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보(御寶)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

        양성원(Yang Seong w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4

        어보(御寶)는 왕실의 권위를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어보는 궁중예술의 절정체로써 조선 전 시대에 걸친 미적 흐름을 살펴 볼 수 있다는 면에서 미술사적 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본고는 어보를 미적 측면에서 연구함에 있어 우선 그 상징체계와 특징을 함께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어보의 의미와 역사를 고찰하고, 그 형태와 문양, 문자와 수(數) 등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를 정리해보았다. 어보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기 위한 정통성과 뛰어난 조형성을 가지고 있다. 어보의 상징체계는 조선시대의 정신성이 담긴 여러 가지 매개물, 즉 손잡이로 신수(神獸)인 용과 거북이를 활용하고 또한 색과 수 등을 통해 왕권의 정통성, 절대성과 왕조의 영원함, 안녕을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외형미는 왕실예술의 장식성과 고급스러운 형태를 표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각예술로써의 어보에 대한 관심이 더해지면서 현대적 디자인 상품의 활용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자는 한국 전통문화 양식 중에 대표적 이미지라 할 만한 '어보'의 상징성을 디자인 요소로 모색하였다. 특히 어보의 인면(印面(=도장면))에서 보여지는 조형요소를 응용하여 현대 라이프스타일에 적용될 수 있는 텍스타일 상품인 스카프를 디자인함으로써, 한국의 차별화된 이미지 개발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특히, 반복문양이 가지고 있는 영원성이라는 의미를 왕조의 영원함을 표현하는 어보의 상징내포와 연관 지어 보았다. 이러한 반복문양을 스카프 제작에 적용하여 기존 스카프의 상하좌우 대칭형 문양배치 외에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제안하게 되었다. 궁극적으로는 전통이미지를 활용하여 패션 소품인 스카프 디자인을 개발ㆍ상품화할 수 있다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oyal seals of Joseon period are representative symbolic objects that indicate royal authority. Royal seals, the height of royal arts, have very high art historical value because of its aesthetic process throughout Joseon period. This study, first, examined symbolic system and characteristic about royal seals in its aesthetic aspects. For this researching, considered concept and history of royal seals and its symbolic meaning of form, pattern, letter, and number. Royal seals have legitimacy and outstanding formativeness for signifying royal absolute authority. The symbolic system uses various media reflected Joseon ideology. For examples, the handgrip of royal seals are made of spiritual animals -dragon, turtle- also include shamanistic meaning that prays for royal absoluteness, legitimacy, eternity, peace through color, number and so on. The beauty of appearance shows decorativeness and classy form of royal arts. Especially, now the attention to royal seals as seal engraving-arts is increasing, so various attempt is appeared for using contemporary design goods. I would find out the symbol of royal seals, which is typical image amo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styles, as a design element. Especially, this study was aimed the differencing development of Korean image by designing textile scarf was able to use today's life style through applied formative element on royal seals' surface. The eternity of repetitive pattern in particular was connected to symbolic connotation of royal seals expressed perpetuation of the Joseon dynasty. By applying this repetitive pattern to scarf design, this study was proposed the textile designs, in addition to the up down left right side-symmetrical configuration of existing scarf patterns. Finally, this research was an attempt for suggesting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way of scarf design as fashion accessories by utilizing traditional image.

      • KCI등재후보

        박쥐문양을 활용한 한지 조명디자인 개발

        양성원(Yang Seong w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4 조형디자인연구 Vol.17 No.4

