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에 대한 종단분석

        신세인 ( Sein Shin ),아리프라흐마툴라흐 ( Arif Rachmatullah ),하민수 ( Minsu Ha ),이준기 ( Jun-ki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변화의 양상을 확인하고,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의 변화양상과 그들의 계열(인문계열, 자연계열, 과학중점계열)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중점고등학교에 다니는 고등학생 256명으로부터 7개의 구인으로 구성된 이공계 진로동기를 5학기 동안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종단자료를 얻었으며,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집단중심추세모형(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구인들의 추세 집단과 계열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카이스퀘어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선 이공계 진로 교육 경험과 이공계진로에 대한 가치 인식 구인은 학생 모두가 유사한 추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사회적 지지, 이공계 진로 관련 교과에 대한 자아효능감, 이공계 진로동기 구인의 추세는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두 추세집단으로 구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공계 진로 자아효능감과 이공계 진로 흥미 구인의 추세는 `다소 감소 집단`, `대폭감소 집단`, `증가집단`의 세 추세집단으로 구별되어 나타났다. 각 추세집단의 추세양상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이공계 진로동기 구인의 수준이 고등학교 2학년 1학기 말 증가했다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 구인들의 추세 집단은 계열과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인문계열 학생들의 경우 이공계 진로 동기 변화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집단으로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공계 진로교육 환경이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변화 양상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science core school students` STEM career motiva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jectory patterns and students` tracks. Longitudinal STEM career motivation data with seven constructs were collected from 256 students for five semest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group-based trajectory modelling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jectory pattern groups and the tracks,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Based on our findings, we found that students are likely to have similar trajectory patterns in STEM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in their perception towards STEM career value. In terms of parents`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STEM career motivation aspects are divided into two distinctive trajectory groups (`high` and `low` group), while two other variables, STEM career self-efficacy and STEM career interest, are divided into three trajectory groups (`moderate declining`, `high declining`, `increasing` group). Most of the trajectory groups are shown the pattern that the level of each constructs increase until their second academic year, then after that, the patterns started going down. Moreover,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rack and each trajectory groups. Science track and science-core track students have similar trajectory patterns. In contrast, humanities track students have different trajectory groups in some construc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STEM career education environment should consider various patterns of students` STEM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 탐색 및 종단변화

        신세인 ( Sein Shin ),이준기 ( Jun-ki Lee ),하민수 ( Minsu Ha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3

        이 연구는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계열별 직업 가치관의 유형과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하여 11개 직업 가치관 문항을 포함한 직업가치관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 174명의 3차에 걸친 종단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은 계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셋째,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상당수는 직업가치관은 측정 시점에 따라 거의 변화하지 않으며, 이들 중에는 직업가치관적 고려가 거의 없는 상태로 유지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과 혼재되어있는 전혀 다른 성향을 보여주는 집단인 직업가치관 급변 집단들도 함께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직업 가치관의 변화추세와 그에 따른 잠재집단 유형에 기반을 둔 맞춤형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types and longitudinal changes in the career values of students in science core school. Data collected from 174 students in science core school were analyzed using 11 career value item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career value shown in students in science core schools. Second, the career value of students in science core school did not differ by their track. Third, many students of science core high schools have little or no change in their career value values depending on the time of collecting data. However, some students show rapidly changing career valu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individualized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changing trend of students' career values.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의 일반화 타당도 검정 및 집단간 차이 분석

        신세인(Shin Sein),하민수(Ha Minsu),이준기(Lee Jun-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5

        이 연구는 신세인 등(2014)이 개발한 고등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의 일반화 타당도를 확인하고, 고등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의 집단 별 비교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문항반응 이론의 라쉬 모델을 통해 집단에 따른 차별적 문항기능 을 확인하고, 구조방정식 분석 중 다중집단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다변량분석을 통해 융합에 대한 태도의 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인문계열과 자연계열, 남녀 전학년 학생 6,036명이 참여하였다. 차별적 문항기능 분석과 다중 집단 요인분석 결과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문항의 기능과 구조는 계열, 학년, 성별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다변량분석 연구 결과는 계열, 학년, 성별에 따라 융합에 대한 태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자연계열학생들은 인문계열 학생들에 비해 융합에 대한 태도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계열에 비해 학년과 성별이 융합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작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면 고등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는 계열, 학년, 성별에 관계없이 적용됨으로써 측정값을 토대로 한 집단 간 비교가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generalizability of validity of instrument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onvergence developed by Shin et al.’s(2014) study and to analyze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convergence between group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whether or not the item functioning and structure fitness of factors are differential among groups, and the attitude toward convergence is influenced by track, grade, gender. Methodologically,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analysis based on Rasch model,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structure equation modeling (SEM), and MANOVA were used to identify the research questions. Total 6,036 male and female, humanities track and science track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t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among track, grade, gender groups. The multiple-group analysis showed the fitness of factors was not differential among groups. The result of MANOVA showed that track is most influential factor to students attitude toward convergence. Especially the Science track students recorded high level of attitude toward convergence than humanities track students. It is concluded that the score of instrument for measuring students’ attitude toward convergence can be used measure the attitude toward convergence among different groups.

