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970년대 새마을교육의 실천과 성과: 새마을지도자의 증언을 중심으로

        정용교,이광동,김진,안인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7 민족문화논총 Vol.65 No.-

        The Practice and Performance of Saemaul Education in the 1970s: Focused on the Testimony of the Saemaul LKorea in the 1960s was subjected by the situation of absolute poverty. The Saemaul Movement in this situation has provided new opportunities for innovating the Korean society. The innovative spirit of the people was inevitable in the phrase of economic and social transition from a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to modern industrial society. Saemaul education could provide a mental strength that was essential to the success of the Saemaul Movement by blowing 'can do spirit' to the public. In this regard, Korea was able to create a social order structure suitable for modern industrial society, at the same time, it could foster the achievement-oriented modern man. In this paper, we will explore the ideology, characteristics, and the core contents of the Saemaul education in the 1970s, also we will deal with the specific forms and performances of Saemaul education that were conducted in the village level in the 1970s. The impact of Saemaul education on the conscious transformation of rural residents in the 1970s clarified on the basis of the testimony of Saemaul leaders.eaders 960년대 제1차 경제개발계획을 계기로 본격화된 한국의 경제성장은 1970년대 더욱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급속한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수의 농민은 절대적 빈곤상태에 처해 있었고, 농촌지역은 공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이 심화되었다. 이런 농촌의 빈곤상황은 새마을운동에 의해 극적 반전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전통적 농경사회에서 근대적 산업사회에로의 경제사회적 전환을 위해서는 국민정신의 혁신이 불가피하였다. 새마을교육은 전 국민 대상으로 ‘잘 살 수 있다’는 새마을정신을 불어넣음으로써 새마을운동의 성공에 필수적인 정신적 동력을 제공하였다. 이에 한국사회는 근대적 산업사회에 적합한 사회질서구조를 창출할 수 있었고, 그것은 성취지향적인 근대인을 육성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1970년대 새마을교육의 이념과 특징, 핵심내용에 대해 밝히고, 이에 근거하여 당시 마을단위에서 진행되었던 새마을교육의 구체적 형태와 성과를 집중 검토한다. 1970년대 진행된 새마을교육이 마을단위에서 농촌주민의 의식전환에 미친 영향은 새마을지도자의 증언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밝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