        인류의 출현에서 지금까지 빛은 인간과 공존해왔다. 그리고 자연에서 불과 빛을 발견하고 발전시킴으로써,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며 오늘날의 문명사회로 진화하게 되었다. 인간의 문명은 빛을 인공적으로 더욱 개발시켜 어둠을 밝히고 사물을 분별하는 단순한 조명의 차원을 벗어나 인간의 감정을 조절함은 물론 생활문화를 질적으로 향상시켰다. 이러한 조명장치의 변화는 생활공간에 있어서 개인의 취향과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었으며 편안하고 아늑한 공간을 연출하게 도와주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의 개발은 첨단소재의 탄생으로 나날이 발전하며 새로운 기능과 조형미를 갖춘 조명을 만들었다. 한편, 현대의 경제 성장은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동기를 마련하여, 인간들은 지난 역사를 통해 되새겨 볼 수 있는 전통문양에 대한 향수, 미풍양속과 문화적인 풍요를 되찾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해 조선시대에 중요한 길상(吉祥)문양으로 인식돼 공예와 생활용품 전반에 걸쳐 시문했던 박쥐문양을 주목했다. 박쥐문양은 주로 장수(長壽)와 복을 상징했으며 부(富), 귀(貴), 강녕(康寧), 다산(多産), 다남(多男), 다복(多福), 행복(幸福)의 오복사상(五福思想)과 결합하여 현세의 기복적(祈福的), 길상의 의미로 다양한 일상생활용품에 표현돼 삶의 염원을 담는 예가 많았다. 이러한 박쥐문양을 실내 조명등 디자인에 적용하는 연구를 시도했다. 특히, 인공재료로 제작된 조명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추세에서 한지(韓紙)라는 자연적이고 전통적인 재료를 활용해 타재료가 가지지 못한 고유한 장점을 부각시켜 보고자 했다. 복을 상징하는 박쥐문양과 한지라는 한국 고유의 소재로 제작된 실내용 분위기 조명등(Mood lamp)의 개발은 분주한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정서적, 육체적으로 편안하고 안락함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안내를 하게 될 것이다. Civilized society could be started by with the discovery of light from nature. Artificial light made it possible to control human's feelings and rise their qualitative life. Light has to not only fill individual taste and aesthetic desire but also help afford more comfort, cozy spac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enabled us to make new functional formative lighting. As economic growth has brought about interest to culture and art, we are looking for traditional patterns, our long-established and fine custom in human history. In this study,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I selected the bat pattern for lighting design, because it was regarded as important auspicious pattern in late Joseon period. At that time, the bat pattern denoted the Five Blessings - long life, wealthy and noble, quiet, many sons- that reflected people's wishes. Especially, under the leading conditions of using artificial material-made lamp, I would stress to the merit of traditional natural material, Hanji. The development of interior mood lamp made of Korean traditional bat pattern and Hanji, it will be a contribution for the moderns to live in a more emotionally comfortable room.

      • KCI등재

        현대섬유예술에 있어 콜라주의 적용에 관한 연구

        양성원(Yang, Seong-w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0 조형디자인연구 Vol.13 No.4

