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 게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안경숙(Ahn Gyoung-Suk),김소향(Kim So-Hya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6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게임의 목적, 내용, 교사의 역할과 교수 자료의 중요성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수준을 조사한 후 교사의 학력과 경력, 교사 연수 경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 수학 교육에서의 수학 게임의 중요성 및 활용 방법에 대한 교사교육과 바람직한 수학 게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연구 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329명이며,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이다. 수학 게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수학 게임 목적으로는 문제해결력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 게임 내용에서는 측정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력 및 경력, 교사연수 경험에 따른 수학게임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교사연수 경험이 많을수록 수학 게임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높았다. In order to provide data for a rationale to develop the math curriculum connected with math gam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looks at awareness of math ga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9 teachers of young children. The tool for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that is composing the items for the goals, contents, teacher's roles, and materials of math game. ANOVA, t-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goals, contents, teacher's roles, and materials of math game.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wareness about math game and teacher's educational level, career, in-service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 on math game except teacher'sawareness about materials of math game.

      • KCI등재

        멀티미디어 기반 유아음악교육의 활용실태와 인식에 대한 조사 및 교사의 사고와 경험의 의미 분석

        안경숙(Ahn Gyoung-Suk),임수진(Lim Soo-Jin),김정주(Kim Jeong-Ju)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5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기반 유아음악교육의 활용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시와 J도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사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에 참여한 교사들 중 8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을 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심층면접 자료는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멀티미디어 기반 유아음악교육은 CD, DVD 등의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유아음악교육에서 멀티미디어가 효과적인 이유를 유아의 흥미와 동기유발 및 교수활동의 효율성과 편의성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멀티미디어 기반 유아음악교육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제한적으로 사고하고 활용하며, 음악교육의 내용영역별로 균등하게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교사 주도적으로 미디어를 선택하고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해볼 때 멀티미디어 기반 유아음악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의 구축,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교사 주도적인 교육과정과 교수에 대한 인식의 제고를 추후 연구 방향으로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eachers perceive and use media i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Participants were 276 teachers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Data gathered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teachers were then analyzed with SPSS program, and also data of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analyzed with contents analysis. In findings, teachers uses mostly media such as CD, DVD for listening and making sound, sing, and listening to the music activities by teacher-directed teaching method. Also, they didn't have correct concepts of multi media, and they hardly make use of media for playing instrument, making music, and playing musical drama.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eacher might need to rethink the concept of multi media, and use them for all music educational content areas. Therefore, we proposed teacher education of using media i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놀이에 기초한 평가’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행에 대한 의미 탐색

        안경숙(Ahn, Gyoung-Su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1

        본 연구는 ‘놀이에 기초한 평가’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행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교육적 의미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중소도시에 위치한 18개 유치원의 교사 22명을 연구대상으로 교사면담과 교실에서의 교사관찰, 교사의 수업자료 전반에 대한 서류 분석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전사하여 질적 분석방법을 통해 범주화하고, 해석 및 재해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에 기초한 평가에 대한 이해부족 및 무관심, 유치원의 과중한 업무로 인한 놀이에 기초한 평가의 어려움, 유아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과 유치원 지원체계의 중요성, 평가에 대한 원장과 부모의 올바른 인식과 협조의 필요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놀이에 기초한 평가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on play-based assessment. 22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research methods, digital documentation, content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pplied for the research. Through the results, I found “teacher’s insufficiency of understanding and unconcern about play-based assessment”, “difficulty of play-based assessment caused by heavy work”, “importance of support system”, and “director and parents’ right perception and cooperation about play-based assessment”. In conclusion, I suggested the direction of play-based assessment.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 자기조절력,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안경숙(Ahn, Gyoung-Suk),신애선(Shin, Ae-S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4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body-expressing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influences children’s creativity, physical self-concept, and self-control.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0 5-year-old children, composed of experimental group of 20 children and comparative group of 20 children.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involved in body-expressing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and those in comparative group involved in general body-expressing activity, both for 16 times during 8 week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ho involved in body-expressing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scored high in motion competence and fitness of physical self-concept area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ho involved in body-expressing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scored high on every part of self-control area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Thir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ho involved in body-expressing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scored high in fluency, originality and sensitivity of creativity area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The result suggests that body-expressing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 self-control and creativity, and that using picture books can be a meaningful alternative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children’s physical expressive power.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자기조절력 및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반 유아 40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각각 20명씩 선정하였다. 유아들은 8주 동안 16회에 걸쳐 실험집단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 활동을,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신체표현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신체적 자아개념의 운동유능감과 체력 점수가 높았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자기조절 력의 모든 점수가 높았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창의성의 유창성, 독창성, 민감성 점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자기조절력 및 창의성 향상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유아의 신체표현능력 향상을 돕기 위한 교수 학습방법으로 그림책이 의미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 요리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적 의미 탐색

