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메를로-퐁티와 세잔

        신인섭(In-Sup Shin) 한국철학회 2008 철학 Vol.0 No.96

        현상학적 철학은 예술을 사유에 이를 수 있는 의미를 지닌 하나의 표현 형태나 언어로 해석하려 한다. 예술작품이 표상을 넘어서는 한, 예술이 물질성 편에 남아 있는 한, 예술이 종래와 같은 종류의 언어가 아닌 한, 내재적 의미는 여전히 살아있는 것이다. 하지만 예술이 진화함에 따라 의미의 내재성은 이제 의문시되고 있다. 특히 현상학적 반경 내의 철학자들이 집착하는, 예술에 이를 수 있는 진리의 위상 역시도 의혹을 사고 있는 것이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생트 빅투아르 山 모티브를 되새김질하는, 세잔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철학적 분석을 예술 일반에도 적용해야 할 것인가? 예술이 어떻게 은밀하고 뿌리 깊은 지각의지 내지 지각에 대한 심층탐구 의지를 통해 스스로를 규정하는 지를 가늠해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 된다.

      • KCI등재

        미학지평에서 본, 메를로-퐁티의 내재적 초월의 현상학과 들루즈의 철저 내재주의 경험론

        신인섭(In Sup Shin) 철학연구회 2012 哲學硏究 Vol.0 No.98

        Cet article a pour but d`eclairer la difference essentielle entre le materialisme de Merleau-ponty et celui de Deleuze dans l`horizon esthetique. Il critique le materialisme dur de Deleuze par l`ontologie de la Chair(Qy) qui n`est ni esprit ni matiere, c`est a dire, le troisieme genre d`etre. La chair est transcendance immanente, la force est immanence radicale. Dans ce contexte, la comparaison des conceptions de l`art chez Merleau-Ponty et Deleuze a pour enjeu la continuite entre l`homme (et son monde) et l`oeuvre, donc le caractere intelligible ou non de l`art. L`art chez Deleuze est, certes, de la ?pensee?, mais son type d` intelligibilite n`a rien d`intellectuel, de representatif. Des ?forces? contraignent l`artiste a ?penser? une oeuvre. L`art reste une enigme pour Deleuze. Merleau-Ponty fait de la creation artistique un approfondissement de la reflexivite de la Chair. Deleuze conteste l`idee de la perception comme chair, commune au moi et au monde, qui reste dans l`univers de la representation (visible/invisible), recupere la transcendance et ne rend pas compte des grandes ruptures et des grandes innovations de l`art, ni des affres de la creation forcee chez l`artiste. Deleuze rapporte la creation a l`affrontement de forces aveugles, venues de la violence de la vie, qui poussent a creer comme elles forcent a penser. Merleau-Ponty admet une dimension d`idealite et de rationalite dans l`art, puisqu`il est en continuite avec un rapport au monde vecu, rapport qui suppose des formes d`adaptation, dans une rationalite. Au contraire, pour Deleuze, l`art commence avec quelque chose d`aveugle, d`irrationnel : on est dans l`ordre de l`extatique et du meduse, de l`irrepresentable. Merleau-Ponty reste spiritualiste aux yeux de Deleuze, ce qui est discutable. Deleuze refuse l`idee de la chair comme en-deca de la separation entre matiere et esprit. Les deux sortes d`immanentismes se divisent ici meme. Le tendre de la chair n`est pas immersion mais membrure qui appartiendrait a l`opacite ontologique chez Merleau-Ponty. Avec son idee de l`immanence radicale, Deleuze semble un dualiste entre la forme et les forces. Aussi reste-il un materialiste dur. Il radicalise le materialisme dans le sens d`un empirisme radical qui change completement de terrain par rapport a la tradition philosophique.

      • KCI등재
      • KCI등재

        제 2인칭을 위한 윤리학의 현상학적 근거

        신인섭(In Sup Shin) 철학연구회 2002 哲學硏究 Vol.58 No.-

        후설이 지향성의 근거지인 자아의 자율성을 유지한 반면 메를로-퐁티와 레비나스는 설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의식이 구성적 특성인 현상학적 환원을 거부한다. 여기서 발생하는 타자관계 속에서 우리는 두 가지 휴머니즘을 보게 되는데 먼저, 메를로-퐁티는 자아가 타자 및 세계와 더불어 지각의 시초부터 서로 얽힌 채 윤리가 발원한다고 하여 존재론에 기초한 자연적 공동체에 이르게 된다. 한편, 레비나스는 이와는 반대로, 모든 자연주의와 존재론에 대립하는 윤리학 곧 자아와 동일자와 존재 사이의 공모를 단절하는 레비나스의 차이의 윤리학은 타자에 절대적 우선권을 부여하게 되면서 자칫 윤리적 이데올로기로 전락할 운명에 ?게 되는 반면, 메를로-퐁티의 자아와 타자의 상호성의 세계를 그들 사이에 둔 채 생태학과 윤리학을 위한 불가분리적인 교두보가 된다.