        현대섬유예술의 발전 과정에도 불구하고 종종 쟁점화되고 있는 물성(物性)과 기법의 표현범주에 관한 견해의 대립이 지속되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콜라주(Collage)'라는 표현방법이 현대섬유예술에 있어 그 명확한 조형적 역할과 의의를 갖고 있느냐 하는 문제에 주목하고 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대미술이 작가의식 즉, 창작에 대한 순수한 욕구에서 비롯하여 정신적 창조 행위를 형상화 하는 것이라고 했을 때, 지금의 섬유예술은 물성의 범주라는 섬유 고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현대미술이라고 볼 수 있다. 더불어 모든 조형예술과 분야에서 '콜라주'와 같은 혼합 매체의 다양한 활용을 시대적인 경향이자 상황이기도 하다. 알다시피 '콜라주'는 이미지를 가위로 자르고 풀로 붙여 결합하는 기법을 뜻한다. 하지만, '콜라주'는 단순한 기법의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이것은 서로 이질적인 요소들을 결합시키고 이 결합을 통해서 조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특징을 갖춤으로써, 작가가 제공받을 수 있는 조형적 경험의 자유로움 및 가능성을 위한 하나의 중요하고 확장된 현대미술의 표현방법으로 그 위치를 마련해왔다. 다시 말해서, '콜라주'라는 방법이 곧 표현이자 '의미'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콜라주'의 특징은 알레고리(Allegory)의 개념 속에 들어있는 '다의미(多意味)'와 같은 이중적 의미-표면적 의미와 숨은 의미 등의 복합적 의미-와 연동되어 작가가 표현하려는 '의미'를 더욱 깊고 풍부하게 해준다. 현대미술이나 섬유예술에 있어 작가가 본인의 창작물을 표현하고자 하는 의지의 내면에는 본인의 자아를 표출하고자 하는 욕구가 잠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작가의 예술적 욕구를 보다 자유롭게 표현하게 한 '콜라주'는 현대미술의 신경향을 가져왔음은 물론, 이질적인 물성의 결합에 의한 조형의미의 창출이 알레고리의 이중적인 의미와 연관되는 가능성을 마련해 주었다. 이와 같은 '콜라주'의 물성적 특징과 알레고리적 표현양상은 다양한 물성적 특징을 지닌 현대섬유예술의 작품표현에 있어서도 그 적용범위가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spite of development stage of contemporary fiber art. it seems occasionally to be a point of dispute that confront interests are lasting between property of matter and presentation category of technique. At this point. this study is focused on 'collage' whether it has distinct plastic role as a technique of contemporary fiber art. Contemporary art begins conscious. as it were. pure desire for creation. then gives form to spiritual creative action Fiber art could be regarded in the same light as contemporary art. though the properties category of fiber art sets precondition to intrinsic characteristic of fabric. Among the art techniques. collage is the combination method with image scissoring and sticking. It is the characteristic that collage allows plastic significance through the combination of mutual heterogeneous parts. Therefore. it established a important expand contemporary art presentation for freedom and possibility of formative experience which artists are able to accept. Presentation aspect of collage is encouraging an understanding to the almost same process with incorporative distinct feature by double meaning such as 'polysemy', that is, compound meaning like denotative meaning, connotative meaning and so on, which is already in the concept of allegory. Thus, the artist who selects a material called fiber and a technique called collage, his or her view of art will be played a role in the definition of fiber In addition, it could be found that laminating technique is also the same with the concept of collage. lt is able to find that authors have the intent ion which they try to express their own creative works, in contemporary art and fiber art. Moreover' in the inner side of it, there is potential craving for displaying their own ego. In conclusion. collage, above-mentioned the ar t is tic desires, is representation of contemporary art. at the same time. of contemporary fiber art, made a big stroke to the trend change of contemporary art. As a result, collage had very wide application not only to properties of fabric but also to representations of fiber art work.

