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자로 거듭나는 예술가'의 경험세게에 대한 연구 : 미술분야 문화예술평생교육 교수자를 중심으로

        신석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요 약 ‘교육자로 거듭나는 예술가’의 경험세계에 대한 연구 - 미술분야 문화예술평생교육 교수자를 중심으로 - 신 석 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평생교육학과 (지도교수 조 화 태) 본 연구는 현재 문화예술평생교육현장에서, 예술인들이 개인 창작공간에서 벗어나 ‘가르치는 예술가’ 즉 교육자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험세계에 대한 한 사례연구로서 미술분야 문화예술평생교육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교수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예술인들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고충을 이해해 보고 문화예술평생교육현장의 보다 나은 교육여건과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성인미술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인 교육환경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르치는 예술가’들은 어떤 이유에서 문화예술평생교육현장을 찾게 되었는가? 둘째, ‘가르치는 예술가’들이 문화예술평생교육현장에서 겪게 되는 갈등, 불안, 위축, 괴리감 등 위기감의 양상과 원인은 무엇인가? 셋째, ‘가르치는 예술가’들이 교육자로 변화된 삶에서 느끼는 예술가와 교육자 사이의 혼돈은 어떤 것이며, 그것을 어떻게 조절하고 있는가? 넷째, ‘가르치는 예술가’들이 교육자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얻게 된 교육적 역량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기존의 예술세계는 어떻게 재규정되어 가는가? 다섯째, ‘가르치는 예술가’들이 제시하는 향후 바람직한 문화예술평생교육자의 모습은 어떤 것인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시대의 신문기사와 사회인문학적인 서적을 참조하며 그와 연관된 문헌고찰을 하였고, 연구의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모두 8명으로서 개인 창작활동을 병행하며 문화예술평생교육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2년에서 16년 기간의 다양한 교육종사 경험 층으로 연령은 20대에서 60대 이후의 폭넓은 나이층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비구조적인 심층면담의 방식으로 개인면담과 집단면담을 시행했으며, 부분적인 교육현장의 참여관찰을 실시하였고, 연구내용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제 면담이 이루어지기 전에 간단한 형태의 예비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전화로 예비면담 역시 5회 정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다루며 용어의 정의와 함께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뒤이어 Ⅱ장에서는 문화예술평생교육과 그에 대한 연구의 쟁점을 살펴보았으며, 선행연구에서 미술 관련의 이론적 배경에 더욱 집중하여 학교 형식교육의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본 연구의 ‘가르치는 예술가’들과 같은 맥락인 예술 강사와 학교 미술교사와의 미술교육 연계방안 등을 살펴보았고, 국내· 외 다양한 연구사례들을 고찰해 보았다. 이와 함께 국내 문화예술평생교육의 현황(백화점 문화센터, 대학부설 문화센터, 학점은행제, 미술관 문화센터, 언론사부설 문화센터 및 기타 교육기관)과 문화예술인의 실태와 현황을 평생교육과 성인 미술교육의 변천과정을 통해 살펴보며 정리하였다. 또한 그에 따른 문화예술인들의 경제적 실태와 함께 사회적 의의를 도출하여 이후 조사 연구의 타당성의 틀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 및 절차를 기술하였다. Ⅳ장의 연구결과는 위의 다섯 가지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 맥락에서 분석되었다. 첫째, 진입 동기 및 초기의 갈등, 삶의 변화 양상은 세부적으로 ‘예술가로서의 미래에 대한 불안과 새로운 인생의 개척’, ‘경제적 돌파구로서의 선택과 현실이 주는 괴리감’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교육활동으로 얻게 된 새로운 열망과 세계관’으로 집약되었다. 둘째, 예술가와 교육자 사이에서의 갈등으로는 ‘예술가적 기질과 교육가적 자아의 혼돈’과 ‘교육현장실천을 통한 기관, 강사, 학습자와의 갈등’ 등으로 나타났으며 그것을 통해 ‘자신의 미적 기준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현장에서 경험한 교육적 역량의 변화에서는 ‘자아의 변화’와 ‘가르치는 기법에 대한 탐구의 결과’로 나타나 그들 스스로 교육을 주도하면서 교육자로 변화되며 느끼고 터득한 여러 가지 교육기법에 대한 것이 드러나 있었고, 그런 경험세계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문화예술평생교육이 나가야 할 점과 ‘향후 바람직한 미래의 문화예술평생교육자의 자세’를 제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Ⅴ장에서는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해서 다음의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가 우리나라 문화예술평생교육으로 ‘미술분야’ 세부적으로 순수미술(Fine Art) 분야에 종사하는 교수자만을 다루었으나, 그 외에 현재 평생교육현장에서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 디자인교육 등의 상업미술(Commercial Art)분야까지 확장하여 다양한 그룹의 경험세계를 살펴보는 것도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가르치는 예술가’들의 개인적 경험을 해석하고 그 의미를 도출했기 때문에 그들에게서 교육수혜를 받는 학습들의 경험세계 또한 살펴보는 것도 우리나라 문화예술 평생교육의 흐름과 방향을 읽을 수 있고 교수자-학습자간의 관계분석에 유효한 연구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현재 정부의 문화예술정책 및 지원제도의 다각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인의 사회, 경제적 소외현상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그렇기에 향후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문화예술인 현황 분석과 함께 문화예술인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를 심도있게 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우리나라 皮革製品 輸出增大方案에 관한 硏究 : 世界市場分析 및 輸出마케팅戰略 중심으로