        안경숙(Ahn, Gyoung-Suk),김소향(Kim, So 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강조되는 핵심역량과 관계있는 뇌의 마인드 발달을 돕기 위해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 요리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적 의미를 탐색한 연구이다. 일차적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뇌 기반 학습원리를 도출해내고, 뇌 발달을 돕는 음식을 이용하여 유아 요리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분석 자료는 교사의 일과 평가와 반성적 저널, 면담 자료이며, Lincoln과 Guba(1985)의 내용분석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선행 활동 및 확장 활동을 포함하여 뇌 기반 교육적 원리를 적용한 유아 요리 활동 총 24개 활동을 개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요리재료에 창의적 이름 짓기와 상상적 이야기 만들기, 싫어하는 식품에 대한 관심 보여주기와 맛보기, 추론하기와 창의성, 수학적·과학적 태도 및 지식구성의 가능성 엿 보기, 친구들과 협력하여 문제해결하기’ 등의 교육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pply and evaluate a cooking activity program us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based on brain. Toward this aim after constructing the cooking activity program 36 five-year old children from H kindergarten located G city participated in its activities for 16 weeks. What and how they learned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methodology. Data analyzed from teacher s journals and interviews.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 First children gave a creative name to cooking and made imaginary story. Second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food that they don t like and ate them. Third there was a possibility of reasoning creativity and constructing of scientific and mathematic knowledge. Fourth they showed problem-solving with their friends.

      • KCI등재

        수학 그림책을 중심으로 한 유아수학교육 활동 프로그램 적용의 교육적 의미 탐색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하여-

        안경숙(Ahn, Gyou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그림책을 중심으로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수학 교육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만 5세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 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발달에 적합한 수학 그림책 중에서 수학교육 내용 영역 별로 2권씩 총 10권을 선정한 후,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수학 교육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J시의 T유치원 만 5세 유아 19명이 며, 10주에 걸쳐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수학 그림책 중심의 유아수학교육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 자료는 교사의 일과평가서이며, Lincoln과 Guba(1985)의 질적 연구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수학활동에 대한 유아들의 흥미를 자극하여 유아가 수학에 흥미를 갖도록 돕는 매개체 로서 ‘수학 그림책’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언어영역과 수학영역의 자연스 러운 통합이 이루어지면서 두 영역이 모두 활성화되었다. 셋째, 유아들은 수학의 다양한 과정 기술들을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넷째, 유아 주도적인 수학 그림책 만들기 활동이 발현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수학 그림책 중심의 유아수학교육 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확인할 수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math activities connected to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After drawing the direction of the math activities connected to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otal of 30 activities were developed including pre-activities, main math activities connected to picture books, and post-activities. The subjects were 20 5-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J city and the math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ictures for young children were conducted through 10 weeks. Analysis materials to examine educational meaning are teachers’ journal and interview,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of Lincoln and Guba(1985) was used to analys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he educational values of picture books related to mathematic to lead children’s motiv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Second, mathematic area and language area were activated through integration. Third, children solved the problems actively through mathematical process skills. Forth, children took the math picture book initia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th activities connected to picture books based on brain-learning principles.

      • KCI등재

        명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안경숙(Ahn, Gyoung Suk),김소향(Kim, So 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명화를 활용한 유아수학활동을 개발하여 6세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수학교육 교수법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B시의 A유치원 실험집단 26명과 비교집단 25명 총 51명이다. 실험집단은 수학적 요소와 내용이 포함된 명화 10개를 사전활동으로 감상하고, 명화에 표현된 수학적 요소와 관련된 내용의 유아수학활동을 본 활동으로 실시하였다. 사전과 사후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개념을 검사 한 후, 수집된 자료를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명화를 활용한 유아수학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명화를 활용한 유아수학활동은수학적 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명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math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After drawing the direction of math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otal of 30 activities were developed including pre-activities, main math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and post-activities. The subjects were 26 5-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B city and the math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were conducted through 12 wee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involved in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showed high in mathematical attitude. Secon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involved in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showed high in mathematical concepts. Therefore, the math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as a meaningful alternative method for promoting children s mathematical attitude and concepts.

