

        국외 선진 방과 후 활동의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연구

        양애경(Yang, Ae Kyeong),정현용(Jung, Hyun Y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1 방과후학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국외 선진 방과 후 활동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방과 후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을 진단하고 우리나라 방과 후 활동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국외 선진의 방과 후 활동 사례분석 및 의미 있는 결과 도출을 위한 연구 방법으로 문헌 연구와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미국, 스웨덴, 일본의 방과 후 활동의 특징은 지역사회 및 유관기관의 연계가 활발하다는 점이다. 둘째, 방과 후 활동은 주로 특기적성 활동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셋째, 미국, 스웨덴, 일본의 방과 후 활동은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효율적 운영을 위해 ‘운영주체의 다각화’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다섯째, 학교 교원의 업무부담이 없다는 점이다. 여섯째, 지역사회 여건을 고려한 다양한 맞춤형 방과 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종합해보면, 외국의 선진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지역사회 조직을 활용한 방과 후 활동 운영주체의 다양화 모색이 핵심이다. 정책적 제언은 컨트롤타워 역할의 돌봄협의체(가칭 방과 후돌봄지원센터) 구축이 시급하다. 방과 후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운영주체의 다양화 모색 등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domestic after-school activities by analyzing cases of advanced overseas after-school activitie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after-school activities in Korea.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studies and cas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earch method to analyze cases of after-school activities in advanced countries and to derive meaningful results. As a result, first, the characteristic of after-school activities in the US, Sweden, and Japan i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local communities and related institutions is active. Second, after-school activities are mainly composed of aptitude activities. Third, after-school activities in the US, Sweden, and Japan are not provider-centered, but consumer-centered. Fourth, for efficient operation, ‘diversification of the operating entity’ is necessary. Fifth, there is no burden on school teachers. Sixth, it provides a variety of customized after-school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local community conditions. In summary, as can be found in advanced cases in foreign countries, the key is to seek diversification of after-school activity operators using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For policy recommendations, it is urgent to establish a care consultative body (tentative name, after-school care support center) acting as a control tower. To revitalize after-school activities, practical alternatives were presented, such as seeking diversification of operating entities.

      • KCI등재후보

        초등돌봄교실의 효율적 운영과 내실화 방안

        양애경(Yang, Ae kyeong),양윤이(Yang, Yoon Yi)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8 방과후학교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돌봄교실의 추진과정, 운영성과, 정책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조사하고, 만족도 높은 초등돌봄교실의 효율적 운영과 내실화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정책보고서와 선행연구 등을 문헌분석 하였다. 또한 초등돌봄교실 업무를 3년 이상 담당한 관계자와 학부모 그리고 학계 등의 돌봄 전문가를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법(FGI)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초등돌봄교실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04년 초등돌봄교실이 도입된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교육부에서 2014년 ‘초등 방과 후 돌봄 확대・연계 운영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용 학생 수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등돌봄교실의 양적 확대와는 달리 아직도 관련된 법적 근거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등을 극복하고 만족도 높은 초등돌봄교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초등돌봄교실의 질제고 및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 연계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gress, operational performance, and problems found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and propose efficient operation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with high 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related policy reports and the preceding studies were analyzed in literature. In addition, it conducted a survey on officials in charge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parents and academic care professionals who worked for more than three years in this field. As a result of this study, since the introduction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in korea in 2004, the number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has been expanding worldwide. In particular, the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elementary care classroom has increased highly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announced its plan to expand elementary care classroom in 2014. However,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quantity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is achieved, the elementary care school has not yet a legal basis. This study proposed strategies to improve quality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and to link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of communities in order to overcome divergent problems and to achieve efficient operation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 KCI등재후보
      •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양애경(Yang Ae Kyeong),조호제(Cho Ho Jae)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3

        본 연구는 중 ·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고, 그 관계가 학습자의 성별, 부모의 맞벌이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자기주도적 학습은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자기능력 수준에 맞도록 학습 진도를 조절할 수 있어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관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각 시도별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24개교를 무선 표집, 각 학교별로 2개 학급씩을 임의로 선정하여 조사되었고, 1,006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이 이루어졌다.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의 상태를 측정하고자 Long(1992)의 메타인지를 기초로 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척도”를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는 학교별 학기말 고사로 실시한 전 과목 총점을 학급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기초로 하여 환산한 T점수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 ·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남학생 집단보다는 여학생 집단에서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가 맞벌이를 하는 학습자 집단보다는 맞벌이를 하지 않는 학습자 집단에서 자기주도 학습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nflu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upon academic achievemen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is important in that it has an positive effect on development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for it helps students to be motivated and flexible on their learning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intellectual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06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throughout the country. The data of this study according to Long(1992) has been collected by conducting tests that the researchers have developed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tandard of self-regulated learning of students by themselves. In addition, the data has been computerized, and the statistical values treatment for questions about the researches is verified by t-test on the levels of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turns out that the higher the rates of self-regulated learning of the students are, the higher th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are. Second, most of the students who do quite well on self-regulated learning are likely to have higher motives and also to be better at controlling their learning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abilities than the students who do not well on it. Third, it comes out that the students raised by parents who only either husband or wife work have higher abilit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than the students raised by parents who both work. Last, female students have higher abilit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than male students have.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측면에서 본 방과후학교