        신석주 檀國大學校 198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resent situation for genuine Leather-ware and to review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basic direction to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Leather industry in Korea has maintained steady development since 1970's and has been recognized as strengthen isdustry for export becouse of its labor intensive characteristic. The study analyses the relativ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 leather-ware industry in comparison with major exporting countries of the goods base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and proposes several suggestio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This thesis consists of four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scope of this research core described as on introduction. In the Second chapter, analyses the currert status of leather industry of Korea and of the world, and the damand and supply situation of rawhide leather which is raw material of leather products export and to search for a break through by outlining demand and supply situation In the third chapter, which consists of 4 sections, examines the presen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 in general and leather industry in particular to secure its consistent and steady growth of leather products export. The first Section deals with the concept and the analytical methods of the competitiveness. The Second section compares the present statu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by means of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The third section analyses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labor, commodity prices, and export unit price. The fourth section studies the non-price Competitiveness of factors, such as purchasing motive, Product design and export marketing. In the fourth chapter, Proposes, several suggestions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induestry. The leather industry is very labor intensive, and therefore, many developing countries give financial support and protection in order to curb unemployment rate. However, our leather industry is losing it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oth in terms of price and non-price aspects. In searching for a measure to enlanc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 have analysed various aspects of competitiveness. and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 염소가스의 소규모 누출에 대한 분산특성 및 독성영향 분석

        신석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거운 독성가스의 소규모 연속누출에 대한 분산정도와 독성영향을 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염소가스의 소규모 누출실험을 바탕으로 분산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염소가스 분산에 미치는 매개변수의 영향과 염소가스의 독성영향을 해석하였다. 지표면에서 염소가스의 소규모 연속누출 실험결과와 분산모델로 가우시안 모델과 BM 모델에 의해 산출된 염소농도를 비교하여 분산모델의 적용성을 판단한 결과, Briggs의 상관식에 의한 분산계수와 유효누출높이를 사용한 가우시안 모델의 적용성이 BM 모델 보다 우수하였다. 가우시안 모델을 사용하여 염소분산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매개변수, 즉 대기안정도, 바람속도, 그리고 누출속도의 변화에 대한 관심거리별 농도를 산출하고 해석한 결과, 염소가스 분산은 누출속도 보다 대기안정도와 바람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염소농도는 관심거리의 증가에 따라 염소농도가 급격히 증가 후 감소하는 분포함수 형태를 나타내었다. 이때 염소가스는 대기가 안정할수록 분산이 적어서 가장 안정한 D등급에서는 가장 분산이 좋은 A등급 보다 최대 약 8배의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염소농도는 누출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동일한 대기안정도에서는 바람속도가 증가할수록 난류증가로 감소하였다. 위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독성영향모델을 사용하여 산출한 독성영향은 염소분산에 미치는 매개변수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사망이 일어나는 정도는 누출속도가 클수록, 거리가 짧을수록, 그리고 대기가 안정할수록 증가하였고, 동일한 대기안정도에서는 바람속도가 빠를수록 감소하였다. 