      • KCI등재

        ‘재미있는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신세인(Shin, Sein),하민수(Ha, Minsu),이준기(Lee, Jun-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이 연구에서는 ‘재미있는 과학수업’에 대한 과학교사 집단과 중등학생 집단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77명의 과학교사와 137명의 중학생, 137명의 고등학생의 재미있는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다. 연구에 사용할 언어 자료는 구글 서베이(Google survey)를 활용하여 2016년 9월 20일부터 2017년 7월 15일까지 수집하였다. 수집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 고등학생, 과학교사 집단의 인식에는 많은 부분 유사한 점이 있었으나, 일부분은 차이가 나타나 기도 했다. 먼저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인식 비교 결과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소통이 있는 수업’, ‘잘 이해되는 수업’, ‘참여할 수 있는 수업’, ‘실험 중심 수업’으로 재미있는 과학수업의 특성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재미있는 과학수업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모습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고등학생들은 자신과 관련성이 높은 수업을 재미있는 과학수업의 특징으로 인식했다. 한편 과학교사들은 ‘학생 중심의 활동 수업’, ‘활발한 참여가 있는 수업’, ‘현상에 대한 흥미가 유발되는 수업’, ‘내용이 이해되는 수업’, ‘호기심을 자극하는 수업’,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수업’, ‘기억에 오래 남는 수업’, ‘생활과 관련된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학교사와 학생 사이의 비교 결과, 학생들은 과학교사에 비하여 수업 중 소통 측면을 더 중요하게 인식했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해 볼 때, 재미있는 과학수업을 위해서 과학 교사는 교수·학습 내용 측면뿐만 아니라 교사-학생, 학생-학생 사이의 관계적 측면과 소통이라는 실천적 측면을 더욱 고려해야 할 것임을 제언했다. The study attempted to compare science teachers and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 on ‘interesting science class’. In this study, perceptions on ‘interesting science class’ of 77 science teachers, 137 middle school students, and 137 high school students were compar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SNA). Text data were collected from 20 September 2016 to 15 July 2017 using Google survey.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many similarities but som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students recogniz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esting science class as communicative lesson , well understood class , class that can participate and experiment-centered class . However,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interesting science classes in more specific perspectiv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y perceived interesting class as class that is related themselves as a characteristic of interesting science class. Second, the science teachers recogniz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esting class as “student-centered activity”, “active participation”, “interesting phenomenon”, “well understandable content”, “class that stimulates curiosity”, “memorable class”, and “life related class”. The comparison between science teachers and secondary students showed that students perceived the communication aspect more important in interesting science class than science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science teachers should take into account not only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but also practical aspects such a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 students, students-students.

      • KCI등재

        관찰과 재현에 대한 예비 생물교사들의 가치지향점 -객관성을 중심으로-

        신세인 ( Sein Shin ),이준기 ( Jun-ki Lee ),하민수 ( Minsu 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4