        허경철(Huh, Kyung Chul),양애경(Yang, Ae Kye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4 방과후학교연구 Vol.1 No.1

        우리나라의 ‘방과후학교’ 는 2006년부터 기존의 방과후 교육활동을 혁신적으로 도입·추진해오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해 왔다. 방과후학교에서 어떠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인가도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의 취약점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그러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 측면에서 본 방과후학교는 학교의 공식적 교육과정에 어떠한 방법으로든 도움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며 그러한 의미에서의 방과후학교 도입의 의의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의 범람 현상을 완화시켜준다. 방과후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의 넘쳐 나는 요구를 분담함으로써 학교 교육과정의 부담을 완화시켜준다. 둘째, 방과후학교는 공식 학교 교육과정이 충실하게 달성할 수 없는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교육목표들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육 시간만을 통해서는 도저히 달성할 수 없는 것들이다. 이러한 부분들을 방과후학교에서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서 그 성취를 의미 있게 도울 수 있다. 셋째, 방과후학교는 공식 학교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한 계기를 마련해 준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설정, 운영하는 것은 학교 교육과정의 질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Since 2005, our nation’s ‘After-school’ has innovatively changed established after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Then it has started to phase in and push ahead with the activities and has sought growth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o the present. It is advisable for educational after-school programs to set the direction that is to analyze and to supplement the weakness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On the side of school curriculum, it is as in the following to describe the significance of after-school introduction in the sense of how after-school helps formal education. First, after-school alleviates inundation phenomenon of school curriculum. It eases the burden of school curriculum by sharing a superabundance of demands. Second, after-school contributes greatly to achieve the goal that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can not fully reach. The goals of education can not be attained only with time of education that formal education provides. After-school can help meaningfully that by dealing intensively. Third, after-school provides opportunities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formal education. To set after-school programs in the desired direction is can be a chance to develop in the better direction.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인프라를 활용한 방과후학교 토요프로그램과 활성화방안 연구

        김홍원(Kim, Hong Won),양애경(Yang, Ae Kye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7 방과후학교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토요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사례, 문제점을 확인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과후학교 토요프로그램은 주5일수업제 실시에 따라 2012년도부터 전국 초・중등학교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방과후학교 토요프로그램의 운영 결과,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리고 잠재능력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었으며, 체험활동이나 문화생활의 기회가 증가하였으며, 수요자, 즉 학생, 학부모, 교사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지역사회 공동체, 마을학교 등 방과후학교 토요프로그램의 확대, 지역사회와 연계한 수요자중심의 현장체험교육 정착, 지역사회 인프라를 활용한 다양한 토요 체험활동을 위한‘주말 체험활동 증진시스템’구축, 자유학기제와 연결된 운영 및 활동 결과의 생활기록부 기록, 방과후학교지원센터 강화, 홍보를 통한 수요자 참여율 제고, 인력지원을 통한 학교업무 부담 감소와 같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an object in view for confirm the After-school Saturday Program’s operation condition, case, defect, and seek improve quality. The After-school Saturday program has begun to applied to all over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rom 2012 as per the five-day schoolweek. The result of the After-school Saturday Program operation, it helps students to make use of students’ dream and talent, and develop students’ potential. Also an increase opportunity for the cultual life or activity experience. Furthermore users’ (students, parents, teachers) satisfaction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s. This study was provided following effective operation measures. Expansion of the After-school Saturday Program in local community outside of school or village school, established of user centered field education related to local community, established of ‘Weekend activity for experience enhancement system’ for Saturday activity for experience make use of local community infrastructure, put on record the consequence of operation and activity related to free-semester system in student record, enforcement of After-school support center, improvement of users’ participation rate through promotion, and decrease of business burden of school via provision of human resource.

