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Asian Philosophy of Religion : Koreanization of Christian Belief

        신상형(Shin Sang-Hyong)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3 No.1

        본 논문은 아시아의 맥락에서 종교철학의 한 전형을 찾아보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주지하듯이 한 종교의 다른 사회 유입-선교라고 부르는 것-은 긍정적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사회에 갈등을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승화된 소화력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기독교의 토착화 노력에서 선구자 구실을 한 유영모를 그 모델로 삼고 그의 사상을 탐색하였다. 그는 경전의 깊은 독해와 숙고를 통해 기독교 수용의 지평을 한 단계 높였다. 그에 따르면, 그리스도는 예수와 같기도 하지만 다르기도 하다. 그것은자아가 <몸 나>와 <얼 나>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자는 구체적이고도 자연적이지만 후자는 보편적이면서 초월적인 존재이다. 따라서 예수는 그리스도가 될 수 있으나 그리스도가 곧 예수는 아닌 것이다. 우리는 의식 지경을 넓히고 바르게 살기 위해서는 <얼 나>를 발견하고 보존하기 위해 애를 쓰야 하며, 하루를 영원으로 생각하고 살아야 한다. 하루 하루를 죽음과 삶을 새롭게 이해해가는 최후로 살아가야 한다는 유영모의 주장은 삶이 곧 신앙일 수 밖에 없음을 인정 하게 한다. 이런 심원한 이론은 세계 수준의 종교철학 이론으로서 손색이 없는 아시아적 사고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tries to show a typical model of Asiatic philosophy of religion. As well known, implantation of a religion called religious mission might bring some conflict into a society, while there is some productive role on the other hand. To bring fruit, well-digestion is needed. In this paper You YoungMo is filtered as a pioneer of localization of Christian belief. He read and understood the scriptures by way of his own concepts such as OL and MOM selves, reaching deeper interpretation of them than western biblical scholars. He divided between Christ and Jesus, even though western Christian scholars identify both. According to him, Christ is universal and eternal and a priori, while Jesus is concrete and historical and limited. By way of OL and MOM, this problem is easily resolved. Therefore, we can agree with the fact that he gave a good basis on which people can understand Christian belief, in particular pure one, in a new and deeper way.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전기사상

        신상형(Shin, Sang-hyong)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19 No.-

        본 논문은 비트겐슈타인의 전기사상인 『논리철학논고』에서 보이는 윤리학 및 미학 사상을 읽으내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기존의 여러 입장들은 이런 시도를 거의 하지 않고 있으며, 특히 한국철학계에서는 이런 입장을 소홀히 해왔다. 말하자면, 『논리철학논고』의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하라.’는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액면적으로 묵종하고 있는 셈이다.그라나 『논리철학논고』에 대해 취해왔던 종래의 축자적 분석의 입장을 따르는 대신, 전체적인 구도를 조망하여 비트겐슈타인의 그림과 언어 혹은 음악이나 예술에 대한 언급과 태도에 대한 유기적 이해를 시도한다면, 그것에 대한 또 다른 의미를 캐낼 수 있다. 직접적인 표현이 전달하는 것은 그것의 기호가 가리키는 대응적 대상도 있지만, 그런 대응이 만들어내는 의미는 반드시 ‘대응한다.’는 사실과 대응하는 ‘사태’를 포함하고 있다.이 ‘사태들’은 일시적이거나 충동적인 일회적 감성을 표현하는 한편, 그것이 정형화하고 규칙화할 때 윤리나 미적 세련을 이룬다. 이런 세련의 구조화는 윤리와 미적 가치를 객관화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충동과 구조화의 구별이 필요한데, 만약 이것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윤리와 미의 진술도 어느 정도 체계적으로 정당성을 주장하는 권리를 갖추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잔 랭거의 ‘기호’와 ‘상징’의 구별을 통한 시도를 그 대안으로 도입하였다. 그는 음악이나 미술의 연행(기호)이 훈련을 통해 충동을 넘어 규칙성을 갖는 법칙적 동작(상징)으로 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이런 시도를 통해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논고』가 윤리학과 미학에 대한 적극적 언급을 하는 것으로 해석해 보았다. 그러나 풍성한 예제를 제시하지 못한 아쉬움은 과제로 남는다. The essay seeks to show what Wittgenstein says about ethics and aesthetics in his early work,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Concerning this, few talks have been made in its specialists, and even ignored by Korean scholars. For all of them are following literally what Wittgenstein suggests in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7.According to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talking about ethics and aesthetics is, classically understood, meaningless; for it is about what cannot be said. however, when approache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it can still be what cannot be said, but what can be given some meanings.The strategy that is offered to accomplish our purpose, includes two steps: first, we look through the whole text, instead of analyzing the given words or sentences just as has been hitherto done, and accept an alternative which has been provided by Susanne Langer who offered the division of ‘sign’ and ‘symbol’. This strategy would be a good alternative and productive vehicle unless otherwise suggested.