이때, IDLH와 ERPG-1,2,3의 독성기준에 의한 피해거리를 산출한 결과, 최대 약 78 m 이내는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여야 할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무거운 독성가스가 소규모로 누출되는 경우에 누출조건과 대기조건으로부터 독성영향과 피해범위를 산출하여 비상조치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To propose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toxic effect of the dense toxic gas, the small scale continuous release of chlorine gas was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dispersion models was analyzed with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mall scale release of chlorine, and the effect of parameters on dispersion of chlorine gas and toxic effect of chlorine gas were investigated. For the small scale continuous release of chlorine gas at the ground level, we found that Gaussian dispersion model using the Briggs' formula as a dispersion coefficient and the effective release height was better predicting experiments than the BM model. From chlorine concentrations calculated for varying distances by Gaussian model for various parameters, such as atmospheric stability, wind speed, and discharge rat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dispersion of chlorine was more affected by atmospheric stability and wind speed than by discharge rate. The chlorine concentration profile showed an exponential decreasing function and it was about 8 times at a neutral stability class D compared with an unstable stability class A. For the same stability class, the chlorin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discharge rate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wind speed because of increasing of turbulenc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 toxic effect of chlorine gas calculated by the toxic effect model was similar to the effect of parameters on chlorine dispersion; the fatal probabil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discharge rate, and decreasing distance and increased with atmospheric stability, but i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wind speed at the same condition of the atmospheric stability. In this condition, the damaged distance was calculated with [DLH and ERPG-1,2,3 as a toxic criterion, respectively. As a result, we could suggest a method for establishing emergency plan from the estimation of the toxic effect and the damaged distance by dispersion model at various discharge and atmospheric conditions for the small scale continuous release of a dense gas.

      • 수익률에 대한 회계이익 인식지연에 관한 연구

        신석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Warfield and Wild(1992)의 연구를 토대로 수익률에 대한 이익설명력의 중요한 결정요소인 회계이익 인식지연(recognition lag)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국시장에서는 상당한 인식지연현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시장에서도 과연 이런 결과가 나오는지를 실증분석해 보았다. 회계인식은 "특정 항목을 기업실체의 재무제표에 공식적으로 기록하는 과정"이다. 특정 거래나 경제적 사건을 재무제표에 인식하는 것은 인식과 측정기준(신뢰성, 객관성, 검증가능성, 수익실현과 비용대응의 원칙, 보수주의)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의 적용은 거래나 경제적 사건의 실현이나 측정에 있어 불확실성이 존재하게 되면 인식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럴 때 회계이익은 인식지연을 나타낸다 인식지연은 부분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의 적용에 기인한다. 인식지연을 나타내는 다음의 예는 우발상황에 대한 회계처리, 단기시장성 유가증권과 재고자산, 장기부채에 대한 회계처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회계이익과 수익률의 관계에서 회계인식은 확실히 영향을 미친다. 보고기간이 더 길수록 회계이익은 인식지연에 영향을 덜 받는다. 기업의 lifetime 이익이 모든 가치관련 경제적 사건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회계인식이 어떠한 역할도 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서, 보고기간이 짧을수록 이익과 수익률의 관계에서 회계인식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3가지 가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이익에 인식된 가치관련 사건의 비율이 보고기간의 길이에 따라 감소된다면 수익률에 대한 이익의 설명력은 보고기간이 짧을수록 낮아질 것이다. 둘째, 보고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미래이익에 인식되는 당기의 가치관련 사건의 비율은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미래이익이 당기수익률에 대한 중대한 설명력을 가지게 된다. 셋째, 기업간 회계인식 기준의 차별적인 적용으로 인해 이익설명력은 기업마다 상이할 것이라 기대된다. 이러한 가설하에 실증분석으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가설1의 실증분석 결과 이익이 수익률을 유의하게 설명하지만, 설명력(수정 R^(2))은 보고기간의 길이와 양의 상관관계로 관련되어 있었다. 이익인식지연의 정도와 관련한 가설 2에서는 경제적 사건을 회계이익이 어느 정도로 시장의 인식에 비해 지연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지연의 정도는 당기수익률에 대한 미래회계이익의 설명력으로 반영된다. 이익은 수익률을 설명할 때 가치관련 정보와 가치무관련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가치무관련 정보는 과거 수익률에 이미 포함된 정보를 구성한다. 이러한 두 요소의 상대적 중요성은 보고기간의 길이와 회계인식관행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가설2의 실증분석 결과 이익인식 지연이 있었고 미래이익은 당기수익률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당기수익률에 대한 미래이익의 설명력은 보고기간의 길이와 역의 관계에 있었다. 회계인식개념은 lifetime 이익의 측정시에는 이익, 현금흐름 그리고 수익률은 동일하기 때문에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현행회계제도에서는 분기 및 반기이익보고를 요구하며 이의 측정시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익인식의 근본문제가 야기된다. 