      • KCI등재

        컨버전스시대 텍스타일아트의 표현 양상

        양성원(Yang, Seong-w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2

        이번 연구의 배경은 ‘컨버전스’라는 새로운 융복합적 개념과 인식을 바탕으로 변화해온 동시대 미술로서의 텍스타일아트가 표현되어지는 양상들을, 컨버전스의 개념 및 문화예술의 시대적인 경향에서 조망하는데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컨버전스 시대의 징후와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 시작하였고, 이를 사회문화적으로 접근시켜보았다. 현재 가속화되고 있는 컨버전스는 마샬 맥루헌에서 비롯한 ‘미디어’, ‘마사지’, ‘잡종화’와 이티엘 데솔라 풀의 ‘미디어 컨버전스’와 더불어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하이브리드’에 결부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전 지구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은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자연히 문화산업을 적극 지향하게 한다. 더 나아가 최근 ‘디지털 컨버전스’의 새로운 변화상은 ‘하이테크(High Tech)에서 하이컬처(High Culture)로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의한 하이콘셉트(High Concept)의 시대’를 야기하는데 있다. 하이콘셉트의 성공적 구현의 관건은 인간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을 끌어내는 하이더치(High Touch)이다. ‘미디어 컨버전스’, ‘디지털 컨버전스’, ‘하이콘셉트’ 의 추이는 시각적 이미지의 확산은 물론, 궁극적으로 예술과 감성의 강조를 초래한다. 바로 위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동시대의 예술로 자리매김해온 텍스타일아트 개념의 재인식과 표현양상을 짚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무엇보다 텍스타일아트는 그 개념 자체가 수공예ㆍ미술ㆍ디자인의 ‘컨버전스’ 이자 20세기말 이후 기술의 영역들인 미디어 및 디지털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융합해왔다. 염직공예, 섬유공예, 섬유예술, 텍스타일 디자인, 텍스타일아트 등의 여러 호칭을 포괄하는 ‘섬유표현’ 의 범주 및 양상에 대한 뜨거운 논의는 원시시대로부터 비롯한 직물이나 섬유라는 범주의 역사를 벗어나게 하는 동시에, 지금끼지 지속된 변화의 시도 자체가 ‘컨버전스 시대’ 를 수용할 수 있는 예술적 태도라고 하겠다. 이러한 융복합의 시대 의식이 지향하는 인간ㆍ역사ㆍ사회ㆍ문화예술 등의 연동은, 향후 텍스타일아트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현내용 및 형식들에도 시사하는 바가 될 것이다. Background of this study lies seeing under not only the concept of convergence but also the trend of culture and art motived from the aspects of textile art-expression as a contemporary art, which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new fusion concept and cognition of convergence. First, I would discuss correct understanding about symptom and meaning of convergence, then consider its socio-cultural side. Now accelerated convergence can be related to Marshall McLuhan’s 'Media’, 'Message’, ‘Hybridisierung’, Ithiel de Sola Pool's ‘Media Convergence’. and ‘hybrid' after postmodernism. 'Digital Convergence', that is speeded up by globalization, brings on change and aims positively the Cultural Industries. Futhermore, last new change of ‘Digital Convergence’, that is transition of paradigm shift from High Tech to High Culture, causes High Concept age, The key point of successful High Concept realization is High Touch which arouses human beings' sympathy and understands their emotion, Progress of 'Media Convergence’, ‘Digital Convergence’, and ‘High Concept' brings ultimately the stress of art and sensibility as well as the spread of visual image. Such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reviews expression aspects of textile art which has become as a contemporary art, Especially, textile art is convergence of art and design and has positively reflected on the elements of media and digital since the end of twenty centuries. In the lively discussion about category and dimension of ‘Fiber-Expression’ that includes various titles like dyeing craft, fiber craft, fiber art, textile design, textile art, and so on, can make beyond the historical category such as fabric and fiber from the primitive times, Also the attempt of change itself which is continued up to now might be an artistic attitude that we can agree the convergence age, This fusion concept aims at the interlocking of man, history, society, culture and art, also it will be a implications for various and original expression of textile art.

      • KCI등재후보

        신라금관을 모티브로 한 넥타이 디자인 개발

        양성원(Yang, Seong-w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3 조형디자인연구 Vol.16 No.3