      • KCI등재

        우주론적 신존재 증명의 현대적 의미

        신상형(Shin Sang-Hyong) 대한철학회 2003 哲學硏究 Vol.88 No.-

        세계는 파편적 존재들로 구성되는가, 아니면 유기체인가? 전체는 부분의 합인가, 아니면 부분의 합과 그 외의 무엇으로 된 것인가? 이 물음은 우주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부단한, 그러나 아직도 미결된 주제로 남아 있다. 실제로 철학적 질문을 약간이라도 복잡하게 제기하는 모든 동서고금의 철학자들에게서 이 우주적 질문을 발견할 수 있지만, 아주 핵심적이고도 체계적인 형태로 드러낸 사람은 토마스 아퀴나스였다.그는 우주가 경험 가능한 존재뿐만 아니라 그것을 얽어매는 법칙으로 종합되어 있다고 보고, 그것을 알 수 있는 '다섯 가지 길'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그 법칙으로 인하여 세계의 운행자로서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 그의 이런 주장은 세계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변화와 운동의 존재를 통해 시도된다. 눈앞에 벌어지고 있는 삼라만상의 바뀜이 관찰된다면, 그것의가능성으로서의 법칙이 존재할 것이고, 결국 그 법칙의 존재 기반으로서 하나님은 존재해야 할 것이다.아퀴나스의 우주적 법칙은 필연성과 인과성으로 그 특징을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필연성과 인과성은 논리적인 측면에서라면 몰라도 존재론적 측면에서는 매우 취약한 것이 여러 비판자들에 의해 밝혀졌다. 여기서는 그 한 예로서 현대철학자인 플란팅가의 분석을 살펴보았다. 그는 아퀴나스의 진술을 10개의논증으로 도식화한다. 그리고 이내 이 논증의 핵심이 운동과 변화의 설명 속에 드러나는 필연성의 문법 문제라고 분석하면서 아퀴나스가 양태의 표현에 무디었음을 지적하는 한편, 존재 명제는 필연적일 수 없다는 현대철학자들의 맹목적인 비판에도 재고를 요청한다.플란팅가는 기취나 브라운 등이 시도한 <필연성> 개념의 의미를 받아들임으로써 우주론적 의미의 새로운 적극적 해석의 발판을 마련한다. 이를테면, 자체 내에서 필연적이 아니라, 다른 것에 의해 인과된 필연적 존재라는 정의를 사용함으로써 우주나 신에 대한 존재론적 필연성을 확보될 수 있다고 플란팅가는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The first philosopher who provided a well-formed cosmological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God, Thomas Aquinas wrote The Five Ways in which Aquinas claims that every thing and event consists of changes and motions. According to him, those changes and motions are finally touched to the unmoved mover, God. In other words, whether they are connected to things or laws, they are naturally attached to the fundamental being. Therefore if it is possible for us to look various aspects of things/events before our eyes, he claims, we are compelled to concede that God exists. However, this claim has been attacked by many modem philosophers who stand against cosmological argument. They argue against the claim that God is a necessary being, holding that existential statements do not go with statements with necessity. They believe that existence is contingent while logic is necessary. What they say is, as Kant says, that there is no existential beings necessary. This story does not end if we look at Plantinga who tries to show another way to interpret Thomas Aquinas. Accepting P. Geach and P. Brown, Plantinga analyzes What Aquinas means and points out that the latter fails to distinguish between modal terms: possible, real and necessary. Even among necessary beings, they are divided into two: a necessary being a se and a necessary thing ab aliter. With the latter, Plantinga believes to succeed in presenting the fact that the proposition 'God exists' is necessarily true and that God exists.