회계이론에 따라 수익은 가득되고 실현가능한 경우에 인식되며 비용은 수익비용대응의 원칙을 적용하여 인식된다. 결국 이익인식은 다양하고 상충되는 회계원칙의 실무적 적용에 달려 있다. 이러한 개념을 이익인식에 적용하는 것은 기업의 영업환경에 달려 있다. 예를 들면, 소매업 회사는 장기건설회사에 비해 이익측정시 회계인식기준이 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 이유는 영업주기와 대손위험상의 차이, 자료의 신뢰성과 객관적이고 검증가능한 자료의 이용가능성 때문이다. 결국, 이익인식의 결정요소는 회사가 처해있는 산업환경의 함수라 할 수 있다. 산업환경에 따른 회계인식기준의 적용상의 차이는 산업별 회계이익인식의 지연에 관한 연구의 동기부여를 제공하였고 이익인식기준이 상이하게 적용되는 산업을 아래와 같이 분류하였다. 1) 광산업, 건축업, 제조업 2) 금융업, 보험업, 부동산, 공익사업, 운송업 3) 도소매업, 서비스업 위의 산업군별로 이익인식 지연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가설 3의 검증 결과 이익측정이 회계인식기준에 덜 민감한 기업의 이익은 높은 설명력을 가졌다. 그리고 현행수익률에 대한 미래이익의 설명력은 이익측정이 회계인식기준에 민감한 기업이 더 높았다. 요약하면, 상당한 이익인식지연이 존재한다는 것과 이러한 지연의 정도는 기업간 차이가 난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지연의 차이는 기업마다 회계인식기준을 상이하게 적용하기 때문이며 이것은 수익률에 대한 이익설명력에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 본문에서 수익률에 대한 설명변수로서 이익에 회계인식기준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시장은 경제적 사건이 발생할 때 인식하지만, 이익인식은 목적적합성과 신뢰성이라는 상충되는 질적 속성을 포함하고 있다. 회계인식기준의 적용으로 신뢰성은 제고되지만, 목적적합성은 크게 손상된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고기간이 짧을수록 이익 측정치는 인식기준에 더 민감하여 상당한 인식지연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익의 설명력은 작아진다. 이익 설명력의 결정요소로 회계인식기준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둘째, 이익 인식 지연은 여러 기간 동안 지속되었으며, 이것은 미래이익이 당기수익률과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을 것이라는 증거를 제시하였고 상당한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셋째, 이익 인식지연은 회계인식기준의 적용에 있어 횡단면적 차이(기업간)의 함수이고 회계인식기준에 덜 민감한 기업의 이익측정치는 민감한 기업에 비해 더 큰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익인식기준에 덜 민감한 기업의 경우, 미래이익의 설명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회계이익에는 상당한 인식지연이 존재하며 이를 개선할 경우 수익률에 대한 이익설명력의 잠재적 개선이 가능하리라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accounting recognition as a major determinant of earnings' explanatory power for returns. Our hypotheses are threefold. First, if accounting recognition lags that of the market, then its effects is predictably greater in shorter reporting periods. The shorter the reporting period, the lower the percentage of economic events recognized in both earnings and returns. For example, if all economic events that are immediately recognized in returns are recognized in earnings one quarter hence, then the current quarterly earnings' explanatory power would be zero, whereas annual earnings would reflect the recognition of three-fourths of all the economic events recognized in returns. Second, if the criteria of accounting recognition yield a multi-period lag in earnings recognition of economic phenomena, the future periods' earnings possess explanatory power for current returns. A corollary hypothesis predicts that the incremental explanatory power of future periods' earnings varies inversely with the length of the reporting period. Third, if the influence of accounting recognition criteria for earnings measurement differs by companies' economic circumstances, then cross-sectional differences in these circumstances are predictably linked with earnings' explanatory power for returns. Economic circumstances that affect earnings recognition include companies' operation cycles, riskiness of cash flows, and the reliability, objectivity, availability, and verifiability of accounting and market data. We document evidence consistent with a substantial lag in earnings recognition. Findings reveal an inverse relation between earnings' explanatory power for returns and the length of the reporting period, which is consistent with a lag in earnings recognition that deteriorates in longer reporting periods. Specially, the explanatory power of earnings for returns in quarterly periods is about one-fourth that for semiannual periods, less than one-tenth for annual periods, and less than one-thirtieth that for two-year periods. Moreov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adjusted R^(2)) when using quarterly earnings is less than 1 percent, but exceeds 39 percent when using four-year earnings and returns. We attribute this phenomenon to accounting criteria