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간본 수록 <회심곡>의 노랫말 표기 방식의 계열별 변화

        신현웅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동서인문학 Vol.- No.6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andard for judging the transcription period of the lyrics “Hoesimgok”.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method of writing the lyrics of “Hoesimgok” contained in 17 publications published from the mid-19th century to the mid-20th centu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ethod of writing the lyrics in “Hoesimgok” is divided into prose-style and verse-style. Prose-style is divided into formalities and variation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aces. Verse-style is classified into formalities and varia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read vertically or horizontally. The prose-style is derived in 1915 in the form of a four-note spacing and then again in the form of a two-note spacing the following year. Verse-style is derived in 1917 in the form of horizontal reading. As a result, a standard for judging the period of the manuscript of “Hoesimgok” based on the features of the bibliography was established. “Hoesimgok” in the form of four-note spacing prose-style has been transcribed since 1915, “Hoesimgok” in the form of a four-note spacing prose-style has been transcribed since 1916, and “Hoesimgok” in the form of a horizontal reading verse-style can only be transcribed after 1917.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옥국재 가사 <순창가>의 송사 서사 성격과 진술 특징

        신현웅 한국시가문화학회 202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9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asa(歌辭) and pansori in the 18th century: Lee Un-young(李運永, 1722-1794)’s work Sunchangga(淳昌歌). He wrote Sunchangga(淳昌歌) at Sunchang-gun(淳昌郡) in Jeollabuk-do Province(全羅北道) around 1760 CE. The theme on the work is the lawsuit between the government employee, Choi Yoonjae and four gisaengs. First, judicial process in the work is deviated from the legalized trial proceedings of local government offices in the Joseon Dynasty. The anomalies of the procedure are caused by omission and modification of the procedure. As a result, the lawsuit in the work, which took place over time, is stated in Sunchangga as a song that took place in one place for a day. Second, due to the omission and modification of the litigation procedure during the work, statements about the development or scene of the case are minimized, and the case is presented against the utterance of the person in the work. In addition, scene-changing statements, which are mainly found in the drama style, were found with the ignition site fixed.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statements found in Chapter 3 were related to the customary genre of statements called pansori enjoyed in Honam(湖南) in the mid-18th century of the time. The part of the birthday party in Damyang(潭陽) and Gisaeng's excuses in the work show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uniqueness of the part in pansori. In addition to these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background of Damyang(潭陽) and Sunchang(淳昌), the sanctions of lawsuit of the lower class, and the comical and humorous aesthetics dealing with them, it is reasonable to infer that Sunchangga is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This means that the extension of the Gasa in Sunchangga was carried out in the recognition of the pansori singing the narrative or the equivalent style of song literature. As a result, among the six works created by Lee Un-young, the number of works influenced by performance literature, including songs, will be expanded from four to five. 본고의 목적은 옥국재(玉局齋) 이운영(李運永, 1722∼1794)이 창작한 <순창가>의 송사 서사 성격과 진술 특징을 분석해 옥국재 가사의 창작 원리에 한걸음 더 다가서는 데에 있다. 옥국재 가사는 가사 양식의 외연을 확장한 작품으로 평가받는 바, 본고의 논의는 사대부 가사의 상대적으로 견고한 양식 경계가 이운영의 창작에서 어떠한 이유로 약화되었는지를 엿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작중 송사 서사와 진술 특징에 주목한다. 그 이유는 작중 송사가 당대 송사 절차에서 벗어난 점이 포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포착은 송사 사건이 어떠한 관점으로 활용되었는지를 밝히는 단초가 된다. 내용과 진술 특징의 긴밀성을 고려한다면 작중 송사 절차의 이례성은 진술 특징에 대한 분석을 요한다. 본고의 문제 제기에 따라 2장에서는 작중 송사 서사의 성격을, 3장에서는 진술 특징을 분석했다. 그 결과 작중 송사 과정이 조선시대 지방관아의 법제화된 재판절차에서 벗어나 있었다. 작중 절차의 이례성은 정식 절차의 생략과 변형으로 인해 일어났다. 이로써 시간차를 두고 진행된 송사 사건이 <순창가>에서는 하루 동안 한 장소에서 일어난 듯이 진술된다. 3장에서 진술 특징을 분석한 결과, <순창가>에서는 사건 전개나 장면에 대한 진술이 최소화되면서 작중 인물의 발화에 기대어 사건이 제시되며, 발화 장소가 고정된 채 극 양식에 주로 발견되는 장면 전환 진술 방식이 발견되었다. 3장에서 발견된 진술 특징은 당대 18세기 중반 호남에서 향유된 판소리라는 관습적 장르의 진술 방식과 유관했다. 담양 부사의 생일잔치 광경, 기생의 변명 등은 판소리 양식의 ‘부분의 독자성’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에 더해 담양과 순창이라는 작중 배경, 하층민의 송사라는 제재, 그것을 다루는 희극적이고도 해학적인 미감을 고려한다면 <순창가>는 18세기 중반의 호남 지역 판소리 향유 문화의 자장에 놓여 있다고 추론된다. 이는 <순창가>에 나타나는 가사 양식의 외연 확장이 서사를 가창하는 판소리 혹은 그에 준하는 노래문학 양식에 대한 인식 속에서 진행되었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로써 이운영이 창작한 6편의 작품 가운데 노래를 포함한 연행문학에 영향을 받은 작품이 4편에서 5편으로 늘어난다.