      • KCI등재

        아리시마 다케오 문학읽기 -“고뇌”의 글쓰기-

        신인섭 ( In Seop Shin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1 日本語敎育 Vol.55 No.-

        有島武郞の硏究史においては、彼の文學を語る際に、苦惱の作家像としてのイメ―ジを造ってきた。この論では苦惱に滿ちている彼の文學というのを、作家論とは違った方法で、方法としての苦惱の語りに注目して捉え返してみた。『生れ出づる惱み』における有島のコミュニケ―ションの戰略を論の踏み台にし、資本主義の矛盾を自己の問題として捉える有島武郞の自己否定の言說を、評論を通して讀み、そして『宣言一つ』からは自己の脫構築に失敗せざるを得なかったプロセスを考察した。文學の表現行爲を苦惱の共有という、二人稱の語りの戰略を以て自己の問題に引き付けて捉えた有島の潔癖さは、日本の近代文學史の中では稀であった。他者へ同情することから出發するこのような作家の意識は、折角の、二人稱の方法への可能性を見い出しながらも、他者への同情から他者との「一體化」へと先銳する道を천ることによって、實驗に終わるしかなかった。文學テクストの作り手と、テクストの人物たち、讀者の間に跨る文化資本としての「身體」を意識する有島武郞は、その境界において筆をおり、生身の身體を解體するしかなかったとも言えよう。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메를로-퐁티와 현상학의 현상학, 포스트-후설 프레임

        신인섭(In Sup Shin) 철학연구회 2013 哲學硏究 Vol.0 No.100

        Maurice Merleau-Ponty(1908-1961) est naturellement philosophe francais representatif du courant phenomenologique issu de Edmund Husserl(1859-1938). Dans la France de l`apres-guerre de 1940-45, il fut, avec Sartre, avec qui il fonde la revue Les Temps Modernes (1945), la figure la plus marquante de la philosophie et de l`engagement intellectuel en politique, en une epoque de guerre froide ou se posait la question du soutien au Parti communiste lie au stalinisme. Il est l`auteur de la premiere philosophie du corps par le biais de la premiere philosophie de la perception, qui etablit un depassement correlatif de l`empirisme et de l`intellectualisme. Sur ce fondement fut rendue possible la premiere philosophie d`autrui: chez Husserl demeurait le solipsisme cartesien que Husserl en raison du caractere transcendantal de la conscience intentionnelle. Merleau-Ponty precise une conception du corps de chair et de l`ouverture au monde (intentionnalite). Le schema corporel, l`etroite intrication du corps percevant a un monde fait de la meme chair et ou se trouvent d`autres consciences incarnees, resout le solipsisme l`alteriteest constitutive du sujet percevant. Sur fond de chair commune et reversible, la relation incarnee au monde se traduit dans l`expressivite du corps comme sens-impliquant le langage et avant tout la ? parole parlante?. Le geste linguistiquefonde une rationalite intelligible, dejainscrite en puissance dans des ?rayons de monde?, ?rais de lumiere?, ?membrure? intelligible. La puissance creatrice, symbolisee par l`art de Cezanne, s`inscrit dans le prolongement de la perception comme sensibilite charnelle eclairee, lumineuse. Les analyses de Merleau-Ponty devaient deboucher sur une ontologie du sensible dont la mort prematuree du philosophe n`a pas permis le developpement.

      • KCI우수등재

        메를로-퐁티의 코르푸스 현상학과 부르디유의 아비투스 사회학

        신인섭(Insup Shin) 한국철학회 2015 철학 Vol.0 No.123

        이 논증은 17세기 대승적 합리론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예찬과 그를 통해 재구성된 아비투스에 대한 사회학적 · 철학적 비판 사이의 조화를 찾는 시도이다. 이는 곧 조건과 원인이라는 과학 만능주의적 탐구로 환원되지 않는 메를로-퐁티의 ‘확장된 합리성’의 이념을 정립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우리는 부르디유의 비판적 사회학과 레몽 부동의 사회학적 인식론을 매개로 활용하고자 한다. 사회계급이 개인의 행위를 결정한다고 본 부르디유는 사회를 ‘사회적’ 행위자를 소외시키는 ‘시스템’이라고 비판하는 반면, 부동은 행위주체의 진정한 합리성이 실행되는 ‘콘텍스트’로 사회를 해석하면서 부르디유의 시스템을 교정하는 ‘방법론적 개체주의’를 제시하게 된다. 그런데 부르디유 사회학에서 아비투스의 논리는 역설적이게도 세계와의 실질적 관계 위에서가 아니라 어떤 문화에 동화되어버린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주체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메를로-퐁티의 신체도식 이론은 ‘세계로 열린 존재’의 중재로서 신체개념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메를로-퐁티의 확장된 합리성은 부르디유의 비판적 사회학과 부동의 사회학적 인식론을 잇는 교두보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find a harmony between Merleau-Ponty’s admiration of the Grand Rationalism and his reconstituted philosophical criticism against Bourdieu’s idea of Habitus. That is connected to setting up the idea of ‘extended rationality’ by Merleau-Ponty which could not be reduced to almighty scientism that solely pursues cause and condition. From this perspective, I would like to simultaneously utilize Bourdieu’s critical sociology and Boudon’s sociological epistemology as a medium. Bourdieu, maintaining that the social class determines an individual act, criticizes the society as a ‘system’ which alienates social agents(acted individuals). On the other hand, Boudon interprets the society as a ‘context’ where the authentic rationality is realized. He proposes the so-called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that is designed to rectify Bourdieu’s system. Paradoxically, in Bourdieu’s sociology, the logic of Habitus is rooted not in the relation with the world but in the subjectivity such as a social agent who is incorporated in a culture. On the contrary, Merleau-Ponty’s theory of body schema belongs to the concept of body as a vehicle of ‘Being opened toward the world’. In brief, the rationality extended by Merleau-Ponty will be a bridgehead between Bourdieu and Boud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