        과학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적 실천(practice) 과정에는 다양한 암묵적 지식이 존재한다. 교사는 이 암묵적 지식을 학생들에게 지도하는데 있어 자신의 과학에 대한 가치지향점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미경 세포 관찰 실험 상황에서 관찰 및 이미지 재현이라는 과학적 실천의 지도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교 사들의 가치지향점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관찰행동의 가장 큰 지향점인 객관성을 중심으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50명에게 현미경 세포관찰 실험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게 하였고, 서술한 자료들은 과학교육 전문가 2인의 반복적 비교분석을 통해 귀납적으로 범주화되었다. 그 결과 존재의 확인을 위한 수단으로서 관찰을 인식하는 ‘존재 확인 지향’, 관찰은 객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기계적 객관성 지향’, 관찰의 주관적 성격을 인정하는 ‘학생의 주관성 지향’, 관찰 대상과 표본 제작 및 관찰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공적 산물을 구별하는 능력을 중시하는 ‘훈련된 판단 지향’의 4가지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 ‘기계적 객관성 지향’ 유형이 예비 생물교사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 객관성이 관찰과 이미지 재현행위에 대해 중요한 신념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나의 실험과 그 실험에 매개된 암묵적 지식에 대한 지도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의 다양한 가치지향점이 반영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들의 과학적 실천에 대한 이러한 가치지향점은 학생들의 지도행위와 평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앞으로 교사교육에 많은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value orientation in terms of scientific observation and representation in plant cell microscope observation experi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pre-service teachers’ value orientation in relation to objectivity. To achieve this aim, we used a hypothetical situation that pre-service teachers should teach tacit knowledge related to observation and representation during the cell observation class. We presented a hypothetical situation to fifty pre-service biology teachers and collected their answer about that hypothetical situation. These answers were categorized inductively based on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four types of pre-service teachers’ value orientation, ‘presence confirmation’, ‘mechanical objectivity’, ‘students’ subjectivity’, and ‘trained judgement’, are confirmed. This result also shows that various value orientation could be reflected on teaching an experiment and tacit knowledge related to the experiment. Also, many pre-service teachers value ‘mechanical objectivity’ in observation and image representation. Also, pre-service teachers’ value orientation and perception of objectivity in scientific practice could have an influence in teaching science, this result could give provide suggestions on science teachers’ education in terms of scientific practice.

      • KCI등재

        과학적 사고의 걸림돌 동기기반추론 -과학기술 분야 학문후속세대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신세인 ( Sein Shin ),이준기 ( Jun-ki Lee ),하민수 ( Minsu 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5

        동기기반추론은 원하는 특정한 결과나 목표를 성취하고자 하는 동기에 영향을 받아 이루어지는 편향된 추론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사고 발달을 저해하는 동기기반추론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시도하고, 실제 국내 과학기술 분야의 학문후속세대들이 경험한 동기기반추론의 실제적 맥락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를 위해 문헌연구에서는 동기기반추론의 심리학적 특성과 과학적 사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과학기술 분야 대학원생 8인과 신진 연구원 1인과의 심층 면담을 토대로 실제 과학기술분야에서 나타나는 동기기반추론의 의미와 맥락을 파악하고자 했다. 문헌 분석 결과 동기기반추론은 개인적 수준에서 과학적 사고의 핵심인 이론과 자료의 적절한 조정 과정을 방해하며 과학적 지식 구성의 고착을 가져올 수 있으며, 사회문화적 수준에서 특정 사회문화적 신념이나 목적에 의해 과학이 이용되는 기작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과학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과학기술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제 국내의 과학기술분야의 학문후속세대들이 경험했던 동기기반추론 사례를 살펴본 결과, 기존의 신념 보호, 성급한 결론 추구, 사회문화적 신념 보호, 집단의 의사결정을 합리화를 통해 동기기반추론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기술 학문후속세대들의 동기기반추론은 이들이 보다 이론과 증거의 적절한 조정을 통해 타당한 과학기술 지식을 구성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사고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Motivated reasoning refers to biased reasoning that is affected by motivation to achieve a particular result or goal. In this study, we attempted a theoretical study on motivated reasoning that hinders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and empirical study on actual context of motivated reasoning in the research experiences of next-generation Korean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be specific,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motivated reasoning and its negative impact on scientific thinking and science research. To understand the substantial meaning and context of motivated reasoning in the field of real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graduate students and one young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s, we found out that motivated reasoning can interfere with the proper theory and data coordination, which is the core process of scientific thinking at the individual level. At the socio-cultural level, it can lead to cessation of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and it can act as a mechanism in the process of using science for specific socio-cultural beliefs or purposes, thereby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rationale and objective scientific thinking. Quantitative analysis with in-depth interview data showed that graduate students and the young researcher’s experienced motivated reasoning results in trying to protect prior beliefs, make hasty conclusions, protecting socio-cultural belief or rationalizing decisions made by their community. Their motivated reasoning could become an obstacle in constructing valid science and technology knowledge through appropriate theory and evidence coordin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science education for improving scientific thinking.