        문화의 상품화·산업화를 통해 ‘문화국가’를 지향하는 시대적 상황에서 창출되는 문화상품은 그 나라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를 극대화하여 경쟁력을 상승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본 연구는 패션상품 중에서 남성 패션의 상징인 ‘넥타이’의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역사적·사회적·문화적으로 넥타이가 대개 남성의 권위, 신분, 격식 등의 표상이라는 점에서 전통 남성 관모(冠帽)에 주목하였고 특히, 황금문화를 꽃피웠던 신라시대의 금제 관모(금관)를 모티브로 그 조형미와 의미를 살릴 수 있는 넥타이 디자인 개발을 지향하였다. Ⅱ장에서는 신라금관의 역사와 구조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즉 신라금관의 역사적 의미를 ‘외래설’과 ‘자생설’의 두 가지 방향에서 논의한 후, 시기별 신라금관의 구조적 특징을 ‘자연수지형’, ‘직각수지형’, ‘사슴뿔형’, ‘날개형’, ‘골무형’으로 유형화하였다. Ⅲ장에서는 프랑스왕 루이14세의 친위대였던 크로아티아(유고연방)의 크라바트(Cravate) 연대의 이름에서 명명된 넥타이(Necktie)의 기원과, 종류, 소재, 생산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인 신라금관을 모티브로 한 넥타이의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을 제시하여,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에서의 넥타이 문화상품 디자인의 개발 방향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Cultural goods, created on periodical environment of ‘cultural nation’ through the commodification, improved national competitiveness by the maximum in the country's characteristics cultural element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ed make ‘necktie’ which is the symbol of male fashion to cultural goods. In the historical, social, cultural aspects, necktie is generally the representation of man's authority, social standing, and manner. According to this, I would focus on Korean male crown and hat, especially select the motive as gold crown from the Silla Kingdom. Firstly, in the second chapter, I studied the history and construction of gold crown from the Silla Kingdom. So I discussed historical meaning of gold crown from the Silla Kingdom. through two directions -transculture theory and self-sustaining theory-, then researched periodical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it by dividing into 5 types. And in the third chapter, I recapitulated the origin/kinds/modern production of necktie which is named from Cravate regiment's title in Republic of Croatia, that is the Royal guards of Louis XIV. Finally, in the fourth chapter, I stressed and proposed the textile pattern design of gold crown from the Silla Kingdom. as a motive, so that I can argue about development way and significance of necktie design as a cultural goods.

      • KCI등재후보

        현대섬유미술에 있어 반복표현에 관한 연구

        양성원(Yang, Seong-w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2 조형디자인연구 Vol.15 No.2