      • KCI등재
      • KCI등재

        Another Ways to Philosophize?

        신상형 ( Sang Hyong Shin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2 No.-

        철학은 세계 지성의 역사에서 주도적 기능을 담당해 왔다. 그리하여 철학자들은 시초로부터 지적 격전장에서 지도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그런 기능과 역할의 수행은 원활하지 않는데, 이는 외적 한계보다는 자체 내의 한계에서 기인된다. 즉, 철학의 활동영역이 전통적인 방법인 기록 문서인 책을 통한 방법에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의 전개와 소통방법이 다원화한 현대 사회에서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학은 기존의 텍스트 중심의 소통방식만을 고집하기 보다는 다원화한 방법을 찾아 나서야 본래의 기능과 역할의 수월성을 회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것의 시론적 성격으로 대안을 제시해 보려는 생산적 연구이다. 철학적 논변은 반드시 논리, 그것도 ``언어를 통한 논리적 변증을 표현한다``라는 기본 전제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철학이 고전적 텍스트, 즉 책에 적힌 글만을 취급한다는 전통적 방식을 거부한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책과는 다른 매체들의 내용을 어떻게 같은 의미로 읽을 낼 수 있을까? 여기서는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말놀이``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다양한 방법론의 정당성을 확보하려고 한다. 놀이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로 통일된 기준을 갖고 있지는 않고, 다양한 맥락을 제 나름대로 읽어내는 특징을 <놀이> 이론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철학적 논변이 표현되거나 표현하는 것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이뤄진다. 여기서는 인터넷, 영화, 음악 및 미술이라는 4가지를 예시하면서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우리 삶의 필수 요소로 자리잡은 기기는 인터넷이다. 그것은 최근 불과 20년 사이에 컴퓨터의 발달을 통해 급속도로 퍼진 의사소통 수단이다. 이것은 동시성과 개방성 그리고 상호성을 바탕으로 급속히 전 세계의 모든 유통체계를 정복해버렸다. 단순한 의사소통 체계를 넘어 이제는 모든 사물의 작동원리를 지배한 구동조직으로 철학적 의미와 전달의 메커니즘을 헤아려 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영화, 음악, 미술은 오랜 세월 속에서 우리의 삶의 정보를 실어 나르는 기제이다. 이것들을 살핌으로써 철학은 보다 다양한 얼굴로 수행되어진다는 것을 여기에서 실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Philosophy has ever been approached by many professional intellectuals in the long history of the world. It has also played a leading part in the arena of intelligent competitions since it began. In contemporary societies, however, such a role seems to be lesser played; not because of its limit without, but because of its own within. Philosophy has been keeping its own tradition by showing the same approach to the problems: mainly through books which are written. Nowadays, many different cultures and styles of life coexist so that we need to have the proper, various points of view to understand them as indeed. According to Wittgenstein, there are so many language-games in the world, just as many tools in a toolbox. Each tool has its own role and function; every game has its own rule for players to follow, and this rule does not apply to that one so that what this rule means is not the same as that one does. He says that there is anything in common between this and that, except saying that it must be something different between the two. This methodology is accepted in this essay to explain further task. This is the later Wittgensteinean point of view. Philosophy has been in this essay developed from many different fields; and the writer seeks to show that in different ways philosophy has been put forward, and understood: books, discussions, dramas, movies, advertisements, novels, musics, paintings, and anything else where it has been differently given. The writer challenges here to explain and interpret philosophical meanings from such various points of view, according to its own contexts, very much articulately. By doing so, he believes that he would pinpoint its proper essence as necessary.