      • KCI등재

        초등돌봄교실 전담사와 관리자의 인식 비교 : 운영효과 및 개선점을 중심으로

        김창복 ( Kim Chang-bok ),양애경 ( Yang Ae-kyeong ),양윤이 ( Yang Yun-y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초등돌봄교실의 발전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등돌봄교실 현장 운영의 주체자인 돌봄전담사와 돌봄관리자가 초등돌봄교실의 운영효과 및 개선점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서울 소재 지역 교육청 관내 공립 초등학교 118교를 유층표집 방식으로 선정하여 돌봄전담사와 돌봄관리자에게 설문지를 우편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최종 연구에 활용한 전담사용 195부와 관리자용 227부의 설문조사응답 결과는 평균, 표준편차, t-검증, 기술통계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돌봄교실 운영이 필요한 학년은 전담사와 관리자 모두 2-3학년까지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아서 서로 차이가 없었고, 오후돌봄 운영시간의 적정 운영시간은 관리자가 전담사보다 좀 더 늦은 시간까지로 인식하여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138, p<.01). 둘째. 초등돌봄교실의 운영효과에 대한 인식은 전담사와 관리자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7.805, p<.001). 운영효과의 하위 항목에서도 사교육비 경감 효과 이외의 5개 항목(학생의 전인교육, 맞벌이 부모 자녀의 돌봄,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부모의 사회·경제 활동 지원, 학교·학부모·지역간 협력체제 구축)에서 모두 전담사가 관리자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은 효과 인식 차이를 보였다. 셋째, 초등돌봄교실의 운영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점에 대해서 전담사는 ‘돌봄전담사 처우’와 ‘돌봄 운영시간’의 문제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관리자는 ‘시설 및 환경’, ’정책 및 제도‘를 가장 높게 인식함으로써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현장의 돌봄주체자인 전담사와 관리자의 생생한 인식 현황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고 생각되며, 특히 전담사와 관리자가 돌봄 운영시간이나 운영 효과, 개선점 등에서 서로 간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밝혀낸 것은 본 연구의 의미 있는 성과라고 사료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학부모 및 학생의 높은 수요와 만족도를 반영하여 양적·질적으로 더욱 확대 발전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after-school care staffs and managers (principals, vice principals, teachers in charge of after-school care program, etc.) in order to improve operational plan for elementary after-school care program. 118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schools with less than 3 after-school care classes and with more than 4 class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post mai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are staffs and the managers in the selected 118 schools. Total 195 care staffs and 227 manag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 staffs and managers considered 2nd∼3rd graders and younger pupils were appropriate subjects to after-school care program.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are staffs and managers on the opinion of appropriate age for after-school care program. However, managers prefer longer operation time for the afternoon care program than care staff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the effect of the elementary care program class between care staffs and managers. The care staffs showed higher perception on the effects of after-school care program; holistic education, support for dual-income families, pupils’ school adaptation, support for socio-economic activities of parents, parent-school-community cooperation, but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ird, the care staffs more concerned on ‘benefits of care staff’ and the ‘operation hours of care program’ while managers did on 'facilities and environment' and the ‘policy and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after-school care program. This study has been done for hearing the voice from the field experts on after-school program. Hence, it would be substantial empirical data for policy mak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to establish long-term plan for after-school care program.

      • KCI등재후보

        교육기부를 통한 방과후학교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 탐색

        강신천(Kang, Shin Chun),양애경(Yang, Ae Kye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6 방과후학교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교육기부 차원으로 추진되는 방과후학교 참여에 대해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민간이 방과후학에 참여하는 내용과 방법은 다양하다. 대학주도 사회적기업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의 방과후학교, 기타 영리 및 비영리기관의 방과후학교 참여 중 이 논문에서는 기업의 교육기부를 통한 방과후학교 참여 실태를 분석하고 교육기부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교과활동 연계활동에 교육기부 할 수 있다. 교과의 특정부분 또는 경제, 정보화, 문화, 예술, 다문화 등 범교과 주제교육을 기부할 수 있다. 둘째, 창의적 체험활동을 교육기부 할 수 있다. 학생, 교사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또는 자율, 봉사, 동아리, 진로 체험 등의 활동으로 교육기부 할 수 있다. 셋째, 방과후학교 지원을 위해 교육기부 할 수 있다. 지역 내 학교 대상 방과후학교 운영과 주5일제수업 토요프로그램 등 다양한 토요 체험활동을 제공 할 수 있다. 넷째, 교원대상 연수지원을 위해 교육기부 할 수 있다. 첨단 교사연수, 학교장 리더십 연수, 전문분야 심화연수 등 교원 대상의 전문 심화 연수로 교원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교육기부 할 수 있다. 다섯째, 진로교육 지원을 위해 교육기부 할 수 있다. 전문대와 기업 현장 등을 활용한 현장 중심의 진로교육과 직업세계의 이해를 위한 다양한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교육기부가 가능하다. 한계점으로는 운영지속성이 우려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산의 분배 투입이나 지속성을 위해 시도 교육청이나 지자체와 연계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after-school program utilizing education donation, and to explore an improvement plan. Though private institutes variously participate in after-school program, this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donation of business and corporation. In result, firstly, educational donation can be utilized in activities related to curricular subjects. It is also useful in cross curricular lessons such as economy, informatization, culture, art, and multiculture education. Seco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can be donated for self-regulated activities, volunteer works, club activities, and career developmental experiences. Third, educational donation can be utilized for after school programs. The donation will enrich a programs of after school education. Forth, educational donation can be utilized to support a training program for school teachers. It will help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teachers by providing up-to-d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Fifth, career education is an area for educational donation to make a contribution effectively. Junior colleges and business organizations can provide a various career experiential activities for students to understand an actual world of job. There is, however, a concern about its persist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local government and local education authority for sharing an expe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