        현대미술에 있어서 반복구조의 유형은 옵아트(시각효과와 착시 극대화를 위한 반복형상을 중심으로), 팝 아트(대량 생산적 이미지로서의 반복적 배치를 중심으로), 미니멀 아트(절제된 조형개념으로서의 반복적 배치를 중심으로)의 형식들에서 발견할 수 있다. 반복구조는 작품을 전시하기 위해서 배열되는 단순한 외적,형식적 요소가 아니라 그 자체가 작품의 의미를 유발하는 역동적 (energetic) 요소로 활용되며,이는 21세기 현대미술의 표현 양상과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은 동일성의 강조를 위한 획일적 반복과는 달리 차이에 의한 반복행위를 통하여 새로운 의미가 생성된다는 현대 철학의 주장에 근거를 두게 된다 동일성 대신 차이에 중점을 두는 것은 서구 철학의 전통적인 인식의 위계를 흔드는 일이다. 예컨대 들뢰즈( Gilles Deleuze) 는 항구적(멜久的)인 구조와 질서로 환원될 수 없는 힘의 의미를 ‘강도(彈度)’ 로 정의하고 그 변화를 설명하였다 이를 조형작품에 적용시켜보면 차이를 지닌 반복의 구조는 단순히 부분,즉 유닛 (Unit: 단위)들의 집합이 아니라 새로운 의미의 확장,즉 강도를 일으키는 생성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조형심리학자들은 게슈탈트 이론에 근거하여 인간이 조형 요소를 지각할 때 개별적 형태보다는 포괄적 형태로 인지함을 지적한다. 반복조형의 구조는 분해된 요소들의 단순한 합이 아닌 통합적 이미지를 통해 시각적 의미를 보다 상승시키는 효과를 일으킨다. 이렇듯 현대미술을 표현하는 반복의 유닛들은 독립적인 개체성을 그 특성으로 하는 강도(in tensi ty)로서의 해석과 더불어 반복되는 유닛의 통합적 이미지로 전체성과 반복을 통한 강조의 효과를 동시 에 창출하고 있다. 한편 기존에 섬유공예(Fiber Craft), 섬유조형, 섬유디자인, 텍스타일디자인(Textile Design) 등으로 불려온 섬유분야는 21세기를 맞아 분화애 가고 있으며 고전적 개념에서 벗어나 현대미술, 즉 동시대미술과 상호 융•복합되는 상황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섬유미술(Fiber Art)은 조형적 측면에서 섬유라는 물성에 대한 선행적 이해를 기본으로 한 공예적 기술탐구를 넘어서, 현대미술의 영역이라는 관점과 해석이 시도되는 폭넓은 의미를 공존하고 있다. 섬유의 구조와 표현에 있어서 반복의 의미는 단순한 기법적인 해석을 초월하는 것이며 동시대미술로서의 섬유미술은 차이를 지닌 유닛들의 반복 구조로 형상화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섬유미술이 구조나 형식 자체가 내용을 수반하는 현대미술로 정위(定位)됨을 증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현대의 섬유미술은 현대미술과 마찬가지로 형식과 의미를 이분하여 해석하기 어려우며 , 이는 개개의 유닛을 형성하는 기법과 반복표현에 있어서도 내용과의 상호 관계를 중요시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연구자는 직물의 구조와 섬유적 물성을 반복구조로 표현한 섬유미술가들 의 몇몇 작품을 차이와 반복의 개념으로 분석함으로써,21세기 현대미술과의 공감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atterns of repetitive structures in the contemporary art appear in expressive forms including Op art (based on repetitive configurations for visual effects and the maximization of an optical illusion), Pop art (based on repetitive arrangements as a mass-produced images), and Minimal art (based on repetitive dispositions as the restricted formative concept), The repetitive structure is not an external formal factor arranged only for the exhibit of works, but an energetic factor to bring about the meaning for itself, and it is related to the expressive aspects of the contemporary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Above aspects are based on modern philosophy that points out a new meaning is not created by standardized repetition to stress an equality, but by distinguished repetition. To accept the difference instead of the equality is to shake the frame of classical recognition and order in the western philosophy, For example, Gilles Deleuze defined intensity as the meaning of power to maintain the specialty impossible of returning to permanent structure and order and explained the change of intensity. Formatively applying it, the structure of repetition with a difference can be explained as a creation to bring about the expansion of a new meaning, namely, intensity and simply not as parts, that is, the sum. of units. Meanwhile, formative psychologists revealed that people prefer a comprehensive pattern to individual factors based on Gestalt psychology when recognizing formative images. As the structure of repetitive modeling is not the sum of separated pieces, but synthetic images, to bring about the synergistic effect of a visual meaning in the course of unification. Like this, units to form contemporary art create totality as synthetic images of repetitive units and the effect of emphasis by repetition with the explanation as intensity to have the specialty, independent individuality. Together,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existing fields of Fiber Craft•Formative fiber•Fiber design-Textile design break from the classical cognition that kept material distinct handicrafts, fine art, design, and so on, and suggest convergence situation in contemporaneity. Moreover, in formative aspects, with fundamentally preceding understandings for 'fiber' material, Fiber art does not stay only technical study about crafts or handicrafts, but does keep the context that try to viewpoint and interpretation with creative action of contemporary art. In the structures and expressive aspects, beyond the repetitive technique, Fiber art as a contemporary concept, has many cases that expressed with the repetitive structures of units. It proves that placed to the contemporary art, that is, structures or forms are accompanied with contents.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separate forms from the meaning of that in the contemporary Textile art like in the contemporary art, and it values mutual relation with contents in terms of choosing techniques and the property of matter. In this thesis, I would prove the contemporary Fiber art as a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analysis of works which are produced by the several Fiber artists inside of the country who interpret the structures of texture and properties of matter of fabric by repetitive structures and its' meanings.