      • KCI등재

        뉴미디어 콘텐츠에서 재현되는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의 이미지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을 중심으로-

        신세인 ( Sein Shin ),하민수 ( Minsu Ha ),이준기 ( Jun-ki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1

        이 연구는 대표적인 뉴미디어 매체인 유튜브 상에서 재현되고 소비되는 과학 실험의 이미지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자 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이미지의 강력한 지위와 가상과 실재의 경계의 모호함에 대해 논의한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과 시뮬라크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유튜브의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 영상 사례를 분석했다. 총 14편의 국내외 과산화 수소 분해 실험 관련 유튜브 영상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뉴미디어 매체 속에서 과산화 수소 분해실험은 전형적으로 과학적 실험을 의미하는 기호들과 함께 재현되고 있었으나, 가장 핵심적인 기호는 실험을 통해 생성되는 거품이었다. 콘텐츠의 더 많은 소비 촉진을 위하여 유튜브 속에서 재현되는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의 거품은 더욱 자극적인 ‘초거대한 거품 폭발’의 이미지로 변화되어갔다. 뿐만 아니라 유튜브의 댓글을 통해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을 수행하는 교실에서도 이 거대한 거품의 이미지는 실재보다 더 실재같은 시뮬라크르이며, 실제 실험의 수행에도 영향력을 미치는 시뮬라시옹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가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며 수많은 이미지를 제공하는 뉴미디어의 영향력을 고려할 때, 뉴미디어 속 과학실험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친밀함과 접근성을 높인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즉각적이고 표면적 이미지만을 주로 다루는 뉴미디어의 특성으로 인해 과학실험의 목적이 ‘스펙터클 이미지의 생성’으로만 고착될 위험성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 깊숙이 영향을 미치는 뉴미디어의 특성과 한계를 이해를 토대로 그 속에서 재현되고 굳어지는 과학 관련 이미지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과학 미디어리터러시가 요구됨을 주장했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of scientific experiments represented and consumed on YouTube, a representative of today’s new media.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the case studies of YouTube’s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experiment based on Baudrillard’s theory of Simulation and Simulacra, which discusses the strong status of images and the ambiguity of the boundary between virtual and reality. A total of 14 YouTube videos related to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experiments were analyzed. In those videos,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experiments were typically conducted with several signs representing scientific experiments, but the most important sign in the videos were bubbles produced through experiments. For more public consumption of the content, the bubbles resulted from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reproduced in YouTube have been transformed into a more spectacular image as ‘super-huge’ and ‘explosive’ bubble.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new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students anytime and anywhere, it is positive that science experiments in new media enhance students’ intimacy and access to science.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e danger that the purpose of scientific experiments will be limited to only ‘showing specular images’, due to the nature of new media, which mainly deals with immediate and superficial images. Furthermore, this study argues that improving students’ science media literacy is required to critically examine the science-related images represented in the new media based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new media that deeply affect daily life.

      • KCI등재

        과학교육의 재미에 대한 재발견 -재미의 의미와 가치를 중심으로-

        신세인 ( Sein Shin ),하민수 ( Minsu Ha ),이준기 ( Jun-ki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5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재미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문헌분석을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은 재미와 관련된 국어학, 심리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의 문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재미의 의미, 재미를 경험하는 맥락의 특성, 과학교육에서 재미의 가치, 재미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과학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미는 특정한 대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느껴지는 정서적 고양 상태를 의미하는 표현으로서, 감각, 관계, 자아, 대상 중심의 다양한 요소들의 복합적 작용으로 유발되는 정서적 경험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재미 경험의 맥락에 대해 이해하기 위하여 재미와 관련된 선행문헌들에 대해 토픽모델링이라는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재미와 관련 경험은 유희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희적 특성은 과학에도 존재함을 논증하였다. 셋째, 과학교육의 재미의 교육적 가치와 지향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학교육에서 재미는 단순히 학습행동을 유도하는 도구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과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생동감을 얻을 수 있는 보편적인 경험 중 하나이며, 학생 개개인이 과학과 관련된 정서적 발달의 원동력이 되며, 재미를 추구하는 태도와 행동은 창의적인 사고와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논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육에서 지향해야할 재미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유발되는 수동적인 재미가 아닌 노력하고 시행착오 끝에 경험할 수 있는 능동적인 재미여야 하며 과학을 즐기는 이들 또한 존중할 수 있는 과학교육문화가 장려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철학자Deleuze(1976)의 철학을 바탕으로 학생 개개인의 고유한 재미 경험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and value of interest (in Korean ‘Jae-mi’) in scienc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Literature analyses were conducted on literature related to interest in various fields such as Korean language, psychology, philosophy, and educ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of intere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of experiencing interest, the educational value of interest in science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science education to realize the value of interest. First, it was found that interest is an experience of emotional activation that can be felt through interaction with a specific object, and it is an emotional experience caused by the complex combination of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which is oriented sense, relationship, self, and object. Second,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experience of interest, we conducted a topic modeling analysis with 1173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inter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xt of interest is closely related with playfulness. And we addressed that this kind of playfulness is also found in science. Third, the educational values of interest in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In science education, fun is not only an instrumental value to induce science learning behavior, it is also one of the universal experiences that learners feel lively in science teaching-learning, and driving force of individual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related to science. The students’ active attitude to feel interest lead to creative thinking and action. Finally, we argued that the interest that should be aimed in science education should be active interest and experienced at trial and error, not passive interest induced by external stimuli. And science education culture should be encouraged to respect those who enjoy sci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each student’s unique interest experience based on the philosophy of philosopher Deleuze (1976).