that recognize economic events with a lag and to the disaggregation of earnings(through time), which accentuates this lag. Easton et al(1992) offer some evidence consistent with the first hypothesis, but their evidence is limited to reporting periods of one to ten years in length. This is the first evidence we are aware of for reporting periods of less than one year. We also present evidence that earnings lag current returns for several future periods. In certain instance, the recognition lag is of such magnitude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future periods' earnings for current returns more than triples that of current earnings. Finally we show that, when earnings measurements are less sensitive to accounting recognition criteria, earnings have greater explanatory power for returns. Our result is consistent with a joint relation between (1) the application of accounting principles in practice and (2) the explanatory power of earnings for returns. Evidence of systematic cross-sectional differences in accounting recognition suggests that deliberations on accounting policy must consider characteristics of the reporting and operation evironments; for example, the desire for verification, reliability, or conservatism might explain the accounting practices observed. The evidence reported emphasizes the significant role that accounting recognition plays in determining earnings' explanatory power for returns. The evidence also relates the lag in accounting recognition of economic determinants of earnings recognition. This evidence of a link between earnings' explanatory power and basic concepts of accounting recognition and measurement should encourage further efforts at mapping the complex accounting structure that determines the usefulness of earnings. In light of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s recent emphasis on market-based measures of performance, which is referred to as "possibly the most significant initiative in accounting principles development in over 50 years' provement in earnings' explanatory power. Evidence on reporting lag inherent in the application of accounting recognition criteria, and its cross-sectional determinants, is relevant for these policy deliberations.

      • 교육실습생의 실습 효과 차이 분석 : 교생지도교사의 반성적 교육 실습 프로그램 연수 실시 여부에 따라

        신석주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로이 시작된 21세기는 그 어느 때보다도 정보화, 세계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21세기를 살아갈 유능한 시민 육성을 위한 교육개혁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생존을 위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교육실습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정점으로, 교육개혁을 위한 노력에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의 기초가 될 이론적 틀과 일련의 목적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장학이론을 근거로 하여 도덕적 기능인인 반성적 교사를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의 연구프로젝트인 '교사와 교사교육자 간의 협력적 연구를 통한 교실 개혁'에서 개발된 반성적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교생지도교사에게 사전에 연수를 실시하고, 교생지도교사의 연수가 교육실습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교육대학교 4학년 수업실습생 526명을 대상으로,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의 반성적 교사를 육성하기 위한 반성적 교생실습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설문지의 일부를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설문지를 배부, 회수하여 그 결과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추진하기 위한 매산초등학교의 교생지도교사에 대한 연수를 2000년 3월 2일부터 6월 14일 까지 매주 2∼3시간씩 총 48시간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추진하기 위하여 사용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ronbach α =.9307로서, 설문지의 측정개념이 정확하고 일관되게 측정하였으며, 교육실습생은 설문 내용에 일관되게 응답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回信된 資料를 分析하기 위하여 설문 應答을 SPSS/WIN을 使用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해 실습생들이 자기의 생각과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반응한 것을 그대로 점수로 부여하였고 내용별, 영역별로 평균치(M),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t 점수를 구한 후 p <.05, p <.01, p <.001 의 세 수준에서 유의도를 밝히고 검증하였다. 교생지도교사에 대한 반성적 교육실습 프로그램 연수를 실시한 결과, 수업참관에 대한 협의회의 인식의 차이가 p <.001로 유의미하였다. 