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세계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신은자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 정보관리학회지 Vol.34 No.1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visibility and impact of university repositories in South Korea with the help of web-sites, OpenDOAR, ROAR and RWR. Further understanding the self-archiving status of South Korea,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putation and power of major Asian countries’ university repositories.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nine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th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ere active. There was only one South Korean university repository in the RWR top 500. All the other repositories ranked in bottom level. However, among Asian countries, Japan and Taiwan have established many institutional repositories. They had 257 and 52 repositories respectively. Fortunately, some leading university repositories in South Korea began activating self-archiving with the help of linking their own research outputs management system. Also, the attempts by other South Korean university repositories expect a substantial quantitative growth in the near future. 이 연구는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글로벌 가시성과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사이트인 OpenDOAR, ROAR, RWR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 결과를 기관 리포지터리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영향력 확산에 노력하는 비영어권 아시아 주요 국가와 비교함으로써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경쟁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세 사이트에 모두 등재되어 있는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는 9개에 불과하였다. 이 가운데 RWR 세계 순위 500위 안에 든 대학은 한 곳일 정도로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세계적인 위상은 매우 낮았다. 반면 아시아 주요국인 일본과 대만은 대학의 리포지터리 수가 각각 257개, 52개일 정도로 많아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 현황과 대조적이었다. 그렇지만 이 연구는 국내 선도적인 대학 리포지터리가 최근 연구업적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구성원의 샐프 아카이빙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대학 리포지터리의 양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단서라는 점에서 긍정적이었다.

      • KCI등재

        전자저널의 아카이빙에 관한 연구

        신은자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 정보관리학회지 Vol.18 No.3

        전통적으로 도서관은 가치 있는 인쇄저널을 선별해 구독하고 소장하고 보존함으로써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이용자에게 원문을 제공할 수 있었다. 최근 등장한 전자저널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원문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전통적으로 보존의 기능을 담당했던 도서관이 전자저널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독특한 전자저널의 유통체제로 인하여 컨텐츠 생산자인 출판사나 데이터베이스사가 실제 전자저널의 컨텐츠를 보유하고 서비스하고 있으며 이들의 정책에 따라 전자저널의 영구접속 및 영구이용이 달라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상황을 염두에 두고 외국과 국내의 전자저널 아카이빙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바람직한 전자저널 아카이빙 정책추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출판사의 아카이빙 노력에 전적으로 기대를 걸기보다는 전통적으로 보존기능을 담담했던 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아카이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출판계 적극적인 협조하에 국가도서관이 주축이 되어 전자저널 아카이빙에 대한 포괄적인 보존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는 것이 보다 현실성이 있으며 각 단위도서관이 적절하게 역할을 분담하여 전자저널 아카이빙에 참여하는 공동 아카이빙 체제를 마련해야 함을 제안할 수 있었다. In the print world libraries have served as the archival repository for journals that they owned. In the age of digital information, however, with the licensing of electronic journals libraries purchase access to journal contents rather than paying for ownership. Libraries note the potential benefits of electronic journals, but also quake at the thought of inaccessible electronic journal contents caused by lack of preservation, changing technology, or publisher requirements. It is real that libraries have not yet stepped in to create archives of the electronic journals they are purchasing. In the digital environments, publishers, libraries, and other information providers are not the independent units that we used to be. It will take us all working together to solve the problem of preserving access to electronic journals. Thus, it is reasonable that a national library would be charge of making a comprehensive archiving policy on electronic journals, and that cooperative agreements of local libraries can help divide responsibility for different subject areas or materials.