      • KCI등재

        신라 토우(土偶)를 모티브로 한 넥타이 패턴디자인 개발

        양성원 ( Yang Seong W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1

        문화의 상품화·산업화를 통해 `문화국가`를 지향하는 시대적 상황에서 창출되는 문화상품은 전통문화 등 그 나라의 고유한 요소를 극대화하여 경쟁력을 상승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본 연구는 신라 토우(土偶)의 형상을 모티브로 한 넥타이의 문양 디자인에 중점을 두었다. 신라 토우는 생산력을 상징하는 성(性)이미지를 통해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였고, 운반이나 수송을 상징하는 형상을 통해 죽음에 대한 생의 영속성(永續性)을 추구하는 내세관(來世觀)이 표현되어 있음1)을 역사적·사회적·문화적 고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토우를 모티브로 하여 반복적인 문양전개가 특성인 넥타이의 패턴 디자인을 개발해 보았다. 우선 Ⅱ장에서는 신라 토우의 역사, 의미, 조형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즉 신라 토우의 기원을 불교전래 이전 `원시신앙`의 측면에서 논의한 후, 신라 토우의 조형적 특징을 외·내적으로 분류하였다. `과장과 변형`, `추상미`, `사실적 성의 표현`, `입체의 평면화`, `생동성`, `균형미`, `복합성`, `해학미`, `무작위의 미`, `소박미`, `파격미` 등 유기적이고 서민적인 고유의 특징을 유형화하였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토우형상을 넥타이 제작에 적합한 문양전개 방법을 통하여 현대적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제안하게 되었다. 궁극적으로 전통이미지를 활용한 현대적인 패션 소품으로써의 넥타이 디자인 개발·상품화에 대하여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인 신라 토우의 개괄적인 고찰을 통하여 토우가 우리의 문화유산으로서의 특징과 가치가 지대함을 논술하였다. In demand of the times where `cultural nation` aspires through commerc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cultural products maximize traditional culture and such of that nation`s intrinsic part and increase competitiveness. In such a time period,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pattern design of a necktie based on the motif of the Silla`s clay figurine. It was found that Silla prayed for fertility and abundance through the image of sex, which is the symbol of productivity of the Silla`s clay figurine, and through figures that symbolize transportation. It was found through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mplation that they expressed their view of the afterlife pursuing the perpetuity of life after death. It created a necktie pattern design based on such clay figurine`s motif with repeated pattern development. First, Chapter II looked into the history, meaning, and essentiality of the Silla clay figurine. That is to say, it discussed the aspects of the origin of the Silla clay figurine set to be in primitive belief, befor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and later classified the formative features of clay figurine as external and internal. It segmented the intrinsic organic and folksy features into `exaggeration and transformation`, `beauty of abstract`, `realistic expression of sex`, `planarizing a solid figure`, `vividness`, `beauty of symmetry`, `complexity`, `art of humor`, `beauty of randomness`, `beauty of irregularity`, and `beauty of maltreatment`. Chapter III suggested designing such clay figurine image into modern textile design by using a proper pattern development method. Ultimately it suggested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necktie design by utilizing traditional images as an element of modern fashion. This study states that the clay figurine`s features and value are immense for our cultural heritage through general contemplation of the Silla`s clay figurine.

      • KCI등재후보

        점묘법(點描法)과 콜라주(Collage)를 활용한 작품표현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양성원 ( Seong Won Ya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4