      • KCI등재

        대학의 문법과 규칙

        신상형(Shin, Sang-hyong)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4 No.-

        본 논문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말놀이의 기제를 통해 대학사회의 기능을 조병해 보고, 이것을 한국대학의 대학다움을 회복하는 지렛대로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런 시도의 근거는 일상 언어적 맥락에서는 대학사회를 놀이처럼 살아있는 기제라고 보기 때문이다. 후기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모든 사태는 말놀이의 사건들이라고 본다. 놀이는 여러 가지로, 그 모습이나 구조 폭은 목적은 서로 각기 다르다. 그러나 각각은 모두가 완전한 문법으로 작동되는 기제를 갖고 있다 기제의 완전성은 현실적 통용/사용을 통해 증명된다. 필자는 그 놀이 중에서 본인에게 익숙한 장기를 통해 놀이의 특정을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장기는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성행되는‘살아있는 놀이’이다. 그것의 살아 있음의 특징은 첫째, 수를 깊이 생각할 수 있게 하고, 둘째, 대국자의 주의를 집중할 수 있게 하며, 셋째, 판을 읽는 선견과 지혜를 필요로 하고, 넷째, 행마의 찬스를 포착하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우며, 다섯째, 대국자(관찰자)가 재미있어야 한다는 등이다. 이런 것을 가능하도록 장기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다르게 발달되기까지 했다. 한편, 서양의 대학사회의 기제는 내용을 제외하면 장기의 그것과 마찬 가지다. 첫째, 독립성과 자율성이다. 둘째, 대학은 진리에 대한 탐구의 무한한 추구를 보장했다. 셋째, 교수와 학생의 권위가 철저히 인정되고 보장 되었다. 넷째, 그러면서도 대학은 시대와 현실의 맥락을 수용했다. 다섯째,그 결과 서구 대학은 부단히 사회의 지도력을 재생하고, 정열적인 두뇌들의 유입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런 비교를 통해 한국대학사회의 운용의 문법과 법칙을 필자는 제시한다. 첫째, 자유로운 학문연구와 진리탐구를 위한 대학의 독립과 자율의 유지와 신장. 둘째, 물량적 실적주의의 왜곡된 시각의 철폐 및 다양한 가치관의 공존과 확산. 셋째, 대학들마다의 고유한 역할과 목표 설정을 통한 발전의 모색.결국 필자는 여기에서 총체적으로 한국의 왜곡된 대학의 문법과 규칙의 개선을 기대하는 긍정적 시각을 피력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The essay seeks to interpret what kind of roles the university has to play by way of the mechanism the eastern chess-games do, particularly in Korea, China and Japan. According to later Wittgenstein, all kinds of states of affairs are to be regarded as 'Language-Games.' And all of them have their own grammars and rules which are at work to be able to make people communicate one another by way of their usage. Ordinary language confirms this kind of mechanism; for it is at work everyday, but otherwise it will go holidays!Chess-game in eastern countries have been long time played, for it has reasons as follows: making players think deeply, letting them focus on moves, asking for reading correctly and insights, having them not know the results, making them enjoy the game itself. This mechanism applies to the western university system which has been long time used with a little alteration. To be able to do that, it has several characteristics: its independence and self-control, unlimited confirmation for the free research for truth, guarantee of authority of professors' and students', continuous allowance and reproduction of changeable realities and leadership. Applied to Korean academic society, the 'Language-Game' mechanism asks for the grammar and rules: the university's independence and self-control for academic researches and truth-seeking, various and dynamic points of view to overcome the recent distorted perspectives of materialism, building up of the proper and adjusted own targets and purposes of each university's. The writer seems to approach to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Korean universities by way of positive perspectives which, however, might not be perfect at the moment.