      • KCI등재

        한국가사문학관 소장 책력 소재 시문의 작자와 필사자 규명

        신현웅 한국서지학회 2023 서지학연구 Vol.96 No.-

        본고의 목적은 한국가사문학관 소장 책력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이면에 필사된 가사, 한시문 등의 작자와 창작 시기, 필사자와 필사 시기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연구 대상은 1781년, 1780년, 1778년, 1776년 책력이 합철되어 이면이 활용된 문헌이다. 이 문헌의 이면에 필사된 글씨의 독음이 난해하여 서명은 문헌에 필사된 <낙빈가>라는 가사 작품의 제목을 따랐다. 그러나 2장에서 서지를 분석하고 3장에서 시문의 작자와 필사자를 규명한 결과, 서명은 ‘나주 나씨 잡록’으로 새롭게 명명될 필요가 제기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면의 필사 시기는 1779년에서 1782년 중반 사이다. 둘째, 필사자는 전라남도 나주시 곡강면의 향촌사족 사대부 나현(羅玹, 1758~1819)일 가능성이 높다. 셋째, <낙빈가>와 <탄빈가>는 나현의 부친 나학해(羅學海, 1706~1776)가 1775년에서 1776년 사이에 창작한 가사 작품이다. 넷째, <곡만가라>는 나학해의 동생이 1780년 전후에 조카며느리의 죽음을 애도하고자 창작한 가사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가사문학사의 한 표지가 될 만한, 작자, 지역, 창작 시기를 알 수 있는 가사 작품이 발굴되었다.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the almanac in the Korean Gasa Literature Museum. It is difficult to read the transcribed text on the back of this almanac. The book title followed the title of the Gasa work “Nakbinga”, which was transcribed in the book. This book is literature that combines the four almanacs, published in 1781, 1780, 1778, and 1776, and utilizes the backside. In Chapter 2, a study on the bibliography was conducted, and in Chapter 3, the writer of literary works, the time of writing, the transcription, and the period of transcription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e signature was newly named ‘Naju Na’s Japrok’.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four below. First, the transcription period on the back was from 1779 to mid-1782. Secon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transcription was Na Hyeon(羅玹, 1758~1819), the noble class of the Hyangchonsa tribe in Gokgang-myeon, Naju, Jeollanam-do. Third, the writer of the Gasa “Nakbinga” and “Tanbinga” is Na Hakhae (羅學海, 1706~1776), Na Hyeon’s father. Na Hakhae wrote two works between 1775 and 1776. Fourth, Gasa “Gokmangara” is presumed to have been written around 1780 by Na Hakhae’s younger brother. As a result, gasa works that show the writer, region, and period of writing that can serve as marks for the history of gasa literature were discover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