      • KCI등재

        디지털 시대 오픈 데이터 정책의 현황과 과제

        신은자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 정보관리학회지 Vol.32 No.3

        과거에는 오픈 데이터에 공감한다 하더라도 이를 실천할 방법이 마땅하지 않았으나 요즈음은 디지털 형태의 연구데이터를 IT를 통해 공유하는 것이 어렵지 않은 상황이 되었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가 오픈 데이터를 시행하였을 때의 부작용과 추가 작업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고 이외 해결하여야 할 문제도 다소 있어, 오픈 데이터는 현재 기대만큼 활발히 수행되고 있지는 않다. 지구과학, 기상학 등 일부 학문 분야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을 뿐 나머지 학문 분야에서는 오픈 데이터에 대하여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듯하다. 연구결과 해외의 학회, 비영리단체, 대학, 연구지원기관에서는 오픈 데이터를 공공의 이익 추구 차원에서, 주요 출판사에서는 오픈 데이터를 논문을 엄격하게 심사하기 위한 보완책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었다. 오픈 데이터는 후속 연구를 이끌고 학문을 발전시키는 발판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해외의 사례를 충분히 고찰하고 정책에 반영함은 물론이려니와, 연구자, 대학, 도서관 모두 오픈 데이터의 필요성과 향후 전개될 상황에 관하여 관심을 갖고 보다 적극적으로 협력하여야 할 것이며, 이 연구는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There were not many ways to share research data in the past, but modern information technology has allowed us to share these data. As data sharing has its side effects, researchers’ attitude and practice to sharing data vary by individual discipline. This study found that foreign learned societies, NGOs, universities and research funders support data sharing in a utilitarian perspective, while major publishers demand it so that other researchers can verify the data in peer review. It is important that open data policy should be settled down in near future for evoking further studies and encouraging progress in science. In order to establish data sharing successfully in Korea, efforts could be made by researchers, universities, academic libraries, and governments as well as the stakeholder. This study also proposed specific ways to perform it.

      • KCI등재

        한국 재료공학 논문의 피인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신은자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 정보관리학회지 Vol.30 No.1

        This study poin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articles and citations in material science which is the most active publishing disciplinary in South Korea. This was conducted by gathering the information on SCIE which had been published by 449 Korean professors in material science from 2006 to 2010. One of the results was that the professors who had published more papers received more citations than those who did not, reconfirming former studies abroad. It was observed that the factors majors impacting on the number of papers may be their academic positions, educational backgrounds (particularly undergraduates), and places of work. The number of citations was affected by the authors’ undergraduate and their locations of the work. This study suggested a need for more supports on basic researches by universities and funding bodies and an amendment of performance measures to include the number of citations. 이 연구는 한국에서 SCIE 논문을 가장 활발하게 발표하고 있는 분야인 재료공학과 대학교수 449명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한 SCIE 논문수와 피인용 횟수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논문수가 많은 교수가 피인용 횟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외국의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하였고, 논문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수의 직급, 출신학부, 재직 대학의 소재지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인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인적 특성 가운데 출신학부가 있었고, 환경적 특성으로 재직 대학의 소재지가 서울인지 지방인지에 따라 피인용 횟수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기적으로 국내 SCIE 논문의 피인용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피인용을 촉발할 수 있는 기초 연구에 보다 많은 지원을 해야 하고, 대학과 연구비 지원기관의 연구성과 평가에 피인용 횟수도 포함시키는 등 평가방식도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

        오픈액세스 확산을 위한 APC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신은자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 정보관리학회지 Vol.31 No.3

        OA journal publishing has steadily increased its relative share of all scholarly journal articles by about 20%-30%. The ‘Gold’ OA, often preferred by readers, refers to journal articles which are more widely available through the journal’s web site immediately. This study analyzed funder and university’s policy for paying APCs in implementing a Gold OA.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ttempts in the UK and Europe to stimulate more systematic arrangements for paying APCs, leading funders have clearly established arrangements in place. Also OA fund made by major universities in North America provides publisher with APCs. On the other hand, it is still in early stages in paying with gold OA requirements from Korean funders and universities. The funders have a ‘Green’ OA policy, such as upload the article accepted version to their online platform. Although it varies by field, many Korean authors are publishing in international journals. Their articles’ impacts would rise when they are published as gold OA. Therefore, funders and universities need to pay attention to gold OA publishing and set up subsidies for APCs which are required by OA or hybrid journal publishers. 전체 학술지 논문 가운데 오픈액세스(Open Access, OA)가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20%-30%에 이르고 있고, 최근에는 출판 즉시 오픈액세스가 가능한 골드 OA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 연구는 골드 OA를 출판하기 위한 선결 조건인 ‘논문 처리 수수료(Article Processing Charges, APC)’ 지원에 관한 것으로 연구후원기관과 저자의 재직대학에서 어떠한 정책을 수립하여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는 수년 동안 연구후원기관의 APC 부담에 관한 타당성 검토와 시범사업을 진행하여 왔고, 현재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단계이다. 미국을 비롯한 북미에서는 주요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OA 펀드를 조성하여 APC를 지원하고 있다. 반면에 한국은 연구후원기관과 대학에서 논문의 그린 OA를 추진할 뿐, APC를 지원하여 골드 OA를 출판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주제 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하는 국내 연구자도 적지 않아 이들의 논문이 골드 OA로 출판된다면 국제적인 파급력은 크게 증진될 전망이다. 이에 국내 연구후원기관과 대학도 골드 OA에 관심을 갖고 OA 전문 학술지와 하이브리드 학술지에서 요구하는 APC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기본 틀을 세우려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전자저널의 가격모형과 가격책정 현황에 관한 연구