수업 참관전 교육실습생의 관심사와 문제를 파악하고(p <.05), 다양한 질적ㆍ양적ㆍ관찰 도구를 이용하며(p <.01), 수업 참관 후 토의하며, 토의의 내용이 수업 내용의 교육목표에 대한 적절성과 수업행동과 관련된 잠재적 교육과정의 분석에 타 교생지도학교에 비해 상당히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p <.001). 교육과정 재구성, 학습자료 이용 등 수업에 관한 측면에서 인식의 차이가 p <.01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매산초등학교에서는 타 교생지도학교에 비해 교육실습생의 수업에 대해 보다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다. 교생지도학교의 일반적인 탐구 분위기는 p <.05로 유의미하였다. 탐구적인 활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하였으며, 현장 연구물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간단한 현장연구는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교생 지도학교의 일반적인 분위기에 대한 인식은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실습록에 대한 실습생들의 인식과 세미나, 학교ㆍ학급의 경영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교생지도교사가 학교ㆍ학급의 경영, 학생중심의 수업을 하도록 지원한 면에서는 교육실습생의 인식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바람직한 교육실습을 위하여는 교생지도교사에 대한 반성적 장학 및 수업모형 등에 관한 사전연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교생지도교사에 대한 장기적인 연수 실시 방안, 교육실습생의 교생지도학교와 초임학교에서의 인식비교, 실습록의 개선 방안, 실습기간의 연장을 향후의 연구과제로 삼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duactional practi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e reflective educational pratice program (REPP) on the teachers who take the responsibility of guiding student practice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subject is suggested: student practice teachers' different understanding of teachers who received REPP and those who did not. The questionnare of this study was given to a total of 526 student practice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made by revising and complementing the questionnaire which had been used by the Institution for Elementary Education affiliated to Incheon Educational College, which had held the reflective educational practice program. In order to fulfill this study training of teachers who took the responsibility of guiding student practice teachers was performed from March 2nd to June 14th, 2000, for a total of 48 hours (two or three hours per week). The Cronbach's α, that is, the credibility of research method was .9307. This denotes that the questionnaire has high adaptability and coherency. The answ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WIN. Each question has five choices as the answer. And the answers were converted into marks, from which M, SD, and 't marks' were calculated with respect to contents and field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each answer was illuminated in view of the three levels of p<.05, p<.01, and p<.001.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student practice teachers'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onference before the attendance of the model class was p<.01. This means the necessity of providing concrete programs to practice teachers to induce their interest. Second, the use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spection instrument was p<.001. This means that practice teachers systematically analyzed the class. Third, after the attendance of the model class, practice teachers showed higher interest in the aim of the class and in the procedure of teaching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that is, who did not have any guide from trained teachers. Fourth,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readjustment of educational procedure and teaching materials was p<.01. This refers to the fact that practice teachers received more help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Fifth, ordinary research activities, the critical discussion about research subjects, and simple on-the-spot researches in the school where teachers guide practice teachers showed significance on the level of p<.05.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eachers should have training in the reflective educational practice program to guide efficiently student practice teachers. The present writer thinks that long-term training for teacher's who take the responsibility of guiding practice teachers should be made, and that further researches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and the lengthening of practice period should be made.