      • KCI등재

        생명과학 수업 중 재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 고등학교 수업을 중심으로 -

        신세인 ( Sein Shin ),하민수 ( Minsu Ha ),이준기 ( Jun-ki Lee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1 생물교육 Vol.49 No.1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context of biology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experiences in biology clas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pproach. Data was collected from 4 biology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of interesting biology class. As a results, a total of 15 themes and 4 categories,‘not interesting or only interesting class’,‘students experiences in interesting biology class’,‘teacher’s efforts to lead interesting biology class’,‘interest that teacher and students form together’, were revealed. These results showed that interest of biology class was not a mere experience of laughing during class, but a satisfying experience composed of cognitive, emotional, social, and sensory factors.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인공지능(AI)에 대한 개념인식과 정서 구조 탐색

        신세인(Shin, Sein),하민수(Ha, Minsu),이준기(Lee, Jun-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고등학생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언어네트워크 분석(SNA)을 통해 학생들의 인공지능에 대한개념 이해와 정서의 구조를 탐색했다. 둘째, 학생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위험 인식과 관련된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상관관계 분석과 경로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연구에는 총 135명의 2학년 남자 고등학생들이 참여하였고, 학생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개념 이해와 정서를 각각 묻는 서술형 2 개의 문항과 인공지능의 위험인식과 관 련된 ‘빠른 발전성 인식’, ‘일자리 위험인식’, ‘윤리적 위험인식’, ‘통제 필요성 인식’,‘두려움’ 5개의 변인을 묻는 총 13개의 문항을 바탕으로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서술형 자료에 대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 먼저 개념 이해 측면에서 학 생들은 인공지능을 “인간”을 중심으로 인식하며, 인간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 대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인공지능을 떠올릴 때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현재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체 혹은 지배할 것이라는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 태도가 존재함을 확 인하였다. 둘째, 인공지능에 대한 위험인식과 관련된 5개의 변인에 대한 경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윤리적 위험인식은 관련성과 발전성 인식이 두려움으로 이어지는데 유의미한 매개자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올바른 위험인식이 인공지능에 대한막연한 두려움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적 대안일 것임을 논의하였다. 이러한연구 결과는 인공지능을 소재로 한 다양한 교육자료 개발의 기초자료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verarching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this, first, we explored the structural pattern of concept understanding and emotion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SNA). Second,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for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lated with risk perception of AI. 134 male second grade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perceived AI with focusing on ‘human’, and understand AI as “substitute for humans’ work”, “system which can make judgement for themselves”, “computer or robot”, “automatic machine”, “AlphaGo”, “various algorithm”, and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our finding showed that when students think about AI, they feel “fear of threatening human status”, “expectation for convenience”,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Especially we found that some students have negative attitude with the fear that it might replace or dominate human being. The result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perception on rapid development of AI have positive effect on risk perception on job reduction and ethical issue caused by AI. And the perception of risk for job reduction problem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necessity of control on AI, and the perception of risk for ethical issue of AI have also positive effect on fear of AI significant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risk perception for job reduction and fear, between risk perception for ethical issue and necessity of control on AI.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