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동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R-tree 기반 메인 메모리 색인의 설계 및 구현

        안성우(Sung Woo Ahn),경환(Kyoung Hwan An),홍봉희(Bong Hee Hong),이창우(Chang Woo Lee) 대한공간정보학회 2006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8 No.2

        Recently, the need for Location-Based Services (LBS) has in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such as PDAs, cellular phones and GPS. As a moving object database that stores and manages the positions of moving objects is the core technology of LBS, the scheme for maintaining the main memory DBMS to the server is necessary to store and process frequent reported positions of moving objects efficiently. However, previous works on a moving object database have studied mostly a disk based moving object index that is not guaranteed to work efficiently in the main memory DBMS because these indexes did not consider characteristics of the main memor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ain memory index scheme for a moving object databas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ain memory index scheme based on the R-tree for storing and processing positions of moving objects efficiently in the main memory DBMS. The proposed index scheme, which uses a growing node structure, prevents the splitting cost from increasing by delaying the node splitting when a node overflows. The proposed scheme also improves the search performance by using a MergeAndSplit policy for reducing overlaps between nodes and a LargeDomainNodeSplit policy for reducing a ratio of a domain size occupied by node`s MBRs.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index scheme outperforms the existing index scheme on the maximum 30% for range queries.

      • 서용석류 大笒散調의 搖聲에 관한 硏究

        안성우(An Sung-Woo) 한국전통음악학회 2005 한국전통음악학 Vol.- No.6

        산조는 우리음악 중에서 독주곡으로 많이 연주되는 곡이다. 이렇게 산조가 많이 연주되면서 감흥을 줄 수 있는 것은 산조음악이 갖는 여러 가지의 장단구성과 퇴성 및 요성 등의 시김새를 갖고 있어서일 것이다. 그 동안 대금산조에 대한 많은 연구는 산조의 조調에 관한 연구나 선율분석에 관한 연구 등에 치중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산조의 여러 표현들 중에서 요성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각 악기마다 산조가 있지만 여기서는 서용석류 대금산조의 요성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연구범위는 서용석류 대금산조 진양의 요성에 관한 연구는 이미 발표 한 바 있지만, 이번에 중모리 (12/♩), 중중모리(12/♩), 자진모리(4/♩.) 장단의 요성을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서용석류 대금산조의 구성장단인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장단의 요성을 분석해본 결과, 진양 장단은 한 박이 셋으로 나뉘는 삼분박의 형태인데, 그 삼분박 형태가 다시 3분박으로 세분되며, 그 1/3 박에서 3회의 요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진양 한 박에서는 총 9회의 요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모리 장단은 한 박이 둘로 나뉘는 2분박 형태의 리듬이며 한 박에서 4회의 요성을 일정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중모리장단의 요성 방법은 중모리 장단과 다르게 한 박에서 2회의 요성을 한다. 자진모리 장단은 한 박이 셋으로 나뉘는 3분박 장단이며, 한 박에서 세 번의 요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금산조의 장단은 전체를 구성하는 박자가 있고, 그 장단을 2박자, 3박자 6박자 등의 형태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각 장단마다 2분박 또는 3분박의 형태로 분할되는 형태를 띤다. 서용석류 대금산조의 요성은 모든 장단에서 그 장단의 분박과 일치하거나 각 장단에 내재되어 있는 최소단위의 리듬과 동일한 리듬패턴으로 요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anjo is a major kind of solo piece that is played ofte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reason that the Sanjo can inspire people, even when it is played so often, is from the complex composition of rhythm and its rich glissando, vibrato, and ornaments.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 on the Sanjo played by the Daegeum has been on the key, or the analysis of the melody. In this study, the main topic will be the vibrato, or in Korean terms the Yosung. Each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has its own Sanjo, but here we will mainly study the Sea Yong-Suk style Sanjo for the Daegeum. The scope will be the vibrato in the Jin-yang rhythm that was studied previously, and the vibrato in the Joong-mori, Joong-joong-mori, Jajin-mori that is added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the vibrato of the Jin-yang, Joong-mori, Joong-joong-mori, Jajin-mori rhythms that constitute the Sea Yong-Suk style Daegewn Sanjo, we have found that a beat in the Jin-yang rhythm has a triplet form, where one beat is divided into three, and that third of a beat is divided into three again, and on that third of a beat vibrato appears three times. Therefor, there are a total of nine times where vibrato is performed in a beat of the Jin-yang rhythm. A beat in the Joong-mori rhythm is divided into two to form a doublet, and vibrato is performed four times uniformly. For the Joong-joong-mori rhythm, unlike the Joong-mori rhythm vibrato is performed twice. The Jajin-mori rhythm has a triplet form and vibrato is performed three times in one beat. The Daegeum Sanjo has a beat that constitutes the rhythm, and the rhythm can be classified into two beat, three beat, six beat forms. Also each kind of rhythm can be classified again, into a triplet or doublet form The vibrato of the Sea Yong-Suk style Daegewn Sanjo coincides with the divided beat, or is performed in the same pattern as the smallest unit of the rhythm, for every kind of rhy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