        본 연구자는 지난 20여년간 본인의 내적·외적 경험과 관념 등을 투영한 대상의 이미지를 표현함에 있어, 새롭고 다양한 기법과 재료 등을 적용해 고유하고 참신한 조형언어로 해석하고자 노력해왔다. 근래 본 연구자가 천착(穿鑿)하고 있는 것은 보다 명확한 형태의 표현을 위한 단순하고 본질적인 조형언어의 모색에 있다. 이에 조형요소의 기본인 점(點)에 주목했고, 점묘법에서 착안한 타공 기법으로 화면을 구성했다. 또한, ‘색(色)으로 표현된 점(點)’으로서 타공의 배색을 콜라주로 표현함으로써, 점묘적 타공과 입체적 콜라주가 복합된 추상적인 작품표현을 지향해왔다. 이러한 본 연구자의 작품구성과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3부분으로 나눠 논의를 전개했다; 먼저 Ⅱ장에서는 19세기 말 신인상주의에서 비롯한 점묘법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았고, 신인상주의의 색점(色點) 표현을 상세히 고찰했다. Ⅲ장에서는 콜라주의 의미와 함께 피카소, 브라크에 의해 본격화된 콜라주 기법의 특징과 입체파가 추구한 평면의 다면적·다각적 표현양상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점묘법과 콜라주에서 착안하여 이들을 복합해 색(점)과 형태를 구현한 본 연구자의 작품 9점을 중심으로 종이 타공 기법을 활용한 점묘적 표현, 콜라주를 통한 색의 표현과 화면구성을 논의했다. 즉, 종이에 반복적인 타공 기법을 적용해 대상의 느낌, 질감, 리듬 등의 잠재적인 이미지를 표현했고, 다양한 색채와 질감의 섬유원단을 콜라주해 수없이 반복되는 색점(色點)으로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기법의 특성 및 조형표현의 가능성을 시도했다. 이러한 작품들은 본 연구자의 내면적인 이미지의 표출이며 각 점이 이루는 아름다움의 표현이자 추상적인 조형언어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Ⅴ장 결론에서는 본고의 논의를 정리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본 연구자가 지향하는 연구 및 작업방향을 제시했다. During last twenty years, on expression of object image which was projected my internal, external experience and idea, I have been tried to interpret it by own fresh plastic language with new, various techniques and materials. Recently, my inquiry is that seek simple, essential plastic language for more clear expression of form. Thus, I paid attention to point that is basis plastic element, and constructed picture by penetrating-zero shape, came from Pointillism. And I have been intended abstract artistic expression complex penetrating-zero and collage. For finding out my works``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I discussed three parts such as follows; First, in the chapter of Ⅱ, I examin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 of Pointillism that came from Neo-impressionism in fin de sie·cle, then researched their expression of colored-point. Second, in the chapter of Ⅲ, I studied the meaningand characteristic of collage, which was peaked by P. Picasso and G. Braque, then looked at many sides·angles plane expression of Cubism. Third, in the chapter of Ⅳ, I will find out pointillistic expression that applied paper penetrated-zero, color expression and picture composition through collage, with my nine works. That is, I expressed potentialimage of object``s mood, texture, rhythm, and so on. Also, I would try possibility of plastic expression and technical characteristic by repeated colored-points with collage of various colors and textures whole cloth. These works are my internal expression, abstract plastic language, alsoexpression of the beauty by making each point. In conclusion, in the chapter of Ⅴ, I summarized this research and showed next vision of my study and works.

      • KCI등재

        선천성 눈물소관 생성부전 1예

        천지웅,양성원,Ji Woong Chun,Seong Won Yang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6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ongenital lacrimal outflow dysgenesis with supernumerary lacrimal puncta. Case summary: A 45-years-old woman presented with chronic bilateral epiphora with no specific medical history. Slit-lamp examination revealed bilateral upper and lower double puncta. The accessory puncta were situated along the lid margin, medial to the normal one and had a typical slit configuration. Additionally, there was a lower canalicular system block that appeared unresponsive to simple probing. Bilateral endoscopic conjunctivodacryocystorhinostomy with Jones tube was performed. Chronic bilateral epiphora was relieved after bilateral endoscopic conjunctivodacryocystorhinostomy with Jones tube. Conclusions: A case of congenital lacrimal outflow dysgenesis with supernumerary lacrimal puncta was observed,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Surgical repair of the congenital lacrimal outflow dysgenesis with supernumerary lacrimal puncta should be considered to achieve a functional recovery of the lacrimal drainag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