      • KCI등재

        토론식 수업을 통한 윤리학의 이해

        신상형 ( Sang Hyong Shin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9 No.-

        이 글은 토론을 통한 철학 수업을 모델화하려는 시도로 쓰인 글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필자의 교수활동의 결산하는 글이기도 하다. 따라서 내용의 논리개발과 전개에 무게를 두는 전문적 철학논문이라기보다는 교육현장의 활동에 초점을 둔 강의 방식의 기록 형식을 취하고 있다. 많은 토론의 선행연구에도 불구하고 이글을 쓰는 취지는 토론수업, 그중에서도 철학토론의 현장성을 실질적으로 구현해보았으면 하는 바램에 있다. 우선, 필자는 토론 수업을 방해하는 오해들을 다룬다. 선지식, 토론영역의 고유성, 학생이나 교수의 토론 역량에 대한 선입견들이 그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이런 오해가 실제로 토론을 할 수 없는 이유가 될 수 없음을 말한다. 한 마디로 이 오해의 핵심은 학습자 혹은 학습자와의 관계에 대한 불신에 있다. 능력과 관심에 대한 오해는 토론을 방해한다. 따라서 그런 선입견들을 불인정함으로써 토론 활성화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뤄진다. 특히 토론을 통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일체감을 조성하기 위해 감안해야 될 요소는 현장성과 역사성을 들 수 있다. 현장성은 공허한 이야기를 배제하고, 모두가 주위의 환기를 끌만한 현실과 관계를 드러내는 방법이다. 즉 주제를 ‘지금’, ‘여기’라는 현실과 연결시켜보는 것이다. 수업은 현실적 상황이나 사실과 직결되어야 하지만 동시에 그 내용이 역사적 의미를 담지하고 있어야 가치가 있다. 역사성이란 주제를 반드시 역사적 맥락에 근거를 둔, 보편적 주제와 연관이 있어야 된다는 것이며, 이때 비로소 다루는 주제는 보편적 가치를 갖는 윤리적 문제가 되는 것이다. 토론의 방식은 사실 철학을 주제로 한다고 특정한 방식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굳이 철학의 방식을 들라면, 진행되는 내용을 반드시 논쟁화한다는 것과, 방법론적으로 모순적 입장에 서도록 구성원들을 배치하고, 극단적이라 하더라도, 끝까지 자기의 주장을 관철시키는 훈련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교수와 사회 및 찬성/반대편의 배치와 그 기능 및 역할을 토론자 각각은 철저히 행사해야 한다. 특히 그 중에서 교수의 학생 토론자의 격려와 칭찬은 꼭 필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seeks to show how to make a model of philosophizing by way of debate about ethical issues. And this is not a philosophical essay within its own area, but the one of how to manage the classroom for ethical debates. It deals in particular with philosophical/ethical issues in real places to make them true. At first, five misunderstandings are dealt with which come from prejudices of hesitation to undertake debates. the writer shows the real reasons of why they do in fact. By rejecting them every teacher can open the capacity to do that in various ways. Many attempts to actualize classroom can be done. Especially the elements to consider for the sake of agreement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re presence and historicity; the former make clear void story-telling, while the latter make the context come within universal issues, that is, making the ethical. Debate does not always depend upon a specific method. The important thing concerning with philosophical/ethical debates is necessarily to be argumentative, making two controversial parties stand on contradictory ground/position. During debates teachers ought to make learners critical and composite and productive in that they decide not to hesitate but to be doing something. Also teachers need to encourage learners to positively attend the classroom debates. Above all, it is enjoy to debates that matters.