      • 서양 현대회화에 나타난 동양정신의 미학적 고찰

        신석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세계화의 논의를 필두로 작금의 시대를 동·서 문화가 공존하고 화합하는 문명 담론의 새로운 시대라고 일컫는다. 그것은 케이팝(K_pop)과 같은 대중문화를 필두로 각자 다른 영역이었던 동·서양의 문화가 서로 혼합되어 새로운 문화 창출에 대한 열광이 지구촌 여기저기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제는 서서히 순수미술(Fine Art)분야에서도 이런 동·서의 공존을 이루는 화합의 장(場)이 크게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의 예술은 근대에 이르기까지 서양의 사상에 의해 규정되어지고 평가되어왔으나 20세기 초에 와서 논리와 이성 중심의 서구적 합리주의에 회의를 느끼게 되면서 그 대안으로 서양에서도 동양사상이 부상되기 시작했다. 서양의 미(美)는 색깔과 조형미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현실세계의 사실적인 예술미를 재현해내었다고 한다면, 동양의 미(美)는 자연의 사상을 통해 작가의 이상향이나 ‘정신세계’를 표현해낸 예술이었다. 서양회화는 르네상스 때 인간의 미(美)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는데 인체 해부학이나 원근법이 시도되어 묘사적이며 사실적인 표현이 인간의 조형미, 즉 신체의 아름다움에 대한 표현으로 발달해 왔었다. 그리고 후에 서양에서 추상회화가 나타난 것은 물질문명에 대한 하나의 반기(反旗)로서 인간내면에 대한 중요성이 나타난 것으로 그 발생시기가 19C 말엽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동양의 추상정신은 노자·장자의 도가(道家)정신 등의 사상으로부터 기인되어 오래 전서부터 행하여져왔다. 여기에서 주목해 봐야하는 것은, 서양 현대회화가 이제는 서서히 동양회화가 지니고 있는 비구상적 추상회화의 요소를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이다. 서양은 오랜 산업사회의 지속으로 피폐해진 역사적 과정에서 탈피하는 새로운 삶의 양식이 요구되면서 정신, 문화, 예술이 사회에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되어 동양의 여유로운 정신세계와 추상예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양 현대회화에서 나타난 동양정신을 미학적으로 고찰하고자 서양 현대회화에서 나타나는 동양예술정신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범위는 동양의 정신과 가장 밀접한 관계성을 지니고 있는 구상(具象)이 아닌 추상성을 지닌 ‘서양 현대회화’를 중점으로 하며 그 작품 속에 나타나있는 동양예술정신과의 연관성을 추출해내어 연구하기로 한다. 본 연구는 외국작가의 일부를 한정적으로 연구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서양 현대회화가 모두 동양정신과 관계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서양 현대회화에는 동양정신이 깃들어 있다.’ 라는 명제 역시 성립될 수 없다는 전제에서 탐구되었다. 단지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일부 작가의 작품과 생활에서 나타나는 동양예술정신에 대한 발현과 당위성, 그리고 작품의 의미를 살펴보는 하나의 단면적인 과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동·서 문화가 서로 공존하면서 회합하는 지금 이 시대 시류(時流)의 중점에서 서양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동양예술정신을 탐구하는 것은 한국 회화에 팽배해 있는 맹목적인 서양편향주의를 극복하고, 우리의 것을 놓쳐버린 채 팝아트(Pop Art)나 하이퍼리얼리즘(Hyperrealism) 등의 서양 현대미술만 추종하는 작금의 우리나라 화단에 대한 작은 경종으로써 연구의 흔적이 남기를 바란다고 할 수 있다. The current era, led by the discussion of globalization, is called a new era of the discussion of civilizations, where East and West cultures coexist and fuse. It is because of the mixed culture of East and West, with pop culture such as K-pop, and the enthusiasm for creating new culture is emerging all over the globe. The arts of the past have been defined and evaluated by Western thought until modern times, but as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egan to feel skeptical about Western ideas centered on logic and reason, the alternative was to Western art. If the Western beauty was said to have recreated the actual artistic beauty of the real world by placing importance on color and beauty, the Oriental beauty through natural thinking was the ideal of the writer. Western painting became interested in human beauty during the Renaissance, when human anatomy or perspective were attempted, and the graphic and realistic expressions were developed into expressions of human beauty, beauty, beauty of the body. Later, abstract paintings appeared in the West as a wave of importance to the human inner being, originating at the end of 19C. However, the abstract spirit of the East has long been in practice, thanks to the ideas of Lao-tzu and Zhuangzi's spirit. What should be noted here is that modern Western painting is slowly embracing the elements of non-fathomable abstract painting of Eastern painting. As the West needed a new way of life to escape from its long industrial society, the spirit, culture, and art were highlighted as an important part of society and the art of the Eas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Oriental spirit of contemporary Western painting in order to aesthetically examine the Oriental spirit expressed in modern Western painting. The scope of the study is not a concept most closely related to the spirit of the East, but an art which is drawn from the work focusing on abstract art. As this study only focuses on a limited number of foreign writers, it is not inevitable that all Western modern paintings have a connection with Eastern spirit. Thus, the thesis ' Eastern spirit is embedded in Western modern painting ' was explored on the premise that it can not also be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ression, justification, and meaning of Oriental artistic spirit in the works and lives of some author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focus of the contemporary stream of contemporary Western art is to explore the spirit of Oriental art that is prevalent in Korean painting, in this era of contemporary art, where East and West cultures are only coexisting with each other. It can be said that he hopes to leave traces of hi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