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학습 포트폴리오 활용의 효과

        안진경(Ahn, Jinky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학습 포트폴리오 활용의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습 포트폴리오 활동이 예비교사의 자기주도성과 학습 포트폴리오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대학의 교사양성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80명의 예비교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15주 동안 학습 포트폴리오 활동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의 자기주도성과 학습포트폴리오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자기주도성 검사와 학습 포트폴리오에 대한 인식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종속표본 t-검증과 주제별 약호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 포트폴리오 활동은 예비교사들의 자기주도성과 학습 포트폴리오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켰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earning portfolio activities in curriculum for student teachers.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analyzed the effects of learning portfolio activities on student teachers’ self-direction and their perception of the learning portfolio. Eighty student teachers were selected from a University in Jeon-buk Province. For fifteen weeks, eighty of the student teachers participated in learning portfolios activities. A test of self-direction and a test of perception of the leaning portfolio were used as both pre and post tests for assessing the subjects’ self-direction and their perception of the leaning portfolio. The data was analyzed with a dependent-samples t-test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 teachers were positively influenced in their self-direction and in their perception of the learning portfolio.

      • KCI등재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유아 수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안진경(Ahn, Jinky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유아 수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북 J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만 5세반 두 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한 학급은 실험집단(15명)으로 또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15명)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유아 수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관련문헌을 고찰한 후 시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성하고, 내용 타당도 검증, 수정 및 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12주 동안 총 20회의 활동(학습일지작성 3회, 유아 및 또래 논평자료 작성 5회 포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수학적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유아 수학 프로그램은 유아의 수학적 개념 총점과 하위 요인 대수, 수와 연산, 기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ortfolio assessment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s. We appointed 30 children aged 5 who were enrolled in two classes at two day care centers located in G city, Jeollabuk-do. One class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5 children) and the other to the control group (15 children). To construct the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ortfolio assess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three steps: reviewing and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children, constructing a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ortfolio assessment, and verifying the program by content validity.ationexperimental group was involved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ortfolio assessment designed by the researcher for 20 activities during a 12 week period. In order to examine the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ortfolio assessment, a mathematical concepts test was used as a pre-study test and post-study test. The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portfolio assess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s total score and sub-components of mathematical concepts (algebra, number and operation, geometry).

      • KCI등재

        초등학교 식품군 활용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연구

        정민수(Minsoo Jung),안진경(Jinkyeong Ahn),이정희(Joungh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식품군 활용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한 초등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구현방안과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식품군 활용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과정 및 조리과정 컨설팅을 희망하는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6개월에 걸쳐 융합인재교육을 실행하였으며, 연구의 최대편차를 극대화하기 위해 ‘의도적 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융합인재교육의 경험이 있는 역량모델과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희망하는 수행모델로 구분하여 성찰일지와 인터뷰자료를 주제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식품군 활용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체계를 목표수립, 상황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평가단계로 마련하고 개발에 대한 참여교사들의 집단적 숙의과정을 기록하여 융합인재교육의 가치와 확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식품군 활용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실행-생성 측면에서 역량모델 참여교사들은 융합인재교육을 학교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수월성(excellence) 교육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행모델 참여교사들은 교실에서 실천해야 할 맞춤형(differentiated)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참여교사들은 식품군 활용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해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연계하여 재구성 목표를 설정하고 초등학교 저학년의 교실수업에 효과적인 식품군(고기⋅생선⋅달걀⋅콩류군, 채소군, 물군)의 기초 이해 및 조리실습교육의 절차적 지식과 건강한 식습관 개선 방법 등에 대한 지도활동을 실행하고 있었다. 결론 즉, 참여교사들은 수월성 교육 및 맞춤형 수업을 실행하며 융합인재교육을 논의하고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가치와 확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STEAM education programs using food groups, and to find implementation plans and development directions in the early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ethods To this end, elementary schools that wished to consult the curriculum and cooking process for the STEAM education program using the food groups were selected and trained for STEAM education over 6 months. By dividing the competency model with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desired performance model for STEAM education, the reflection log and interview data were classified by topic. In addition, the development system of the STEAM education program, using food groups was prepared in the stages of goal setting, situation presentation, creative design, emotional experience, and evaluation. Results By recording the collective deliberation process of participating teachers on development, the value and the expansion of STEAM education were critical considered. As a result, in the aspect of design-execution-creation of the STEAM education program using food groups, teacher participating in the competency model recognized STEAM education as excellent education that the school community should aim for.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model recognized it for developing of the STEAM education program at the teacher leve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and students in the early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setting reorganization goals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o design a STEAM education program using food groups. Additionally, guidance activities were conducted 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effective food groups, procedural knowledge of cooking practice education, and ways to improve healthy eating habits for classes in the early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onclusions We found that participating teachers conducted excellent education and differentiated classes, discussed STEAM education, and critically considered the value and expansion of the STEAM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