      • KCI등재

        류영모를 통한 기독교 철학의 모색

        신상형(Shin, Sang-Hyong)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5 No.1

        이 글은 “현재 한국 기독교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비롯되었다. 이 질문은 2가지 함의를 갖는다. 하나는 ‘한국 사회에 대한 기독교의 역할은 무엇인가?’이고, 다른 하나는 ‘기독교에 대한 한국 기독교의 기여란 무엇인가?’이다. 전자는 이미 많은 사람에 의해 시도된 질문과 논의들이고, 후자는 이 논문이 다루려는 것이다. 한편으로 한국은 여러 가지 면에서 선진화를 이루었다. 많은 분야들이 각고의 노력으로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며 질적 개발과 발전에 몰두하고 있는데, 이것은 방법적 측면에서 철학과 사상 개발에 역지사지가 될 수 있다. 기독교 철학 사상의 내부에서 이런 가능성을 찾아 리모델링한다면, 세계를 선도할 자산을 조성할 수가 있다. 기독교 철학은 철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기독교의 교리들을 분석하거나 기독교의 기준에 따라 모든 사건과 역사 및 우주 삼라만상의 운행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것을 실행하는 방법으로 첫째, 한국 기독교 학자들의 주도적 성경 읽기와 사상의 개발이다. 둘째는 기독교 사상의 개념 내지 얼개의 완성이다. 셋째 기독교 사상의 창조이다. 넷째 기독교 사상의 타 고등종교에 대한 역동적 신학의 마련이다. 이런 연구는 단계가 필요하다. 맨 먼저, 기독교 역사상의 고유한 모습을 띤 인물이나 사상을 우리 속에서 발견하는 일이 필요하다. 따라서 첫째로, 우리는 기독교 사상의 고유한 모습을 띤 인물이나 사상을 우리 속에서 발견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로, 인식의 지평을 확대하여 다른 고등종교에서 나타난 한국적 선행 성공 사례를 발굴하여 원용해 보는 시도이다. 셋째로, 새로운 학문과 미래사회와의 교류를 통한 주도적 역할을 찾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 효시로 류영모를 선정하고, 그의 <온 오늘> 즉 ‘하루를 영원처럼’이라는 모토와 이에함축된삶을 기독교의 종말론과비교했다. 원래<종말론>은 신구약성경에 제시되는 난해한 개념이며, 그래서 기피하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거기에 덧씌워진 모순적 두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already-but-not yet"가 그것이다. 이것의 전체적인 이미지는 비관적이다. 왜냐하면 이 땅의 삶을 부정적으로 배척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성경을 관찰해 보면, 오늘 하루의 삶은 불필요한 것이 아니라, 바로 성령 충만하여 고통을 초월하는 계기이다. 끝날이 아니라 영원한 첫날에 해당하며, 육체적인 열락과는 비교 불가능한 천국 삶의 시작이다. 그래서 그는 류영모는 하나님과 합일한 독특한 한 날로서의 오늘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미래가 된다. 그에게 그것은 “오오오.... 늘늘늘!!”이 되는 것이다. This essay began with a question, “What Is the Role which Korea contemporary Christianity could play?”, which may contain two different meanings: one is “What is the role for Korean society that Christianity plays?”; the other is “What is the role which Korean churches contributes to the Christianity?” The essay focuses on the latter, while the former has been in many cases dealt with. Many kinds of successful developments have made Korea developed, in particular, producing top-skilled makers; this can apply to the thoughts fields in methodology. Once we succeed to remodel procedures in Christianity, we will play leading role of the world. Practices of Christian philosophy are many: First, reading the Bible with own insights and developing its strategy. Second, making Christian concepts or frames perfect. Third, creating Christian thoughts. Four, dialogues with different religions, making dynamic theology. Research has to have several steps each of which are its own figures. The first step is to find out historical persons and events in our society, which takes time in his field. The second one is to enlarge our fields of perspectives, in particular, so that we can use successful precedent cases. The third is to show the creative appliances which will word for the future society. Finally, the essay deals with Ryu as an alternative philosopher, in particular, who shows us insights by which eschatology is reunderstood and revised into fuller meanings. With Ryu’s thought of ‘Oh Neul’ which is translated into ‘Oh, always.’ Ryu almost always does analyze languages(한글) / pure forms (Korean vocabularies) into its own meanings. It is true that it is meaningful to begin with Ryu to develop good Christian philosophical issues in Ryu’s works.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논고』읽기