      • KCI등재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유아문학교육 수업의 교육적 의미 탐색

        안경숙(Ahn, Gyoung Suk),신애선(Shin, Ae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유아문학교육수업의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뇌 기반 학습 원리와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유아문학교육 수업모형을 개발한 후 G 시의 4년제 대학교 2학년 학생 30명에게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문학의 아름다움과 예술성을 발견하며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몰입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학습공동체의 협력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함께 성장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능동적로 창의적인 그림책을 만들었다. 넷째, 대다수의 예비유아교사들은 뇌 친화적 원리를 고려한 평가방식과 평가결과에 공감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해볼 때,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문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문학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돕고, 문학적 교수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iterature education class based on review of the studies of brain-based learning principles. After referencing brain-based learning principles and children literature education, children literature education instruction model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30 four-year university sophomores in G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interests in children literature and artistic elements and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class. Secondl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ed literary attainments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the learning community. Thir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tively made a creative picture book through collaborating with each other. Lastly, most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greed on the evaluation method and the results which were based on the brain-friendly principles. Based on the results, children literature education using brain-based principles are expected to hel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evelop positive recognition towards literature and children literature education, and to enhance teaching capacity at clas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연환경 감수성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안경숙(Gyoung Suk Ahn),허미화(Mi Wha Huh),신애선(Ae Sun Shin)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연환경 감수성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H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의 유아 39명(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18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의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12주 동안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관련 활동을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공변량 분석(ANCOVA: Analysis of Con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속가능발전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연환경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가능발전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가능발전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연환경 감수성과 환경친화적 태도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ffects of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children’s natural environment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 children in H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and the discuss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onnected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conducted through 12 week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he t-test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of which the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scored high in the sensibility of natural environment. And also,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of which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cored high in children’s natural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uggests that the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needed to improve children’s natural environment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생활도구’ 주제 탐구 과정에 대한 교육적 의미 탐색

        안경숙(Gyoung Suk Ahn),김소향(So Hyang Kim) 한국보육학회 2020 한국보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들의 ‘생활도구’ 주제탐구 과정에서 이루어진 활동과 교사의 반성적 평가내용을 분석하여 ‘생활도구’ 주제의 교육적 의미를 도출함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적 주제 전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반 유아 20명이며, 2018년 11월 5일부터 30일까지 4주에 걸쳐 이루어진 ‘생활도구’ 주제 탐구의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질적 연구 방법(Guba & Loncoln, 1981)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도구’ 주제에 대한 유아의 사전 개념 평가를 통해 근접발달지대 내 지식 구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 둘째, ‘생활도구’를 움직이는 힘에 대한 유아들의 흥미가 높아졌고, ‘생활도구’ 주제가 마무리된 이후에 ‘에너지’에 대한 능동적 탐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마트(mart) 놀이의 발현으로 극 놀이 영역과 쌓기 놀이 영역이 통합되어 마트 놀이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넷째,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물리적 현상을 탐구할 수 있는 능동적 지식 구성의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생활도구’ 주제 탐구 과정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한 연구로, 추후 ‘생활도구’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과정기술 및 과학적 개념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양적 연구도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ducational meaning by analyzing 5-year-olds’ activities process in ‘tools for life-themed activities’ which was investigated by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Methods: For this, twenty children in 5-year-ol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study metho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children’s pre-concept evaluation on tools for life was identified. Second, ‘tools for life-themed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wonder about electric energy. Third, through emergent dramatic mart play, dramatic play area and block play area were integrated and activated. Fourth, the concern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children between teacher was improved. In the future, quantitative attitudes toward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tific process skills need to done. And also, dramatic play and block play were integrated and was activated through mart pla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theme of ‘tools for life’ for five years old children. For this, quantitative research to be conducted on how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the subject matter of future living tools affect the scientific attitude of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