        신은자 한국문헌정보학회 200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5 No.2

        전자저널의 보급은 날이 갈수록 늘고 있고 이를 공급하고 있는 출판사의 가격정책은 매우 다양하고 가변적이다. 전자저널의 가격모형으로는 인쇄저널 모형, 이용자수 모형, 공동출자 모형, 이용요금제 모형, 복합 모형 등이 있다. 연구 결과 국내에서 구독하고 있는 전자저널 가운데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는 가격모형은 인쇄저널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저널 모형은 과거에 구독했던 인쇄저널의 가격을 기준으로 구독료가 책정되므로 구독자인 도서관입장에서 보았을 때 융통성이 없고 지나치게 출판사 중심적이다. 향후 이 모형은 이용량을 간접적으로 반영해 차등적으로 가격을 책정하는 이용자수 모형으로 교체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이용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요금을 부담하는 이용요금제 모형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도서관은 출판사로 하여금 합리적인 가격정책을 수립하고 바람직한 가격모형을 채택하도록 촉구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Pricing for e-journals has become more complex than before-certainly much more complex than print pricing has ever been. E-journals charge either a fiat fee based on print, user, library size, usage, and combination. A survey of publisher's pricing structure found that print based model is popular followed by user based model. The current pricing situation is far from equitable and can be improved if publishers can be coerced to change their pricing practices. This study focus on a number of possible pricing models that may supplement and/or possibly replace the current print based model. With the possibility that its pricing will eventually be based strictly according to usage, may lead to the most equitable pricing model as well as the most efficient use of society's resources. Libraries can alleviate the pricing problem by encouraging library organizations and university consortia to exploit their potential monopoly power into a bilateral monopoly situation.

      • KCI등재

        정기구독제 학술지에서 오픈액세스 학술지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신은자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4

        Many publishers tried flipping, or extensively changed their journals flipped. They considered that converting an established journal into OA journal is more attractive than launching an entirely new OA journal. After conducting a careful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provided the background and current situations on flipping. There are flipped OA journals alive published by commercial publisher, society, university, and institute in the field of science and medicine. This study found the increased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after flipping, with 69% of 97 flipped OA journals in 2015 having impact factors. Also 92% of the journals experienced rising in ranking of impart factor, or achieved it for the first time. It was suggested that the roles of academic society, funding agencies, and universities when it comes to active flipping. 현재 정기구독제에서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전환을 시도하거나 이를 점점 더 강화하는 국내외 출판사가 많다. 이러한 전환은 정기구독제 학술지를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바꾸는 것이 오픈액세스 학술지를 새로이 창간하는 것보다 유리하다고 판단한 출판사에 의하여 주도되고 있다. 이 연구는 오픈액세스 학술지로의 전환이 나타나게 된 배경과 최근 동향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이러한 출판 모형의 전환은 과학과 의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었고, 학회, 대학, 기관 등 비영리 기관뿐 아니라 상업적인 출판사도 이를 적극 추진하고 있었다. 2015년 현재 정기구독제에서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전환한 97종을 분석한 결과, 전환후 출판 논문수가 증가한 학술지는 69%였다. 전환후 새롭게 영향력지수를 득하였거나 영향력지수 순위가 상승한 학술지는 92%에 달하였다. 이 연구는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전환을 위하여 학회, 연구후원기관, 대학이 각자 담당하여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를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사서와 타학문분야 연구팀의 공동 연구 및 출판에 관한 연구