        신상형(SHIN, Sang-Hyong)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본 연구는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논고』를 쓴 철학적 의도를 음미해 보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비트겐슈타인은 『논고』의 집필에서 시도한 새로운 철학에 대해 총책임을 졌던 러셀조차도 그의 사상을 오해했다고 실망했다. 필자는 언표를 둘러 싼 주장들에 관해 러셀과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이 어떻게 다른가를 비교해 봄으로써 비트겐슈타인의 고유한 사고가 무엇이었을까를 간접추리해 보기로 한다. 러셀과 비트겐슈타인 양자는 기존철학의 문제점을 논리적 분석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출발점은 같았다. 그러나 『논고』의 해결방식은 여러 가지 점에서 러셀과 달랐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러셀은 일상적 표현들의 논리적 분석을 통해 애매성과 모호성을 발견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공언어의 수립을 주창하였다. 그러나 비트겐슈타인은 이런 새로운 모델 언어의 수립을 지양하고 현존하는 언어의 해명을 통해 문제가 되는 언어를 구축함으로써 문제를 해소하는 일에 집중하였다. 일상언어란 사고를 숨기고 있어서 이해하기가 힘들고,(4.112, 4.002) 실제로는 논리적인 질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5.5563) 논리적 엄정성을 위해 기호를 도입하여 난제를 해결하는 일에서는 양자가 동일했으나, 러셀은 ‘함수’, ‘집합’ 등을 도입하면서 동시에 그 개념들조차도 사실과 동일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또 다른 오류를 파생시켰다. 이에 비해 비트겐슈타인은 그것들을 유사개념대상 pseudo-concept object라고 규정하고 그것의 수용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4.1272) 비트겐슈타인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일상언어에서 간과되고 있는 오류인 기호와 상징의 혼동을 구분한다. 기호는 의미의 지시체에 해당하고 상징은 의미체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러셀은 여기에 이르지 못했다. 본문에서 다루지는 않았으나 러셀은 논리적 원자를 개별자, 속성, 관계, 사실의 네 가지로 본 데 반해, 비트겐슈타인은 대상, 배열 내의 대상의 두 가지로 보았다. 관계에 대해 비트겐슈타인은 이것을 배열 가운데 포함시키는데, 배열은 언표불가능하며 단지 보여줄 수 있는 것이지 진술하거나 이름 붙일 수 없다고 했다. 그래서 그는 이 관계를 명제 내의 배열에서 보여주고 있다. 러셀은 존재물로 취급, 시각적 관계만을 강조한데 비해 비트겐슈타인은 다양한 공간과 그 재현방식을 생각했다. 사실의 구조에 대해서는 양자는 거의 일치하나 부정(否定)사실의 설명에 있어서 양자는 완전히 다르다. 전자는 하나의 존재로 보는데 반해 후자는 그것을 비존재로 보기 때문이다. 러셀은 명제와 사실은 관념과 실존의 차이가 아니라 명제도 사실이라고 보고 있다. 그는 부정명제를 사실에 대비시켜 대응사실이 없는 ‘not’를 소거할 수 있다고 본 데 비해, 비트겐슈타인은 부정사실은 원자사실의 비존재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2.06) 긍정과 부정의 두 사실이 그림에서는 두 존재인데, 하나는 요소가 대상과 상관하자마자 재현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비존재라는 Anscombe의 설명은 비트겐슈타인의 부정사실의 그 역할에 대해 명백한 해명을 제공해 준다. 이상과 같이 동일하게 출발한 철학의 주제는 양자 사이에서 다르게 모색되었다. 러셀은 실질적 논리적 분석 및 구성을 통한 세계기술로, 비트겐슈타인은 세계의 구조를 반영한 철저한 이론상의 논리적 분석 및 구성활동으로 진로를 달리했다. The purpose of paper is to show how Bertrand Russell misread Wittgenstein’ Tractatus when he had just written his introduction to the Tractatus. The way the writer of paper seeks to make is an indirect inference as reductio ad absurdum by which he compares with both scholars’ claims and debates concerning what can be said of language usages. Russell and Wittgenstein shared the starting point with each other which was logical analysis, but their methods and processes were different. Russell suggested a new alternative language of ‘artificial language’ which contains rigid logical and mathematical forms and meanings, while Wittgenstein made us look at the unnecessary usage of jargons and meandingless expressions. The latter believed that ordinary language hides their perfect working grammars. For logical rigidness Russell accepted pseudo-concept objects such as function, class, etc., which made another fallacies, while Wittgenstein rejected them as irrational but divided between symbol and sign which that did not even understand at all. Russell thought that logical atoms are particular, property, relation and fact, while Wittgenstein regarded only object and the object in row as logical ones. The former made emphasis on visual relations; the latter did on various methods of spatial and representational places. Concerning the structures of facs Wittgenstein and Russell almost agreed with each other but they did disagree about negative facts; Russell regarded them as existent while Wittgenstein rejected them as non-existent. In pictures, Wittgenstein pinpointed that positive and negative facts are quite different facts, but in reality both facts contains only one state of affairs. Thus philosophical issues had been dealt with by Russell and Wittgenstein in different ways though they began with them in the same way. Russell put forward the description of the world by logical analysis and construction; but Wittgenstein did it by looking into the real construction of the world. They looked like one way but tried differently in th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