        신은자 한국문헌정보학회 201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3 No.3

        In the many countries including United States, numerous librarians participate as research project members and publish papers in related/non-LIS journals. In recent years, the quantity of papers published by librarians in LIS journals and the non-LIS journals is similar. This study analyzed whether librarians join the research team in various academic fields in South Korea, carry out the research together, and publish the papers in co-authorship.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319 articles of the authors affiliated with libraries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As a result, there were not many articles published by the authors in the non-LIS journal. Nonetheless, specific examples of librarians collaborating closely with other disciplinary research teams were observed; Medicine, Architecture, Materials Engineering, etc. Librarians’ contribution in research projects in South Korea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epare for this such as opening courses on research projects in the library and the department of LIS which is training librarians as well. 미국을 비롯한 해외 주요국에서는 사서가 연구프로젝트 팀원으로 참여하여 해당 분야 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하는 예가 많다. 최근에는 문헌정보학 학술지와 타학문분야 학술지에 출판한 사서의 논문수가 서로 비슷할 정도이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도 타학문분야 연구팀이 사서에게 구체적 협력을 요청하고, 연구를 함께 진행하며, 연구성과물인 학술지 논문을 공동 저자로 출판하는 지 등을 분석하였다. 최근 10년 동안 출판된 도서관 소속 저자의 319편 논문 데이터를 Korea Citation Index로부터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타학문분야 학술지에 출판한 사서의 논문은 많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 건축학, 재료공학 등의 분야에서 사서가 타학문분야 연구팀과 긴밀하게 협업하고 출판한 구체적인 사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프로젝트에 도서관 사서를 참여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국내도 곧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내 도서관은 물론 사서직을 양성하는 국내 대학의 문헌정보학과에서도 연구프로젝트 지원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는 등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병원 형 Wee센터에서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적응, 공감,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신은자,정여주,지구덕,박민정,김시내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verify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chool adaptation, empathy,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in the commissioned education program of the hospital-type Wee Center, and to seek efficient application of group art therapy in a commissioned education. Participants include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nd were recommended by the teacher in charge at the Wee Center. A total of 1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with 6 participan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went through group art therapy, whereas the comparison group went through art activity in an art curriculum. For this research, 90-minute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rom September 2, 2019 to November 18, 2019, for a total of 12 times. The Korean 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short form (EQ-short-K), school adjustment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7) and Draw-a-Story (DAS) were used as measurements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by comparing the pre-mean and post-mean valu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daptation and empathy of adolescents. Also, while depression and anxiety were found to decrease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effect was found to be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Our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run by art therapist helps adolescents to adapt to school who are receiving commissioned education at the hospital-type Wee Center. Second, both group art therapy and art activities in an art curriculum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Third, due to the nature of the hospital-type Wee Center, it is necessary for an art therapist, who can handle both the dynamics of a group and the advantages of art program, to intervene. Therefore,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our results are meaningful as a base data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art therapy at the hospital-type Wee Center.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형 Wee 센터 위탁교육과정에서 실시 되는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적응, 공감,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검증하고, 위탁 교육에서 집단미술치료의 효율적인 적용을 모색하는 데있다. 연구참여자는 Wee 센터 담당교사가 추천하고 연구 참여를 동의한 12명의 중고등학생이며, 각 6명씩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미술 교과로 미술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기간은2019년 9월 2일부터 11월 18일까지이며,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한국판 단축공감 척도(EQ-short–K)와 학교 적응척도(School Adjustment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PHQ-9), Generalized Anxiety Disorder(GAD-7) 그리고 이야기그림(Draw-a-Story)검사이다.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집단에서 청소년 학교적응과 공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했다. 또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모두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지만, 실험집단에서 좀 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한 결론은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가 운영하는 집단미술치료는 병원 형 Wee 센터에서 위탁 교육을 받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와 미술프로그램 모두 우울감 감소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병원 형 Wee 센터의 특성상 미술 작업이 가진 이점과 함께 집단 내 역동을 다룰 수 있는 미술치료사의개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병원 형 Wee 센터에서 미술치료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